어릴 적 어머니가 시장에 가실 채비를 하면 만사 제쳐 놓고 따라나섰다.
같이 가자고 한적도 없는데 어느 새 장바구니까지 챙겨 들고 현관에 서 있는 아들 모습에
어머니는 '너 속셈을 다 안다'는 듯 웃곤 하셨다.
시장에 따라가면 얻어먹을 수 있는 군것질거리 중 최고는 반찬용인 사각형 '덴푸라'였다.
생선 살과 밀가루 등을 배합해 만드는 어묵을 예전엔 덴푸라, 오뎅이라고 불렀다.
하지만 덴푸라는 야채, 해산물 등에 튀김옷을 입혀 튀긴 일본 요리다.
오뎅 역시 가마보코가 어묵에 해당하니 덴푸라, 오뎅은 정확한 명칭이 아니었던 셈이다.
해방 후 한글학회에 서 '생선묵'으로 부르자고 제안했지만 널리 통용되지 못했고
1992년이 돼서야 '어묵'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한.중.일 모두 즐기는 어묵은 역사가 긴 음식이다.
중국에선 위완이라고 부르는데 생선을 좋아한 진시황을 위해 가시를 뺸 음식을 만들어 진상한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일본에선 헤이안 시대인 1115년 한 권력자의 이사 축하연에 나왔다는 것이 첫 등장 기록이다.
우리의 경우 조선 숙종이 진연(왕실잔치)에 오른 '생선숙편'에 반해 모든 음식상에 뺴놓지 말라는 명을 내렸다고 전해진다.
수라상에나 오르던 어묵이 6.25이후엔 때론 반찬으로, 때론 술안주로 서민들의 배를 채워준 고마운 음식이 됐다.
그동안 많은 업체가 명멸했고 지금은 100여 곳이 어묵을 공급하고 있다.
그중 절반 정도가 부산에 있는데 가장 오래된 기업인 삼진식품이 '부산 어묵의 원조' 격이다.
그런 삼진식품이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에 이어 올 상반기 호주에도 어묵 베이커리 매장을 연다고 한다.
어묵도 이젠 K식품 대열에서 솥단지 하나 그러고 어묵을 튀긴 지 71년 만이다.
3대가 한눈팔지 않고 가업을 일으키고, 계승하고, 혁신을 멈추지 않았기에 가능한 일이다.
한국에는 반도체, 자동차산업도 있지만 전통 가업을 묵묵히 세계화해 가는 중견기업도 많다.
모두 우리의 자랑이다. 김정태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