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발레음악의 아버지 차이코프스키(Tchaikovsky/러시아)
차이코프스키(Pyotr Ilich Tchaikovsky, 1840.5.7~1893.11.6)는 고전 러시아 발레음악의 최고로 평가받는 ‘백조의 호수(Swan Lake)’, ‘호두까기 인형(The Nutcracker)’, ‘잠자는 숲속의 미녀(Sleeping Beauty)’를 작곡한 위대한 작곡가이다. 그 밖에도 차이코프스키는 음악의 여러 장르에 작품을 남겼는데 너무나 유명한 교향곡 6번 ‘비창(悲愴)’을 포함하여 8곡의 교향곡을 작곡한다.
오페라는 푸슈킨의 시를 각색한 ‘예브게니 오네긴’을 포함하여 10편, 그 밖의 널리 알려진 관현악곡으로 ‘서곡 1812년’, ‘로미오와 줄리엣(Romeo and Juliet)’, ‘슬라브 행진곡(Slavonic March Op.31)’, ‘이태리 기상곡(奇想曲:Italian Capriccio Op.45)’ 등이 있고 바이올린과 피아노 협주곡도 작곡하였다.
◉ 차이코프스키의 발레음악 ◉
백조의 호수 / 잠자는 숲속의 미녀 / 호두까기 인형
(1) <발레음악> 백조의 호수(Swan Lake Op.20) 1877년 - 전 4막, 36곡
<< 줄거리 >>
지그프리트 왕자의 성년식 날, 날아가는 백조의 모습을 본 왕자는 여왕에게 선물 받은 화살을 가지고 숲으로 사냥을 간다. 숲속의 호숫가에서 왕자는 백조들이 인간으로 변하는 장면을 목격한다.
이들은 마법에 걸려 낮에는 백조로 변하는 오데트(Odette) 공주이다. 그녀에게 한눈에 반한 지그프리트는 변치 않는 사랑을 받으면 저주에서 풀려난다는 말을 전해 듣고 오데트 공주에게 사랑의 맹세를 하고 다음 날 있을 무도회에서 그녀와의 결혼을 발표하겠다고 약속한다.
다음날, 무도회장에서 오데트를 기다리던 지그프리트는 악마 로트바르트(Rothbart)가 데리고 온 악마의딸 오딜(Odile)을 오데트로 착각하여 결혼을 발표하고 영원한 사랑을 약속하자 로트바르트는 악마는 본색을 드러내며 오딜을 데리고 사라진다. 자신의 잘못을 알게 된 왕자는 영원히 백조로 살아야만 하는 오데트에게 가서 용서를 구한다. 이 때 이 둘을 갈라놓기 위해 악마 로트바르트가 다시 나타난다.
‘백조의 호수’의 결말은 연출자에 따라 악마와 싸우다 두 사람이 함께 죽는 것, 왕자는 죽고 오데트는 백조로 남는 것 혹은 사랑의 힘으로 악마를 물리치는 것 등 달라진다.
제1막 왈츠 / 제2막 정경, 작은 백조(4마리)들의 춤, 백조들의 춤: 오데트와 왕자의 춤
제3막 헝가리 춤, 마주르카(Mazurka) / 제4막 정경, 피날레(Finale)
1882년 차이코프스키는 발레 초연 이후 친숙해진 6개의 악곡을 선곡하여 연주회용 모음곡을 만들었다.
제1곡 정경(Scene) / 제2곡 왈츠(Valse) / 제3곡 작은 백조의 춤(Dance des Cygnes)
제4곡 정경(Scene) / 제5곡 헝가리의 무곡(Dance Hongroise) / 제6곡 정경(Scene)
(2) <발레음악> 잠자는 숲속의 미녀(Sleeping Beauty Op.66) 1890년 - 3막 5장
차이코프스키는 프랑스의 작가 페로(Charles Perrault)의 동화 ‘잠자는 숲속의 공주’를 발레곡으로 작곡하는데 ‘백조의 호수’를 발표한 이후 십여 년 만에 내놓은 발레 작품이다.
<< 줄거리 >>
오랜 기다림 끝에 스테판 왕과 왕비 사이에 오로라 공주가 태어난다. 왕은 공주의 명명식(命名式)이 거행되는 날을 축제일로 선포하고 축하파티를 여는데 요정들도 공주에게 각각의 재능과 성격을 선물한다.
요정 프로라는 아름다움을, 포나는 고운 목소리를, 그리고 메리웨더는 영원히 행복하라고 축복을 내리는 순간 축제에 초대 받지 못한 데 앙심을 품은 악의 요정 카라보스가 나타나 ‘오로라 공주는 16세 생일날 물레바늘에 손가락이 찔려 죽을 것’이라는 저주를 내리고 사라진다.
