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Southeast Asia Globe Magazine 2013-4-8 (번역) 크메르의 세계
동독 비밀경찰 문서 : 베트남이 작성한 캄보디아 요인들의 평가서
Cambodia : The Paper Trail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지 이미 20년 이상이 흘렀지만, 동독 비밀경찰 '슈타지'가 작성한 문서들은 아직도 일부 놀라운 사실들을 새롭게 폭로해준다. 그것은 캄보디아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적잖게 놀라운 사실일 것이다. |
기고 : 마르쿠스 카르바움 박사 (Dr. Markus Karbaum)
동남아시아 연구 컨설턴드 / '베를린 자유대학'(Free University Berlin) 강사
옛 동독 정부의 '슈타지'(=Stasi: Staatssicherheit, 국가안전부)는 세계에서 가장 효율적이고도 탄압적인 비밀경찰 중 하나였다. '슈타지'가 가지고 있던 정보들은 더 이상 비밀이 아니다. '슈타지'는 광범위한 간첩(스파이) 망을 운용하여 동독인들의 일상생활에 있어서 거의 모든 측면들을 문서로 남겼으며, 서독 정부 및 그 정보기관들 속에도 침투해있었다. 공산정권의 정보기구였던 '슈타지'의 정보망은 유럽의 경계선마저 뛰어넘어, 동남아시아에서 자국의 최대 우방국이었던 베트남에까지 그 촉수를 뻗치고 있었다.
(사진) 동독 비밀경찰 '슈타지'의 기관 상징로고.
현재 독일에 있는 '슈타지 기록보존국'(Stasi archive authority)에는 111km 길이에 달하는 문서들이 쌓여있다. 그 안에는 '베트남이 1978년 12월 25일 캄보디아를 침공'하여 크메르루주(Khmer Rouge) 정권을 붕괴시킨 후 베트남 관리들이 작성한 문서들도 포함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현재의 캄보디아를 통치하고 있는 집권 '캄보디아 인민당'(CPP) 소속의 일부 인사들에 관한 기록도 포함된다.
캄보디아를 황폐화시키며 1975년에 끝이 난 '캄보디아 내전기'에 북-베트남과 크메르루주 반군은 밀접한 동맹세력이었다. 하지만 캄보디아에서 크메르루주가 정권을 잡고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을 병합한 이후, 양국간에 심각한 국경분쟁이 발생하면서 관계는 극도로 악화됐다.
크메르루주의 지도자였던 폴 포트(Pol Pot)와 그의 심복들은 자신들의 당 내에 침투해 있는 베트남의 첩자들을 두려워하여, 1977년부터 이들에 대한 숙청 작업을 시작했다. 이에 따라 현재의 훈센(Hun Sen) 총리를 비롯한 수많은 '크메르루주' 당원들이 베트남으로 도망쳐 충성을 맹세했다. 하지만 베트남은 이중 간첩 행위를 우려하여 일단 이들을 구속한 후, 각각의 개인별로 기록을 작성했다. 이 기록에는 해당 당원의 상세한 경력 및 그들 개인에 대한 평가도 포함되어 있다.
(사진) 베를린에 위치한 옛 슈타지 본부 건물은 이제 기록보존 박물관으로 변했다.
베트남의 정보당국은 효율성과 치밀성 면에서 동독의 '슈타지'에 비견될 수는 없지만, 같은 공산주의 형제국으로서 양국은 정보 분야를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들에서 협력을 했다. 문서번호 'MfS – HA II Nr. 38135'로 명명된 문서군은 1978년과 1979년 사이에 베트남이 작성한 것으로, 일단 '슈타지'의 손에 전달된 후 독일어로 번역된 것이다. 여기에는 베트남이 1979년에 크메르루주 정권으로부터 "해방"시킨 후 점령을 하고 있던 캄보디아에서, 위성정권의 고위직에 앉힐 캄보디아인들에 관한 평가들도 포함된다.
약 20명의 개인들에 관한 프로필을 담은 이 문서에는 취합된 자료들에 대해 약간의 의심만 제기하면서, 향후 캄보디아의 지도부가 될 일부 인사들에 대한 간략한 소견이 담겨 있다. 이 문서에 포함된 인물들 가운데는 1979년 이후로도 최고위직을 차지하지 못한 인사들도 포함되어 있고, 잠시 동안만 고위직에 임명된 이들도 존재한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인사들이 있다.
- 노우 벵(Nou Beng): 1980년대에 보건사회부 장관 역임. 1993년에 끄라쩨(Kratie) 도지사.
- 캉 사린(Khang Sarin): 1981~1986년 사이에 내무부장관.
또한 일부 인사들은 이미 세상을 떠난 이들도 있는데, 다음과 같은 이들이다.
