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사전] 성경의 이방신 ② 아세라 (바알,엘,아스다롯)
아세라 (Asherah)

페니키아와 수리아의 여신.
가나안의 3대 여신 중의 하나로, 바알의 아내이며 풍요를 상징한다. 특히 페니키아 사람들이 행복을 가져다 주는 신으로 숭배한 우상신이었다. 아세라는 아시르투 또는 아시라투로 알려진 가나안의 여신을 가리키는 헤브라이어이다. 여신상은 나무가지를 잘라낸 나무기둥(목상)으로 바알의 제단 곁에 세워졌다(사사기 3:7).
예배의 여신은 음란하였는데, 구약성서 《출애굽기》 34장 16절에 “또 네가 그들의 딸들로 네 아들들의 아내를 삼음으로 그들의 딸들이 그 신들을 음란히 섬기며 네 아들로 그들의 신들을 음란히 섬기게 할까 함이니라”고 적혀 있다.
바알 및 아세라의 제의에는 성적 부도덕을 동반하였기 때문에 이스라엘에서는 금지되었다. 그러나 아합왕 때에는 왕비인 이세벨에 의해 아세라 예배가 성해졌다(열왕기상 16:33). 이와 같은 아세라 숭배는 이스라엘 왕국이 멸망하는 원인이 되었다.
선지자 엘리야는 아세라 숭배의 퇴치에 진력하여 아세라상의 예언자들을 바알의 예언자들과 함께 기손강에서 죽였다. 구약성서 《열왕기상》 18장 40절에는 “엘리야가 바알의 선지자를 잡되 저희를 기손 시내로 내려다가 거기서 죽이니라”고 적혀 있다. (네이버 백과사전)
아세라 (Asherah)

아세라와 아스다롯은 다 같이 가나안 종교의 생산제사에서의 예배 대상으로서의 여신인데, 히브리어로는 아세라와 아스다롯은 자음을 달리하고 있지만, 양자는 종종 혼동되고 있다. 70인역은 전기 아세라의 역에는 대개 [글자깨짐1](grove,작은 숲)란 말을 쓰고 있으나(출 34:13,신 7:5,16:21,삿 6:25), 아스다롯의 역에 이 [글자깨짐1]을 쓴 곳도 있어(삼상 7:3,4,12:10) 양자의 구별이 분명치 않다. 더구나 70인역의 [글자깨짐1]은 바른 번역이 아니어서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아세라는 여신의 고유명사로서 Asherah로 번역되고 있다.
아세라는 텔 엘 아마르나 문서(Tell el Amarna Tablets)에 아쉬르투(Ashirtu) 또는아스라투(Ashratu)로서 알려진 가나안 사람의 여신을 가리키는 히브리어이다.
우가리트의 토판(土板)에 의하면, Athirat는 신들을 낳은 어머니이고 최고신(最高神) 엘(El)의 배우신이었다. 이 여신은 `아디라투얌미'(Athiratuyammi)라 불리우고 있다.
[1] 여신
:아세라는 아합 왕비 이세벨에 의하여 베니게에서 북왕조 이스라엘에 도입된 여신이다(왕하 18:19). 선지자 엘리야는 이 세력의 배제에 전력을 다하였다. 예루살렘성전에 아세라 우상이 서고, 신전 미동(美童)의 방이 꾸며졌던 것은(왕하 23:4,7) 앗수르의 영향에 힘입은 것으로서 반앗수르 정책을 추진한 요시야 왕에게 철저히 배제되었다(왕하 23:415). 이 아세라의 복수형 [글자깨짐2]('aserot)은 한 번만 사사기 3:7에 바알의 복수형 [글자깨짐3](be'alim)과 같이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여러 남신과 여러 여신'이라는 의미로서, 비합법적인 예배 대상 전반을 가리킨다고 해석된다.

[2] 여신의 우상
:`아세라'란 말은 여신의 우상을 가리켜 사용되고 있다. 므낫세가 신전에 세운 `아세라 목상'(왕하 21:7)은 열왕기하 23:7에는 단순히 `아세라'라고 불리우고 있다. 아합에 의하여 사마리아의 바알 사당에 세운 아세라도 이와 같은 상이었다(왕상 16:33과 왕하 10:26비교). 이것은 파괴되었지만, 예후의 아들 여호아하스 시대에 사마리아에 다시 나타났다(왕하 13:6).
[3] 성목(聖木)
:이 여신의 상징으로서의 성목도 `아세라'라고 불리우고 있다. 이것은 주상(柱像)으로서 세울 수 있었으며(신 16:21), 찍어(출 34:13,사 6:25) 불살을 수도 있었다(신 12:3,삿 6:26). 이것들이 주상이었으므로 그 고고학적 유물이 남아 있지않다. 그러나 아이에서의 조기 청동기 시대의 사당터에서 두 향단 사이에서 길이 1m가넘는 탄화된 목편이 출토되었다. 이것은 가지를 끊어 버린 목상(아세라)이었던 모양이다. 아세라 숭배와 생산의 여신의 이와 같은 표상인 성목을 세우는 것은 엄금되었다. 아세라 숭배는 특히 북왕조 이스라엘에 있어서 오므리 왕조 시대에 성한 것이고, 그것은 여호와의 눈에 악으로 보이게 되어 선지자적 사관(史觀)에 의하면, 그것이 왕국 멸망의 원인으로 된 것이다(왕하 17:7-). 예언자가 견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세라 숭배는 왕조 시대에도 행하여져(사 17:8,27:9,미 5:14) 유대 왕조 말기에도 예루살렘에서 널리 숭배되었다. 아스다롯아스다롯아스다롯X가나안에서 숭배된 생산 여신. 황금제 펜던트인데, 하톨 형 여신으로 유방과 국부에 의하여 생산력을 상징하고 있다.
* 본문에서 히브리어 및 헬라어 표기 문자는 표기되지 않고 글자가
깨져 [글자깨짐]으로 표기했음.


(인터넷자료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