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의 재배 조건으로 기온(temperature), 강우량(precipitation), 습도(humidity), 토양(soil), 지형(topography)과 고도(altitude), 그리고 바람(wind) 등이 중요하다.
첫째는 기온이다. 연간 평균 기온은 18도에서 22도가 가장 적당하다. 기온이 낮으면 잎이 시들 수 있고, 심하면 냉해를 입어 결실에 문제가 생긴다. 반대로 기온이 높으면 오히려 광합성 작용이 위축되어 역시 결실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당도도 떨어진다.
둘째는 강우량이다. 연중 강우량은 1000~2000mm 전후가 적당하다. 지나친 강우량은 토양침식이나 수확 후 건조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개화를 위해서는 일정기간의 건기가 필요하다.
셋째는 습도이다. 아라비카의 경우 60% 정도, 로부스타의 겨우 70~75% 정도의 대기습도가 있어야 한다. 습도가 너무 낮거나 높으면 품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여건에 따라 습도는 이슬이나 안개, 구름 등에 의해서도 보충될 수 있다.
넷째는 토양이다. 뿌리의 발육과 물 저장을 위해 표토(top soil) 층은 깊어야 한다. 토양은 뿌리성장과 배수에 좋은 다공질이어야 한다. 또한 유기질이 풍부해야 하며, 약산성이어야 한다.
다섯째는 지형과 고도이다. 지형은 평지나 약간 경사진 언덕이 적합하다. 경사가 심하여 경작이 어려운 지역이나 기계화가 어려운 지역은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가뭄에 대비하여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지역이 좋다. 고도는 높을수록 빈의 조직이 단단하고 밀도가 높아 향과 맛이 좋다. 반면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빠르게 숙성된 커피는 조직과 맛에 있어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온다.
여섯째는 바람이다. 강풍이나 태풍은 나무 가지나 꽃과 결실에 해가 됨으로 커피재배에 좋지 않다. 그러나 바람이 강하게 부는 지역에서는 방풍림을 심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
커피 재배조건과 생장과정
커피 재배조건

커피는 열대성의 비가 많은 고산지역에서 재배된다. 커피는 재배조건이 까다로운 점이 있다.
강우량은 연간 최저 1000mm, 최고 1800mm가 좋으며 배수가 잘 되고 서리가 내리지 않는 곳이 커피 재배에 적합한 곳이다. 열매가 맺을 때까지는 우기, 열매가 맺고 나서는 건기가 계속 되어야 좋은 품질이 나올 수 있다. 1000mm 이하면 재배는 가능, 그러나 좋은 열매가 나오지 않는다.
빛을 많이 받아야 하나 습도 유지를 위해 알맞은 그늘이 필요하며 경사진 곳이나 적당한 그늘이 있는 곳이 적당하며 바람도 또한 커피의 수확량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된다. 이와 함께 토양은 매우 중요하다. 땅은 ph 5~6의 약산성의 토양에 인, 명소산, 칼슘, 마그네슘 등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야 하는데, 대체로 위도상 28도에서 남위 30도 사이가 여기에 해당되며 이를 키피존, 커피벨트라 부른다.
첫댓글 강우량은 연간 최저 1000mm, 최고 1800mm가 좋으며 배수가 잘 되고 서리가 내리지 않는 곳이 커피 재배에 적합한 곳이다. 열매가 맺을 때까지는 우기, 열매가 맺고 나서는 건기가 계속 되어야 좋은 품질이 나올 수 있다.
커피의 재배 조건으로 기온(temperature), 강우량(precipitation), 습도(humidity), 토양(soil), 지형(topography)과 고도(altitude), 그리고 바람(wind) 등이 중요하다.
빛을 많이 받아야 하나 습도 유지를 위해 알맞은 그늘이 필요하며 경사진 곳이나 적당한 그늘이 있는 곳이 적당하며 바람도 또한 커피의 수확량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된다. 이와 함께 토양은 매우 중요하다. 땅은 ph 5~6의 약산성의 토양에 인, 명소산, 칼슘, 마그네슘 등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야 하는데, 대체로 위도상 28도에서 남위 30도 사이가 여기에 해당되며 이를 키피존, 커피벨트라 부른다.
인도차이나 반도에서는 베트남 서부 고지대, 캄보디아 북동부 몬돌끼리, 라따나띠리, 라오스은 동부 산간지대가 커피 재배 가능지역입니다, 라오스 남부지역은 고급 아라비카 커피 유망지역이기도 합니다.
태국 평지에서도 11월~12월에 생산되는 아라비카를 많이 재배하고 있다고 합니다. 자료 감사합니다.
저지대 재배종 이라면 로브스타종일듯 합니다. 아라비카는 해발고도가 높아야 합니다.
지금 베트남이 큰 커피 수출국중 하나인데 상당한 양이 캄보디아와 라오스에서 수확한 것이라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사실인가요?
현재 베트남에서 생산되는 커피는 로브스타종이 주류 입니다, 평지에서 재배되는 저가 품종입니다.
어린애들 노동착취산업...ㅡㅡ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빠르게 숙성된 커피는 조직과 맛에 있어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온다.
이 커피존 중에도 남북회귀선인 23.5도의 고산지대가 최적지로 꼽히며 이 부근에서 최고 질 좋은 커피가 생산된다.
좋은 자료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커피한잔 들고 잡따
커피한잔 들고 잡따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잘 보았습니다..^^
좋은 자료 잘 보고 갑니다..^^
잘 보고 갑니다..^^
좋은 자료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공부 잘 하고 갑니다..^^
좋은 자료 잘 보고 갑니다..^^
좋은 자료 잘 보고 갑니다..^^
잘 보고 갑니다..^^
좋은 자료 잘 보고 갑니다..^^
잘 보고 갑니다..^^
잘 보고 갑니다..
좋은 자료 잘 보고 갑니다..^^
좋은 자료 잘 보고 갑니다..^^
좋은 자료 잘 보고 갑니다..^^
좋은 자료 보고 갑니다
좋은 자료 잘 보고 갑니다..^^
좋은 자료 잘 보고 갑니다..^^
잘 보구갑니다
커피공부가 재밌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정보 잘보고갑니다...
좋은 자료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잘 보았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감사..^^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