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52(체액 및 천자액 검사)에서 나-730(기능검사)로 이동
--------------------------
1. 정액검사 : 남성 불임검사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고환의 구조기능을 검색하거나 부고환, 정낭선, 전립선질환 등의 보조 진단법으로 사용.
(1) 검사 : 육안적 검사, 현미경적 검사(정자의 수, 운동성, 기형율 산정), 특수검사(세균학적, 생화학적, 내분비학적, 면역학적 검사)
(2) 임상적 의의 :
① 1회 사정량 : 2.0-6.0mL(평균 3.0mL), 정액과소증(Oligospermia, 0.5mL 이하), 무정액증(Aspermia, 0mL)
② 색조 : 유백색, 혼탁, 사정직후(점조성), 실온에서 15-20분 방치(액화, 점조성 감소) 액화된 후에도 점도가 큰 경우에는 정자의 운동성이 장애를 받아 불임의 원인이 된다. 반투명한 정액(정자수가 적은 경우), 황색조(염증으로 백혈구가 혼재되 경우) 적갈색(혈액의 혼재, 혈청액증. Hematospermia)
③ 비중(약 1.028), pH(7.1-7.4, 약알카리성)
④ 정자수 : 정자감소증(Oligozoospermia, 40×106/mL 이하), 비교적 정자감소증(20-40×106/mL), 협의의 정자감소증(5-20×106/mL), 절대 정자감소증(5×106/mL 이하), 무정자증(Azoospermia, 0), 자연 임신 희박(5×106/mL 이하)
⑤ 운동성 : 정자사멸증(Necrozoospermia, 정자는 존재하지만 운동성이 없는 경우), 정자무력증(Asthenozoospermia, 운동성이 대단히 원만하여 활발한 전진 활동 정자가 적은 경우), 건강한 남자의 정자 운동속도(평균 30um/sec)
⑥ 기형정자증(Teratozoospermia, 기형 정자가 40%이상을 차지할 경우)
(3) 유의사항 : 정액채취는 적어도 5일 이상 금욕하고, 멸균 Petri Dish 또는 입이 큰 병에 채취하여야 하며, Condom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
1. 정액검사는 불임증의 원인을 진단하는데 매우 긴요함. 정관수술 후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흔히 실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