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부포동사람들
 
 
 
카페 게시글
건설관련 이야기 스크랩 히트미러 복층 유리, 로이 유리(Low-E유리, Low-Emissivity Glass)
이원학 추천 0 조회 1,699 14.12.08 17:50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히트미러 복층 유리 
 

이래서 좋습니다

건축물의 창은 단순히 투과기능 뿐만 아니라 실내의 쾌적함과 에너지 절약을 위해 열에너지를 차단해 주고 태양열을 조절해 주는 기능을 가진 중요한 부분입니다.
창의 열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켜 주는 한글라스 히트미러복층유리는 두장의 판유리 사이에 특수 금속코팅 필름을 삽입하여 기존의 복층유리와는 달리 두 개의 건조 공기층을 갖게 함으로써, 3중 복층유리와 같은 종합적 성능을 지니며 필름에 의한 단열효과가 매우 뛰어나 창의 효용성과 단열성능을 월등히 증가시킨 특수 절연유리입니다.
● 단열효과가 뛰어나 실내에 안락감을 제공해 주며
● 자외선을 99.5% 넘게 차단하여 물체의 변색을 방지하여 주고
● 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막고 적외선을 선택적으로 차단시켜 주어 식물생장에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 주며
● 공간 내부의 필름이 차단막 역할을 함으로써 소음차단 성능이 뛰어나고
● 실내.외의 온도와 습도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슬맺힘 현상을 완전히 방지해 주며
● 사용하는 원판이 종류에 따라 색상이 다양하여 건축물에 개성을 부여하여 주는 좋은 유리입니다

 

 

이렇게 다릅니다

한극라스 히트리머복층 유리를 만드는데 사용하는 히트미러
필름은 미국의 Southwall Technologies 사애에서 개발한 첨단
소재로서, 무색투명하면서 빛 파장을 선택적으로 반사 투과시킬 수 있도록 폴리에스터 필름에 다층으로 금속코팅한 제품입니다. 두 개의 스틸 스페이서(steel spacer)사이에 열에너지 효율을
높여 주는 히트미러 필름을 삽입한 뒤에 스페이서를 사이에
두고 한글라스 판유리를 맞대어 특수 우레탄으로 접착한 뒤에
필름의 팽창이 유지되도록 열처리를 하여 만들어지는 한글라스 히트미러 복층유리는 외관이나 중량에 있어서는 같은 두께의
일반 복층유리와 비교하여 별차이가 없으나 단열성능은 두곱
이상이나 되어 에너지 절약을 극대화시켜 주는 아주 탁월한 상품입니다. 또 원, 삼각형, 사다리꼴 같은 어떤 모양으로도 제작이 가능하여 원하는 시공부위에 다양한 모양으로 시공이 가능하며,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에 따라 6종류의 필름(HM88/77/66/55/44/33)이 있어 상품의 선택범위가 넓습니다

이렇게 쓰여지면 좋습니다
한극라스 히트미러복층유리는
● 빌딩과 일반주택의 창
● 북향 창이나 추운지방의 건축물 창
● 직사광선이 적은 건축물의 창
● 하늘이 보이는 거실의 일광창
● 역사적 복원 건축물의 창
● 냉장, 냉동용 쇼케이스
● 컴퓨터실, 수영장, 온처장의 창
● 동.식물원, 농업 및 임업시험장의 창
● 온도나 습도 조절이 필요한 건축물의 창에 사용합니다



여름



겨울

 

시공할 때에 참조해 주십시오.

시공할 때에는 한글라스 표준 시공도에 따라야 하며 부자재로 사용하는 실링재, 세팅블록, 백업재 등은 창호구성 주요 부자재를 참고하여 적합한 재질의 것으로 선택하여 주십시오.
또 히트미러 필름의 코팅면이 외판유리 쪽에 오도록 설치해야 하며 접착제가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한글라스 히트미러복층유리는 가공 뒤에 절단, 면취 같은 일체의 가공을 할 수 없으므로 모양, 치수를 정확히 해야 합니다.

