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인의효능
생강과에 속한 축사밀의 果實을 말린 것으로 굉장히 燥 (마를조)한 성질이 있어
방향성건위제로 많이 사용합니다.
따라서 胃氣無力, 음식적체, 태동불안 등에 사용합니다.
砂仁은 생사인은 축사라는 나무의 열매로 성미는 따뜻하고
매운 기운(溫辛)이 있으며,
이 두가지의 성질 때문에
비장 위장 신장으로 들어가서
첫번째로 인체의 습기를 말리므로
위장과 비장의 기운이 잘 작용하도록 하며 또 기운을 운행시키고
비위를 편안하게 합니다.
그래서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脾胃氣滯 胸脘脹滿 濕沮脾胃 濕濁中沮 등을 치료하고
두번째는 기운을 잘 조정하여 안태(安胎)시키는 효능이 있어
姙娠오저나 기체로 인한 胎動不安에 쓰이고
세번째는 비장을 따뜻하게 하여
설사를 멈추게 하는
작용이 있어 嘔吐 泄瀉등에 씁니다.
사인은 기운이 燥하여 음혈이 부족한 자에 쓰면 기혈손상이 되어
눈귀가 안 좋아지니 조심하십시오.
脾陰이 燥하게 되면 腎陰을 말리게 되므로 신음이 虧虛한 사람에게
사용할 때는 모름지기 陰血藥을 가하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또한 향으로서 다른 약을 끌고 비장으로 인경시켜 줍니다.
따라서 비장기운이 약해졌을 때
건강, 산수유, 당귀, 백출 등을 쓰면서 사인을 써서 비의 기혈을
보충시키는 인경약으로 사용합니다.
구토, 오심, 한온으로 오는 복통을 다스리고
만성위염과 酒毒으로 胃를 상했을 때와 腸炎 등을 다스립니다.
脾土가 튼튼해지면 마음이 편해지는데 이것이 사인의 작용입니다.
카페 게시글
생활의 지혜
공사인의 효능
이심전심
추천 0
조회 607
14.12.20 14:54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