모두 소스라치게 놀라고 있을 때 아직 공주에게 선물을 전하지 않은 요정 리라가 공주는 죽음 대신 100년 동안 잠이 들며, 왕자의 입맞춤으로 그녀가 눈을 뜰 것이라고 말하여 모두의 불안을 해소한다.
세월이 흘러 16살이 된 오로라 공주의 생일날 축하무도회를 여는데 4명의 왕자가 오로라 공주에게 청혼을 하고 공주는 이 왕자들과 춤을 춘다. 그 자리에 꼽추 노파로 변장한 악의 요정 카라보스가 숨어들어 바늘을 던진다. 공주는 손가락에 상처를 입고 카라보스의 예언대로 깊은 잠에 빠진다.
그로부터 백년 후, 숲에 온 왕자 차밍에게 리라의 정령이 잠든 공주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왕자를 공주가 있는 곳으로 데려간다. 왕자가 잠든 공주에게 키스를 하자 공주는 잠에서 깨나고 왕은 왕자에게 오로라 공주와의 결혼을 승낙한다.
제1막 제1장 : 명명식(命名式) - 악의 요정 카라보스가 나타나 불길한 예언을 한다.
제2장 : 주문(呪文) - 공주의 16세 생일파티
- 4명의 왕자 청혼, 꼽추 노파로 변장한 카라보스가 던진 바늘에 찔려 공주는 잠에 빠진다.
제2막 : 숲 속의 환영(幻影) - 100년 후 차밍왕자의 등장
제3막 제1장 : 궁전의 응접실 - 차밍왕자의 키스로 잠에서 깨어난 공주가 청혼을 승낙한다.
제2장 : 결혼식 - 차밍왕자와 오로라 공주의 결혼식
차이코프스키는 ‘잠자는 숲속의 미녀’ 중에서 다섯 곡을 추려 ‘연주회용 모음곡(Op.66a)를 만들었다.
이 곡들은 연주가들이 즐겨 연주하는 곡들인데 ‘리라의 정령’(Dance of the Lilac Fairy), ‘파 닥시옹’ (Pas d'Action), ‘장화 신은 고양이’(Pas de caractère), ‘파노라마’(Panorama), ‘왈츠’(Waltz)이다.
이 중에서 마지막 곡 ‘왈츠’가 가장 유명하며 독립해서 많이 연주하는 곡이다.
(3) <발레음악> 호두까기 인형(The Nutcracker Op.71) 1892년 2막 3극
독일의 소설가 호프만(Amadeus Hoffmann)의 동화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 왕’을 원작으로 작곡된 것이 발레음악 ‘호두까기 인형(The Nutcracker)’이다.
<< 줄거리 >>
크리스마스 전날저녁 클라라는 할아버지로부터 호두까기 인형을 선물로 받고 잠이 든다.
갑자기 생쥐 왕이 부하들을 이끌고 습격해 오는데 호두까기 인형이 병사 인형들을 지휘하며 이에 맞서는데 전세가 불리하자 클라라가 슬리퍼를 던져 생쥐 왕을 쓰러뜨리고 생쥐들은 모두 도망간다.
호두까기 인형이 왕자로 변신해 생명을 구해준 보답으로 클라라를 과자나라에 초대한다. 각 과자를 상징하는 요정들과 함께 어울려 여러 나라의 춤을 즐겁게 춤춘다.
차이코프스키는 이 곡들 중에서 서곡, 춤곡(행진곡, 사탕요정의 춤, 러시아의 춤, 트레팍, 아라비아의 춤, 중국의 춤, 풀피리의 춤), 꽃의 왈츠를 묶어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을 만들어 공연하여 호평을 얻었다.
제1막 제1장
(1) 정경, 크리스마스트리 (2) 행진곡 (3) 작은 갈롭, 새로운 손님의 등장
(4) 춤추는 정경, 어린아이들의 선물 (5) 정경, 그로스파터(Großvate:할아버지)의 춤
(6) 정경, 손님들의 퇴장, 아이들은 침실로, 마법의 시작
(7) 정경,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 왕의 전투, 호두까기 인형의 승리, 왕자로의 변신
제1막 제2장
(8) 정경, 겨울의 솔밭 (9) 눈의 왈츠
제2막
(10) 정경, 마법의 성 (11) 정경, 클라라와 호두까기 인형 왕자의 등장
(12) 디베르티스망(Divertissement) - 초콜릿(스페인의 춤) - 커피(아라비아의 춤) - 차(중국의 춤)
- 트레팍(Trepak:우크라이나춤), 러시아의 무용 - 풀피리의 춤 - 멜 시곤뉴와 폴리시넬(인형)들의 춤
(13) 꽃의 왈츠 (14) 파드되(Pas de deux:발레) - 발리아시옹 1(타란텔라:Tarantelle, 이태리춤),
- 발리아시옹 2, - 사탕요정의 춤 - 코다 (15) 종막의 왈츠와 아포테오즈(Apotheosis:숭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