표준시공도

시공부위의치수                                단위 : mm

t

t₁

A

A

t₂

a

b

c

d

18

3

6

6

3

5

5

15

8

24

6

6

6

6

7

7

17

8

기호설명
1. 실링재(sealing material)
2. 백업재(backup material)
3. 세팅블록setting block)
4. 결로수 배출구
   (weep hole, ¢는 최소 5mm)
a.면의 간격
b.실링재의 깊이
c.판유리의 깊이
d.가장자리의 간격
w.판유리의 폭
H.판유리의 높이
t.판유리의 두께
A 공기층

상품의 규격 

두께

와판구성
외판+공기층+필름+공기층+내판

최대크기

평균무게 
kg/㎡

mm

inch

16

3+5A+HM+5A+3

1,219×1,829

48×72

15.6

18

3+6A+HM+6A+3

1,219×1,829

48×72

15.6

20

5+5A+HM+5A+5

1,804×2.438

71×96

25.6

22

6+5A+HM+5A+6

1,804×2.743

71×108

30.6

24

6+6A+HM+6A+6

1,804×2,743

71×108

30.6

28

8+6A+HM+6A+8

1,804×3,048

71×120

40.6

40

8+12A+HM+12A+8

1,804×3,048

71×120

41.0

자외선영역에서의 분광투과곡선
 


상품의 광학특성

품명

두께구성
 외판+공기층+내판
mm

가시광선

태양복사열

열관류율

차폐
계수

취득
총열량kcal/
m²hr˚C

투과율

반사율

투과율

반사율

kcal/
m²hr˚C

히트미러맑은복층유리

 

 

 

6CL+6A+HM88+6A+6CL

67

17

39

23

1.6

0.60

349

투명

6CL+6A+HM77+6A+6CL

61

23

32

33

1.5

0.49

290

6CL+6A+HM66+6A+6CL

53

31

26

39

1.5

0.41

243

6CL+6A+HM55+6A+6CL

45

37

21

43

1.5

0.35

209

6CL+6A+HM44+6A+6CL

36

41

16

46

1.5

0.30

181

6CL+6A+HM33+6A+6CL

28

55

12

53

1.5

0.23

140

히트미러 색복층유리

 

 

 

 

 

 

 

 

 

 

 

 

 

 

 

6BZ+6A+HM88+6A+6CL

41

10

26

13

1.6

0.43

257

황동색

6BZ+6A+HM88+6A+6CL

35

11

19

15

1.5

0.34

204

6BZ+6A+HM77+6A+6CL

30

13

15

17

1.5

0.29

176

6BZ+6A+HM55+6A+6CL

26

15

12

19

1.5

0.26

156

6BZ+6A+HM44+6A+6CL

21

17

9

20

1.5

0.23

142

6BZ+6A+HM33+6A+6CL

16

21

7

22

1.5

0.18

117

6GN+6A+HM88+6A+6CL

57

14

29

13

1.6

0.44

262

녹색

6GN+6A+HM77+6A+6CL

51

18

24

17

1.5

0.38

226

6GN+6A+HM66+6A+6CL

45

24

20

17

1.5

0.33

201

6GN+6A+HM55+6A+6CL

38

28

17

20

1.5

0.30

179

6GN+6A+HM44+6A+6CL

31

31

13

20

1.5

0.26

162

6GN+6A+HM33+6A+6CL

24

41

10

25

1.5

0.21

131

6BL+6A+HM88+6A+6CL

42

9

24

12

1.6

0.41

246

청색

6BL+6A+HM77+6A+6CL

39

12

20

15

1.5

0.35

209

6BL+6A+HM66+6A+6CL

34

16

16

17

1.5

0.30

181

6BL+6A+HM55+6A+6CL

29

18

13

19

1.5

0.26

162

6BL+6A+HM44+6A+6CL

23

20

10

20

1.5

0.23

145

6BL+6A+HM33+6A+6CL

18

25

7

23

1.5

0.19

117

주 : 1. 가시광선, 태양복사열은 판유리면에 직각으로 입사(입사각 0˚)할 때의 측정치임.
      2. 가시광선 투과율은 "C"광원을 이용한 측정치임
      3. 열관유율(ASHRAE 기준)
         실외풍속 : 6.7m/sec
         실내풍속 : 자연대류
         실외온도 : -18˚C
         실내온도 : 21˚C
         태양강도 : 0 kcal/m²hr
     4. 차폐계수는 3mm 맑은유리의 태양복사열 투과량을 기준 (기준값 : 1.0)으로 했을 때에
         비교유리의 태양복사열 투과량 비례치임.
    ※ 특기사항 : C계열 반사유리는 단판으로는 사용하지 않고 복층유리로만 사용됨