- 싱 송(Sing Song): 1988~1922년 사이에 내무부장관. 이후 14개월간 국가보안부 장관.
2000년 사망. [역주] 아마도 신 송(Sin Song)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임.
- 찌어 솟(Chea Soth): 1981~1986년 사이에 기획부장관. 1980년대 내내 부총리 역임.
1993년 이후 '2012년 사망'할 때까지 집권당 국회의원.
일부 문서는 두번씩 발행됐고, 또 다른 문서들은 검열을 당한 흔적도 있다. 또한 일부 문서에는 단지 한두쪽의 간략한 약력만 있기도 하고, 일부 인사들의 경우 상세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보아, 이 문서들은 조직적으로 수집되기보다는 혼돈스럽게 수집된 정보를 체계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집대성해놓은 것으로 보이며, 각 개인들의 공산주의 사상적 배경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
여타 캄보디아인 동료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현재 집권당 당의장(=총재)을 맡고 있는 찌어 심(Chea Sim) 상원의장에 관한 문서도 포함되어 있다. 해당 문서는 찌어 심이 폴 포트와 이엥 사리(Ieng Sary: 최근 사망한 크메르루주 외무부장관)를 증오하고 있다면서, 크메르루주 정권 타도 및 캄보디아 재건에 강력한 의지를 갖고 있다고 기록했다. 문서의 작성자는 "심 동지는 인민들을 향해 도덕적으로 선한 태도를 보여줬다"고 확인하면서, 찌어 심이 때때로 "타협적이며, 겁을 먹거나, 우유부단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고 서술했다.
오늘날 집권당 명예당의장을 맡고 있는 헹 삼린(Heng Samrin) 국회의장은 베트남이 작성한 슈타지 문서에서 솜 린(Som Rin)이란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문서는 헹 삼린과 찌어 심이 1978년에 결성된 '캄푸치아 민족해방 통일전선'(Kampuchean United Front for National Salvation: KUFNS)을 이끌고 있다고 기록했다. 1979년 1월 폴 포트의 '크메르루주' 정권이 붕괴한 후, 헹 삼린은 '캄푸치아 인민공화국'(PRK)의 '인민혁명위원회' 위원장으로 추대됐고, 2년 뒤에는 국가평의회(Council of State) 의장 겸 '캄푸치아 인민혁명당'(Kampuchean People's Revolutionary Party: KPRP) 서기장이 되었다.
이 문서에 따르면, 헹 삼린은 1934년에 헹 힘(Heng Him)이란 이름으로 태어났고, 폴 포트 정권 하에서 사단장을 지냈다. 사단장이란 직책은 당시 베트남으로 탈출한 크메르루주 출신 망명자 중 최고위직에 속했다. 문서의 작성자는 헹 힘에 대해 "그는 진실한 사람으로서, 포용력 때문에 다른 많은 동지들로부터 존경을 받고 있다"고 적었지만, "교육을 별로 받지 못해 말을 잘 하지 못하며, 때때로 열등감 콤플렉스를 보여주며, 정치적 이해력은 제한적"이라고 적었다. 이 문서는 결론부에서, "린"(=솜 린, 즉 헹 삼린)이 교육만 더 받는다면 고도의 임무를 해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헹 삼린이 그 일에서 성공적이었음을 가정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문서군에 포함된 인물들 가운데는 그다지 행운을 잡지 못한 이들도 존재했다. 폴 포트 정권을 붕괴시킨 후 최초로 캄보디아의 총리가 되었던 뻰 소완(Pen Sovan: [역주] 현재 야당인 '인권당'[HRP] 부총재) 같은 인물이 그러한 사례에 속한다. 그는 총리에 취임한지 다섯 달 만에 숙청당한 후, 베트남에서 10년 이상 구속생활을 했다. 하지만 뻰 소완에 관한 문서에는 그가 향후 총리로 지명될 가능성이나 숙청될 가능성에 관해 그 어떤 내용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와는 달리 지난 15년 동안 캄보디아의 외무부장관을 맡고 있는 호 남홍(Hor Namhong)에 관해, 이 문서는 그가 크메르루주 정권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그 역사적 논쟁에 관해 명백한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현재의 야당 지도자로서 3년 이상 해외에서 망명생활을 하고 있는 삼 랑시(Sam Rainsy) 총재는 호 남홍 외무부장관이 크메르루주 정권기 동안 교도소장을 역임했었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하지만 호 남홍 장관은 항상 자신이 일반 재소자였다면서, 그러한 주장을 부인해왔다.
