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의 형태: 의문문>
1. 의문문의 구성: 평서문의 반대 개념으로 사용된다.
1) <(의문사) + 조동사 + 주어 + 동사원형>: 의문사(what이나 who)가 주어인 경우에는 <의문사+조동사+동사원형>의 구조를 이룬다.
ex. Can you speak Korean? 너는 한국어 할 수 있니?
Who can speak Korean? 누가 한국어 할 수 있니?
2) <(의문사) + do동사 + 주어 + 동사원형>: 서술어가 조동사(be동사 포함)가 없는 경우에는 do동사를 활용해 의문문을 구성한다. 주어의 3인칭 단수 여부나 시제 등에 따라 do의 형태는 달라진다. 의문사가 주어인 경우 <의문사 + 서술어...>의 구조를 이루며 서술어는 과거 등이 올 수 있다.
ex. Does he like the woman? 그는 그 여자를 좋아하니?
Who does he like? 그는 누구를 좋아하니?
Who likes the woman? 누가 그 여자를 좋아하니?
3) <(의문사) + be동사 + 주어>: 서술어가 be동사이면 주어와 위치만 바꾼다. 주어의 형태나 시제 등에 따라 be동사는 형태가 달라진다. 의문사가 주어인 경우 <의문사 + be 동사...>의 어순이 된다.
ex. Who is she? 그녀는 누구니?
Who is giving a speech? 누가 연설을 하고 있니?
* what이나 who가 주어인 경우 보통 3인칭 단수로 간주하여 be동사 등의 형태를 맞추어야 한다.
2. 간접의문문: 평서문의 형태로 간접적으로 질문에 대한 대답을 유도하는 문장을 말한다. 간접의문문은 형태상 의문문이 아니므로 당연히 어순은 <의문사+주어+서술어>가 되며 의문사가 주어이면 <의문사+서술어>의 구조를 이룬다.
ex. Where does she live? ▶ 직접의문문: 그녀는 어디 사니?
I want to know where she lives. ▶ 간접의문문: 그녀가 어디 사는지 알고 싶어.
I want to know who is giving a speech tonight. ▶ who가 절의 주어: 나는 누가 오늘밤 연설을 하는지 알고 싶어.
3. 부가의문문: 주절은 평서문의 구조를 이루지만, 주절 끝에 앞의 내용을 확인하는 의문문의 구조를 이루는 문장을 말한다.
ex. He knows the answer, doesn't he? 그는 답을 알고 있지, 그렇지 않니?
1) 부가의문문의 구성: 평서문 뒤에 <조동사+대명사(주어 대신)?>를 이루며, 평서문이 부정문이면 긍정, 긍정문이면 부정의 형태로 쓴다. 부정의 형태로 쓸 때에는 반드시 축약형으로 쓴다. 조동사는 평서문에 사용된 조동사를 이용하며, 조동사가 없는 일반동사라면 do동사를 활용한다.
ex. Today is Sunday, isn't it? ▶ is not it, is it not, isn't today 형태 불가
Today isn't Sunday, is it?
Sam can swim well, can't he? ▶ can't Sam 형태 불가
Sam swims well, doesn't he? ▶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does를 활용
Sam didn't swim well, did he? ▶ 시제가 과거이므로 did를 활용
2) 명령문의 부가의문문: 명령문은 '당신이 -해라'라는 의미이므로 주어는 you이며, 의지가 담겨 있으므로 조동사 will이 숨겨져 있다. 긍정문 형태의 명령문이라도 보통은 will you로 쓰며, won't you로 쓰면 불평이나 짜증 등을 내포하게 된다.
ex Give me a call, will you? 내게 전화해, 그럴거지?
Give me a call, won't you? 내게 전화해, 안 할 거니?
3) Let's 형태의 의문문: 제안하는 것이므로 조동사는 shall을 활용한다.
ex. Let's go to the movies, shall we? 영화보러 가자, 그러는 게 어때?
4) <there + 동사 + 주어> 문장의 의문문: there를 주어 자리에 놓고 부가의문문을 구성한다.
ex. There is a book on the table, isn't there? 탁자에 책이 있어, 그렇지 않니?
<연습문제>
다음 지시대로 문장을 바꾸시오.
1. Sally enjoys talking after dinner.
→ 의문문(대답이 yes나 no가 나오도록):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의문문(what을 의문사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의문문(who를 의문사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부가의문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There lived a little boy in the house.
→ 부가의문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Paint the wall today.
→ 부가의문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Let's paint the wall today.
→ 부가의문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Who was making the food?
→ Let me know로 시작하는 간접의문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6. What did she do?
→ I want to know로 시작하는 간접의문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ns.
1. Sally는 저녁 식사 후에는 얘기나누는 것을 좋아한다.
→ Does Sally enjoy after dinner?
→ What does Sally after dinner?
→ Who enjoys talking after dinner?
→ Sally enjoys talking after dinner, doesn't she?
2. 그 집에는 어린 소년이 살았다.
→ There lived a little boy in the house, didn't there?
3. 오늘 벽을 칠해라.
→ Paint the wall, will you[won't you]?
4. 오늘 벽을 칠하자.
→ Let's paint the wall, shall we?
5. 누가 그 음식을 만들고 있었니?
→ Let me know who was making the food.
6. 그녀는 무엇을 했니?
→ I want to know what she d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