주2 : 6BZ+6A+HM88+6A+6CL
       (예 : 6→1, BZ→2, 6→3, A→4, HM→5, 88→6, 6→7, A→8, 6→9, 10→10)
     1. 외판유리 두께
     2. 외판유리 품명 : CL은 맑은유리, BZ은 브론즈, GN은 그린, BL은 블루
     3. 공기층 두께
     4. 공기층 표시
     5. 히트미러 필름표시
     6.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
     7. 공기충두께
     8. 공기층 표시
     9. 내판유리 두께
   10. 내판유리 품명


 

 
 
 

로이 유리(Low-E유리, Low-Emissivity Glass)

 

 

1. 개요

① 로이 유리란 일반 유리 내부에 적외선 반사율이 높은 특수금속막(일반적으로 은

   사용)을 coating시킨 유리로 건축물의 단열성능을 높이는 유리이다

② 특수 금속막은 가시광선을 투과시켜 실내의 채광성을 높여주고, 적외선은 반사하

   므로 실내외 열의 이동을 극소화시켜 실내의 온도 변화를 적게 만들어주는 에너

   지 절약형 유리이다

③ 로이 복층유리는 판유리에 단열효과가 뛰어난 특수금속막을 coating 하므로 고단

   열 복층유리가 된다


2. 로이 유리의 개념

1) 방사율

 

     ① 적외선 에너지(열선)를 반사하는 척도

② 방사율이 낮을수록 단열성능 우수


2) 에너지 절약

 

 

① 판유리나 복층유리에 비해 에너지 절약성이 우수

② 로이 복층유리는 판유리에 비해 32%, 복층유리에 비해 6%정도 에너지 절약됨


3. 로이 유리의 적용

1) 여름철 냉방시

 

 

    ① 여름철 냉방이 중시되는 상업용

        건축물에 유리

    ② 실외의 태양복사열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


2) 겨울철 난방시

 

 

① 겨울철 난방이 중시되는 주거용

   건축물에 유리

② 실내의 난방기구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내부로 반사


3) 사계절용

 

 

    계절에 상관없이 실내의 우수한

    단열성능 발휘


4. 로이 유리의 장점

① 에너지 절약

② 우수한 단열성능 효과

③ 소음 차단효과 우수

④ 유리면에 발생하는 결로 저감

⑤ 다양한 색상 가능

 

 

시스템 창호에서 로이 유리(Low-E Glass)란?  


전원주택의 시스템창호에 대한 많은 질문중 하나가 "유리가 좀 얇은 것 같아요." 입니다.

하시만, 그기능과 성능을 알게되면 그다지 ?아보이지는 않습니다.^^

 

보통 시스템 창호에서 유리는 로이 유리(Low-E Glass)를 사용하게 됩니다.

(미국식)시스템 창호의 제조회사는 여러곳이 있는데, 그중 AWS(American Weather Seal : 창호회사)의 제공된 자료를 토대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로이 유리(Low-E Glass)의 특징

 

 

1. 로이 유리(Low-E Glass)는 자연광(가시광선)의 출입이 원활합니다.
2. 로이 유리(Low-E Glass)는 겨울에 가시광선과 짧은 적외선(열선)을 집안으로 투과 시킵니다.

    동시에 난방기구에서 발생된 열을 실내로 반사시켜,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 시킵니다.

3. 겨울에 창분 부위의 외풍을 제거, 윈도우 섀시에 해를 줄 수 있는 유리표면의 수분 응결을 줄여 줍니다.

