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1_명상의 개념과 그 분류
23기 화요반_지선_(서상백)
작성일 : 2023. 9. 13.
1. 명상의 개념
명상은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이완) 하여 지금 여기에서 현재의 순간을 있는 그대로의 몸감각이나 마음을 그윽하게, 주의 집중하여 바라보는 것을 말한다.
이같은 명상은 인간의 내적 통찰과 성장을 돕기 위한 하나의 수행과정으로 동서양에서 널리 사용 되고 있다.
수행자의 입장에서 명상은 생각을 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알아차리고, 지켜보는 것이며, 생각없는 고요한 마음, 무심에 도달하는 것이다.
1_1.명상의 어원에 대한 고찰
○ jhana(빨리어)_禅那(중국어 번역)_禅定(禅那라는 용어가 중국에서 정착된 것)
禅定(静慮라고도 부름 : 마음을 고요히 하여 진리를 직관하는 일)
○ 瞑想_눈을 감고 그윽하게 생각한다.
○ meditation(영어) : medical (의학의, 의술의 이라는 의미) 명상을 심신치유의 입장
에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일 수 있다.
2. 명상의 분류
명상은 본래 인도에서 종교적, 철학적 정신 수행의 목적으로 생겨났다.
명상에는 그 배경과 수행방법에 따라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1) 초월명상(TM)
초월적 존재, 신이나 자비로운 존재에게 마음을 열고 내 맡기는 명상법이다.
추월명상에서는 짧은 단어나 어구로 이루어진 여러가지 산스크리트 真言(옴, mantra 등등)을 사용하여 그 진언을 마음 속에서 집중하여, 반복 암송함으로써, 일어나는 생각을 멈추고, 마음을 고요하게 하여 보다 깊은 차원의 의식 세계를 발견하게 된다.
(2) 집중명상
단일 대상에 주의를 집중시켜 의식의 대상을 그 한 가지(호흡이나, 화두, 염불, 진언 등등)에만 제한하여 주변의 다른 자극을 철저히 무시하고 명상의 대상에 만 온 정신을 집중한다. 집중명상은 무엇보다 먼저 삼매(samadhi)에 들어가기 위한 수행이다.
(3) 알아차림 명상(마음 챙김 명상)_sati, mindfulness meditation
지금 현재에 일어나는 외부 환경과 내면의 모든 자극(마음 속에 떠오르는 생각)을 억제하거나 회피하지 않고, 비판단적으로 주의를 집중시키려고 노력하면서도 어느 특정 자극에만 집중하지 않는 명상법이다.
호흡이나 mantra에 정신을 집중하면서도 다른 자극에도 마음을 열어 놓고 잠시 다른 자극을 알아차리고 주의를 기울였다가 다시 원래의 명상 대상에 정신을 모으는 방법이다.
현재의 몸 감각이나 마음 상태를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고 온전히 깨어 있게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는 sati 명상은 몸과 마음의 이완(편안함)과 고요함, 그리고 집중력을 얻는데 큰 효과가 있다.
(4) 사마타(samatha)_止 명상
마음의 들뜸을 가라앉히기 위해 생각을 그치는 명상법
(5) 위빠사니(観) 명상
일어나는 생각을 분리하여 있는 그대로, 객관적으로 통찰하는 명상법이다.
이 수행법은 초기 불교의 핵심 수행방법으로써 無常과 無我를 통찰하는 수행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위빠사니 수행은 초기 불교의 독특한 수행체계이며 남방불교에서 그 전통이 이어지면서 전 세계에 널리 행해지고 있다.
(6) 조사선과 간화선
○ 조사선 : 중국에서 달마대사 이후에 정착된 깨달음의 수행법이다.
不立文字와 教外別伝을 강조한다.
○ 간화선 : 글자 그대로 화두를 오직 참구하여 수행하는 방법. 화두 참구를 통해 견성 즉 본래 성품을 바로 보고(깨달음)자 한다.
(7) 동작 명상
몸을 움직이면서 동작을 주위 깊게 관찰하는 명상법이다.
걷기 명상, 음악 명상, 만트라 명상(성스러운 의미가 담긴 문구를 반복적으로 되뇌이거나 노래처럼 부른다.), 쿤달리니 명상, 춤 명상
(8) 이완과 휴식 명상
신체의 이완을 통해 마음의 평화를 얻고자 하는 명상(이완 명상)이며 에너지가 고갈된 몸과 마음을 단순한 환경에서 휴식을 통한 에너지를 보충하는 명상(휴식 명상)이다. ■
첫댓글 지선님, 과제 #1 아주 잘 정리해 주고 있습니다.
특히 개념부분의 정리가 좋습니다. 또한 명상의 분류는 차 후 수행하는데,
참고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수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