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어는 배우기 어렵다 ...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베트남어에 대한 첫인상이다... 그러나 역으로 베트남 사람에게 한국어는 더 어려운 언어이다... 기본 동사와 형용사로 말하는 베트남어보다 동사와 형용사가 어미 활용을 하는 한국어는 정말 배우기 어려운 언어이다... 한글은 무척 쉽다... 2일만 배워도 대부분 쓸 줄을 안다..
오늘은 일단 성조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성조에 대하여 …
우리는 목소리의 음조를 변화시켜서 감정이나 느낌을 나타낸다. 하지만 베트남어는 음조를 변화시켜서 단어의 의미를 다르게 전달한다. 예를 들면, M?(무덤), M?(엄마), M?(그러나), M?(모)처럼 동일한 철자를 가졌지만 음조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짐을 볼 수 있다. 베트남어는 자신의 소리 외에도 특별한 운율을 가지고 있는데 이렇게 사용하는 운율(음조)을 성조라고 한다.
베트남어는 응앙(ngang, A; 평성조), 삭(s?c, ?; 올림), 후엔(huy?n, ?; 내림), 호이(h?i, ?; 돌림), 낭(n?ng, ?; 짧게 내림), 응아(ng?, ?; 꺾기)의 6가지 성조를 가지고 있다. 북부어는 성조 가운데 호이(h?i)와 응아(ng?)가 뚜렷하게 구별되나 남부어와 중부어에서는 호이와 응아를 거의 구별하지 않는다. 실제로 남중부 사람은 응아 성조를 거의 발음하지 못한다.
1. D?u ngang (Kh?ng d?u. 평성조): 특별한 성조 표시가 없다. 성조 표시가 없다고 해서 어떻게 발음하든 상관없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 성조는 본래의 높이가 있다. 그러므로 성조 표시가 없는 모든 단어는 이 본래의 높이로 말해야 한다. 평성조의 본래의 높이는 통상적으로 말하는 음성보다도 조금 높고 약간 평탄한 소리이다.
ngang, ma, tinh, em
2. D?u s?c (올림): 이 성조는 d?u ngang의 높이에서 시작하지만 끝부분에서 높아진다.
s?c, m?, t?nh, s?ng
3. D?u huy?n (내림): 이 성조는 d?u ngang보다 낮게 시작하여 계속 낮아진다. 아주 긴 음이다.
huy?n, m?, t?nh, h?a b?nh
4. D?u h?i (돌림): 이 성조도 d?u huy?n과 같은 높이에서 시작하여 내려가다가 시작한 높이 또는 그보다 조금 높게 돌아온다.
h?i, m?, t?nh, h?n, h?n
5. D?u n?ng (짧게 내림): 이 성조는 d?u huy?n처럼 시작한다. 그러다 끊어진 것처럼 갑작스레 짧게 끝낸다.
n?ng, m?, t?nh, l?n x?n
6. D?u ng? (꺾기): 이 성조는 d?u ngang의 높이에서 시작하지만 중간에서 멈춘(꺾은) 다음 빠른 d?u s?c처럼 높게 올린다.
ng?, t?nh, v?nh, vi?n
성조는 베트남어에서 가장 중요한 언어적 요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왜냐 하면 올바른 성조를 사용하지 않으면 의사전달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베트남어가 서툰 외국인이 베트남 사람과 대화할 때 성조가 맞지 않아 대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모습을 흔히 볼 수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순서가 성조를 표기할 때의 일반적인 순서는 아니다. 성조의 표기 순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전마다 약간씩 순서가 다르게 배열되어 있음을 보게 된다. 예를 들면 다낭 출판사의 베트남어 사전은 d?u ngang, d?u huy?n, d?u h?i, d?u ng?, d?u s?c, d?u n?ng 순서로 되어 있는 반면, 하노이 테저이 출판사의 베영 사전은 d?u gang, d?u huy?n, d?u s?c, d?u h?i, d?u ng?, d?u n?ng 순서로 되어 있다. 최근의 사전은 대체로 d?u ngang, d?u huy?n, d?u h?i, d?u ng?, d?u s?c, d?u n?ng 순서를 따르는 추세이다.
위에서 성조의 발음법에 대해 설명을 했지만 사실 이대로 한다고 해서 올바른 성조를 터득하기는 어렵다. 성조를 올바로 발음하기 위해서는 원어민의 발음을 듣고 그대로 따라 하는 것이 ‘자신만의 성조’로 발음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다.
_ 한국어 베트남어 사전 (하브솜)에서 발췌
|
출처: 베트남어 그리고 베트남의 모든 것 원문보기 글쓴이: tudiens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