4. 실내의 카펫, 커튼, 의류,가구등의 색을 바래게 하는 자외선의 출입을 감소시킵니다.

5.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열의 축적을 감소시켜 안락함과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6. 아르곤 가스(Argon Gas)주입으로 단열 및 에너지 효율이 높습니다.

(여름)

(겨울)

 

구분

U

R

단열유리(일반유리)

.48

2.00

Low-E 유리

.34

2.94

 

위 표는 AWS(American Weather Seal : 창호회사)에서 실험한 자료입니다.

U(열손실율)값이 낮을 수록,  R(단열계수)값은 높을 수 록 성능이 우수합니다.

 

 

 


로이유리는 에너지 절약형 유리로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영어의 low emissivty에서 나온 것으로 저방사 유리란 뜻이다.
 
보통 태양광의 파장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유리의 색과 관련이 있는 파장은 가시광선 영역이고 냉난방과 관련된 파장은 적외선 영역이다.
 
그런데 로이유리는 일반 유리와 가시광선 투과율은 비슷하지만 적외선 부분의 반사율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일반유리는 적외선 부분의 일부만 반사시키는데 반해 로이유리는 대부분을 반사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이유리는 겨울철 실내의 난방기구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반사해 실내로 되돌려 보내고 여름철에는 실외에서 태양열로부터 발생하는 복사열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해 창호의 단열성이 우수해 진다.
동시에 UV(자외선)를 차단하기 때문에 실내의 가구나 카페트, 커튼 등의 변색 등을 줄일 수 있다.
 
로이유리는 코팅방법에 따라 스퍼터링공법(sputtering process)에 의한 소프트 로이(soft low-E)와 파이롤리틱 방법(Pyrolytic process)에 의한 하드 로이(hard low-E)로 구분된다.
그런데 하드로이는 후처리 가공이 자유롭고 단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소프트 로이에 비해 단열성능이 떨어진다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어 널리 보급되지 않고 있다.
 
소프트 로이는 유리의 표면에 적외선 반사율이 높은 금속(일반적으로 은)을 코팅한 유리인데 단순히 은만을 코팅하는 경우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반사율이 높아지고 내마모성 등이 나빠지기 때문에 은코팅막 주위에 유전체막(산화주석, 산화아연, 산화티탄, 질화규소 등)을 코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다중 코팅방법이 코팅막을 균일하게 형성시키기 때문에 방사율이 낮아 건축물의 창호부분 열관유율을 개선할 수 있다.
 
외국에서의 에너지 절약형 유리사용 실태
 
일본은 현재 40% 로이유리가 사용되고 있으며 법제화의 영향으로 사용량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85% 정도가 로이유리를 사용하고 있다.
유럽의 경우도 로이유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2000년 5,700만㎡ 정도로 이는 1990년도와 비교해 시장 성장률이 약 7배나 증가한 것으로 로이유리의 사용이 보편화 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복층유리 시장에 있어 로이유리의 사용비율을 국가별로 살펴보면 독일이 91%, 스위스가 78%, 오스트리아가 72%, 이탈리아가 14%, 프랑스가 11%, 유럽 전체 평균도 약 40%나 되고 있어 많은 양의 로이유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복층유리 시장에서 로이유리의 사용비율이 1.5%도 채 되지 못해 창호의 단열면에서 후진성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데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에너지 고효율과 연계해 로이유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LOW1과 LOW2는 차이점이 있는데 LOW1은 유리의 한쪽 면만 코팅한 것이고 LOW2는 유리의 양쪽면을 코팅했기 때문에 열효율이 더욱 증가한다.
 
