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에 자신만의 표시를 해두어야 뜻밖의 불이익을 당하지 않는다.
골프장에서 가장 잘못한 짓은 OB를 내는 것이다. 골프장에서 놀자고 약속한 게임에서 놀이터 밖으로 볼을 날려 보냈으니, 변명의 여지가 없다.
이에 못지않게 잘못한 짓은 볼을 잃어버리는 것이다. 내가 친 볼이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면 당연히 책임을 져야 할 노릇이다. 그래서 OB 로스트볼에 대한 처리 방법은 동일하다. 1벌타 후 원위치에서 다시 스트로크를 하는 것이다. 그래서 결국 2타를 잃는 셈이 된다.
잃어버린 볼은 글자 그대로 로스트볼(분실구)이다. 그런데 골프에서의 로스트볼은 그리 단순하지 않다. 우선 볼을 찾기 시작해서 5분 이내에 못 찾으면 그 볼은 로스트볼이 된다. 5분 지나서 찾았다면, 볼은 찾았더라도 그 곳에서 계속 플레이할 수 없다. 로스트볼 규칙에 따라 1벌타 후 원위치에서 다시 스트로크를 해야 한다. 만약 이런 상황이 벌어진다면 참으로 난감할 것이다.
따라서 찾기가 어려울 것 같은 생각이 들면, 잠정구를 치고 가는 것이 권장된다. 그래서 정말로 로스트볼 상황이 발생하면 곧바로 그 잠정구로 플레이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잠정구는 로스트볼로 인해 1벌타 받고 원위치로 되돌아가서 친 것으로 간주된다.
다음과 같은 상황을 가정해 보자. 드라이버 티샷을 했는데 220m 우측의 깊은 러프로 볼이 굴러갔다. 잃어버릴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 잠정구를 쳤는데, 빗맞는 바람에 180m 페어웨이 중앙에 안착했다. 이 때는 페어웨이로 가서 잠정구를 먼저 쳐서 퍼팅그린에 올려놓고 앞으로 전진해 원구를 찾아보면 된다. 만약 5분이 지나도 못 찾으면 원구는 로스트볼이 되므로 퍼팅그린에 올라가 있는 잠정구로 그 다음 플레이를 진행해야 한다. 벌타를 감안하면 4타만에 온그린한 것이므로 원 퍼트로 마무리하면 5타만에 홀아웃한 것이 된다.
그런데 위 상황에서 티잉 그라운드에서 친 잠정구가 잘 맞아서 250m정도 날아갔다고 가정하자. 이 때는 러프에 있는 원구부터 먼저 찾아보아야 한다. 만약 원구보다 홀에 더 가까이 있는 잠정구를 먼저 쳐 버리면, 그 순간 원구는 로스트볼이 돼버리기 때문이다. 이처럼 골프볼은 물리적으로 반드시 잃어버려야만 로스트볼이 되는 것이 아니라 상황적으로 이제 더 이상 의미있는 볼이 아니면 로스트볼이 되는 것이다.
로스트볼과 관련, 다음 사례를 반드시 기억해 공식 대회에서 이로 인해 벌타받는 일이 없도록 하기 바란다.
A와 B 두 사람이 파3홀 티잉그라운드에 섰다. A가 새 볼을 꺼내 티샷을 했다. 티잉그라운드에서는 홀이 보이지 않고 깃대 윗부분만 보인다. 볼은 깃대방향으로 잘 날아갔으니 온그린돼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B 역시 새 볼을 꺼내서 쳤다. 역시 잘 날아갔다. “내 볼은 3번이야” “그래? 내 볼도 3번인데…”
A와 B가 친 볼은 공교롭게도 같은 브랜드의 볼이었다. 퍼팅그린에 가보니 홀 옆 30㎝에 볼이 하나 있다. 그 하나밖에 없다. “이상하다, 분명 둘 다 이 방향으로 왔는데…” 그러다가 A는 깜짝 놀랐다. 홀 안에 볼이 하나 있었던 것이다. 홀인원…. 그런데 둘 다 같은 브랜드, 같은 모델, 같은 번호의 새 볼이었기에 누구 볼이 홀인원한 것인지 알 수 없다. 볼은 구분이 되지 않더라도 먼저 친 순서는 확실히 알고 있으니, 이걸 과학적인 방법으로 규명하여 누구 것이 홀인원된 것이지 알 길이 없을까?
어쨌든 둘 중 한 사람은 홀인원을 한 것이 분명하니, A와 B는 서로 생애 첫 홀인원에 대한 기대감으로 들떠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 골프룰에서는 두 사람 볼을 모두 로스트볼로 처리한다. 골퍼에게는 자신의 볼을 확인할 책임이 있는데 A와 B 모두 그 책임을 다 하지 못한 것이다. 볼을 사면 일단 자기만의 표식을 해 두는 것이 첫째로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