베트남 작성 문서에 따르면, 호 남홍은 1977년에 '벙뜨라벡 재교화센터'(Boeung Trabek re-education centre)에 들어왔다. '벙뜨라벡 재교화센터'는 크메르루주가 1974년 정권을 잡은 이후, 이전 정권의 외교관들을 귀국시켜 수감했던 교도소이다. 해당 문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호 남홍은 이 캠프의 소장이긴 했지만, 다른 재소자들과 마찬가지의 수감자였을 뿐이다. 그러나 그는 좀 더 편한 생황을 했고, 자신이 감독을 하는 동안 보고 들은 상황을 이엥 사리에게 보고했다." |
베트남 작성 문서는 1980년대에 부총리를 지낸 보우 통(Bou Thong: [역주] 현 집권당 상무위원)에 관해선 "지적이며, 일함에 있어서 창의적이고, 조직 구성 능력이 좋은 결단력 있는 인물"이라면서도, "비민주적 행동"과 "잘못된 야망"이 약점이라고 기술했다.
이 문서는 캄보디아의 장기집권자인 훈센 총리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폭로했다.
"훈센의 정확한 본명은 훈 보날(Hun Bonal)이다. 그가 베트남에 도착했을 때, 스스로를 하이 푹(Hai Phúc)이라고 소개했다." |
해리시 메타(Harish C. Mehta)와 줄리 메타(Julie B. Metha)는 자신들의 공저인 <훈센: 캄보디아의 강자>(Hun Sen: Strongman of Cambodia)[1999년 발행]에서 훈센 자신이 1997년에 다음과 같이 말한 것으로 기록했다.
"나는 라오스에서 온 사람인 것처럼 위장해야만 했다. (중 략) 그들은 내게 마이 푹(Mai Phuc: '영원한 행복'이란 의미)이란 이름을 사용토록 했다. 당시 나는 26세였고, '제10구역'(Region X)에서 온 고위 당원이었다. 새로운 이름을 사용한 이유는 주의를 끌지 않으면서, 의심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함이었다." |
해리시 메타와 줄리 메타의 책은 훈센 자신의 진술에만 의존한 것이어서, 그가 가명을 사용한 이유에 관해 의문이 생길 여지가 있었다.
26세의 지휘관이었던 훈센은 걸출한 군사적 경력을 갖고 있었다. 그가 1977년 6월 베트남으로 도망친지 3개월 후, 크메르루주의 캄보디아는 베트남의 따이 닌(Tây Ninh 혹은 Tay Ninh)을 잔인하게 공격했고, 이 때문에 양국 관계는 긴장관계 속에 들어갔다. 아마도 훈센이 가명을 쓰며 정체를 감추고자 했던 것은 바로 이 일 때문일 수도 있다. 그는 베트남 국경에 배치됐던 2천여명 규모의 캄보디아 연대의 연대장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하이 푹'이란 이름은 라오스식 이름도 아니고 캄보디아식 이름도 아니다. 그것은 베트남식 이름이다. 따라서 훈센이 자신의 이름을 베트남어로 바꿈으로써, 그가 자신의 새로운 동맹세력(=베트남)에게 연대감을 표시하길 바랬던 것은 아닐까?
해당 문서는 훈센의 가족관계에 대해서도 기록하고 있다.
훈센은 베트남으로 도망친 후 자신의 아내인 분 라니(Bun Rany: 출생시 본명은 '삼 히엉'[Sam Heang])와도 헤어졌다. 분 라니는 두번째 자녀를 출산한지 며칠만에, 탈출자의 아내라는 이유로 크메르루주의 구치소에 수감됐다. 부부는 1979년 2월 프놈펜에서 재회했지만, 그 이전에 서로 상대방이 죽었다는 메세지를 전달받았으며, 훈센의 경우엔 그가 젊은 처녀를 소개받아 결혼을 원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베트남 작성 문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하지만 그의 부인(=분 라니)이 되돌아오자, 그는 그녀(=젊은 처녀)와의 관계를 단호하게 끊고서, 그녀를 하노이에 있던 '캄푸치아 대사관'에 갖다 맡겼다." |
'슈타지 기록보존국'은 그녀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해당 여성의 이름은 검게 처리했다. 하지만 독일에 있는 이 문헌보존소는 기록물들을 통해 1989년 이전의 비밀스런 캄보디아의 공산정권에 관해 다시 한번 새로운 빛을 비춰보고 있다.
* 첨부자료
[화보] 슈타지 문서의 캄보디아 지도자들에 관한 부분
|
첫댓글 잘읽어보았습니다,
대단합니다,
이런 내용은 다수의 한국 사람이 아는 것보다
소수일지라도 캄보디아 사람들이 아는 것 더 좋을 텐데....
KI-Media와 Khmerization에서 먼저 소개를 했기 때문에..
캄보디아 여야의 주요한 독자들은
이미 다들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네요..
통상 우리 카페에 소개된 내용들은
소수일지라도 캄보디아인들이 먼저 알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