LOW-E 처리와 더불어 아르곤 가스와 WARM EDGE SPACER(웜 에지 스페이서) 또한 열효율을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최종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초기에 약간의 돈을 추가해 LOW2와 아르곤 가스 및 WARM EDGE SPACER(웜 에지 스페이서) 사양의 창호를 사용하는 것이 훗날을 생각한다면 훨씬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한글라스, 에너지 절약형 고효율 고기능 로이유리

[AVING-KOREA] 유리전문기업 한글라스는 로이유리의 단열성능 및 반사유리의 태양열 차단성능을 동시에 갖추면서, 단열성능을 더욱 높이고 빛의 유입량까지 늘려주는 에너지 절약형 고효율, 고기능 로이유리인 ‘에버라이트 슈퍼’를 오는 7월에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건설교통부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고유가 시대에 대응한 건물 부문 에너지 이용 합리화 방안’에 따라 2007년부터 대형빌딩과 공공 건축물에 ‘에너지 소비 총량제’가 도입되고, 건축물 단열 등의 에너지 절감기준을 지금보다 10% 강화하는 방안이 추진되는 등,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발표된 소식이어서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사진설명 : 싱가폴의 History Museum. 7월에 완공될 예정)

‘에버라이트 슈퍼’는 기존 저(低)반사 로이유리인 ‘에버라이트’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을 보완한 제품으로 특수 로이코팅막으로 단열기능을 향상시켰으며, 냉방부하를 줄여주는 기존 반사유리가 가시광선 유입을 어느 정도 막는다는 점을 감안, 가시광선 유입을 최대한 늘릴 수 있도록 해 좀 더 밝고 환하게 실내를 유지해 준다.

(사진설명 : 싱가폴의 Marina Bay에 위치해 있는 최고급 주거용 빌딩 ""Ths Sali"")

열관류율이 1.7W/㎡K로서 고효율 등급이 필요한 주거 및 상업용 건물에 적합하며, 가시광선 투과율과 냉난방 효과를 함께 높이고 싶은 건물의 외창에 사용하면 효과적이라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이다.

두께구성은 24㎜(6+12+6) 또는 26㎜(8+12+6), 최대크기는 2,438×3,658㎜이며 복층유리로 사용해야 한다. 현재 싱가폴의 ‘The Sail’ 및 ‘History museum’ 프로젝트에도 적용돼 있다. 생산은 한국가공유리㈜.

(사진설명 : 연관류율이 낮을수록 난방효율이 높고, 차폐개수가 낮을수록 냉방효율이 높다)

(사진설명 :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을수록 실내가 밝고, 차폐개수가 낮을수록 태양열이 더 많이 차단된다)

 

 

에너지 절약형 유리! 건축물의 여러부분 중 에너지 소모가 가장 많은 곳이 바로 창호입니다. 로이유리는 겨울철에
창호를 통해 태양복사열을 실내로 투과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난방열을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개발된 제품입니다.

 

 

 

 

 

 

 

 

  로이유리는 많은 우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로이유리: 한국유리.금강유리 = 부광창호는 2개사 공통사용)

 

 

겨울철 난방비 절감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로 실내 채광효과가 뛰어나고, 높은 단열성능으로 겨울철 난방비를 절감시켜 드립니다.

 

 

 

 

 

 

 

탁월한 결로예방 효과

 

 

복층유리 조합시 일반복층유리 대비 30% 정도의 높은 단열성능으로 겨울철 유리표면 이슬맺힘 예방효과가 뛰어납니다.

 

 

 

 

※ 단, 결로현상의 경우 실내의 온습도 조건에 따라 상이할 수 있습니다.

 

 

 

 

 

완벽한 자연과의 조화

 

 

마치 코팅하지 않은 유리처럼 맑고 투명하여 주변의 어떠한 환경과도 완벽하게 어울립니다.

 

 

 

 

 

쾌적한 실내환경 제공

 

 

겨울철 창문 주위의 불쾌한 냉복사를 차단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해 드립니다.

 

 

 

 로이유리의 활용 용도의 폭은 아주 넓습니다. (한국유리. 금강유리 = 부광창호는 2개사 공통사용)

 

 

■ 채광과 에너지 절약이 동시에 요구되는 장소

 

 

■ 결로예방이 필요한 건물

 

 

■ 아파트, 주상복합, 사무실, 호텔, 빌딩의 창

 

 

■ 단열성능이 요구되는 건물

 

 

 

생산규격

 

 

두께(㎜)

 

최대규격(㎜)

5

2,438 × 3,600

6

8

 

 

※ 상기 규격외 규격은 주문생산에 한함.

 

 

 

 

 

 

 

 

 

 

 

 

 

 

 

 

 

 

 

 

 

 

 

 

 

 

 

 

 

 

 

 

 

 

 

 

 

.

 

 

 

 

 

 

 

 

 

 

 

 

 

 

 

 

 

 

 

 

 

e-GLASS 복층유리

유리구성

자외선
투과율
(%)

가시광선

태양복사열

열관류율(W/㎡K)

차폐계수

취득
총열량
(W/㎡)

색상

투과율

반사율

투과율

반사율

KS

ASHRAE

KS

ASHRAE

5CL+12A+|5EVI181

18

73

13

45

22

1.75

1.76

0.68

0.67

435

Clear

6CL+12A+|6EVI181

16

71

12

41

21

1.74

1.76

0.65

0.64

414

Clear

8CL+12A+|8EVI181

15

70

12

37

19

1.73

1.74

0.61

0.61

399

Clear

5GN+12A+|5EVI181

11

64

10

30

13

1.75

1.76

0.51

0.49

324

Green

6GN+12A+|6EVI181

9

61

10

27

12

1.74

1.756

0.46

0.46

301

Green

8GN+12A+|8EVI181

7

56

9

21

9

1.73

1.74

0.41

0.40

263

Green

6ECI173|+12A+6CL

12

64

20

34

25

1.68

1.72

0.51

0.51

332

Light Blue

6ECI264|+12A+6CL

9

56

14

26

10

1.77

1.78

0.43

0.42

279

Green

6ECI350|+12A+6CL

9

43

11

23

9

1.77

1.78

0.39

0.38

255

Blue

5CL+6A+|5EVI181

18

73

13

45

22

2.55

2.43

0.67

0.67

436

Clear

6CL+6A+|6EVI181

16

71

12

41

21

2.54

2.41

0.64

0.65

415

Clear

8CL+6A+|8EVI181

15

70

12

37

19

2.51

2.39

0.61

0.61

401

Clear

5GN+6A+|5EVI181

11

64

10

30

13

2.55

2.43

0.52

0.50

336

Green

6GN+6A+|6EVI181

9

61

10

27

12

2.54

2.41

0.48

0.47

314

Green

8GN+6A+|8EVI181

7

56

9

21

9

2.51

2.39

0.42

0.41

279

Green

6ECI173|+6A+6CL

12

64

20

34

25

2.49

2.39

0.52

0.51

341

Light Blue

6ECI264|+6A+6CL

9

56

14

26

10

2.56

2.43

0.46

0.44

297

Green

6ECI350|+6A+6CL

9

43

11

23

9

2.56

2.43

0.42

0.41

275

Blue

 

 

 

 

 

1. 가시광선, 태양열복사열은 유리면에 직각(90°) 입사했을 때의 측정치임.

 

 

2. 투과율, 반사율은 KS L 2003(or KS L 2525)에 의한 측정값으로 정격수치이며, 허용오차는 ±3 %임.

 

 

3. 열관류율 및 차폐계수, 취득총열량은 Window 5.2 프로그램에 의한 계산값임.

 

 

4. 차폐계수는 3 ㎜ 맑은 유리의 태양열취득률을 1.0으로 기준했을 때의 비교수치임.

 

 

5. 두께구성

6

ECI173

+

12

A

+

6

CL

|

|

|

|

|

|

 

 

 

 

 

 

 

① 외부유리 두께

 

 

 

② 외부유리 품종

 

 

 

ECI ??? : e-GLASS

 

 

 

 

 

 

 

③ 공기층 두께 ④ 공기층 표시(Air) ⑤ 내부유리 두께

 

 

 

⑥ 내부유리 품종, EVI ??? : e-GLASS

 

 

 

 

 

6. 복층구조

 

 

 

2면 : 코팅면(ECI ???)
3면 : 투명로이유리 코팅면(EV1181) 

 

7. 상기수치(열관류율 및 차폐계수)는 계산값이므로 실제 측정값과 차이가
    날 수 있음.
8. 열관류율값은 겨울철을 기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