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평론가 한국현대공예 평론 책소개: 현대미술평론가 최철주 [서평]: 문화디자인박사 & 현대미술가 최철주 "한국현대 공예 평론" 책소개
한국현대 공예 평론
책소개
한국현대 공예 평론은 한국 공예의 예술성으로한 한국의 근대를 본으로 한 이제로서의 한국 현대 공예에 대한 미적 가치와 프로세스의 이해 그리고 주제를 바라보는 평론이다.
평론은 대상의 됨됨이를 정하고 말한다. 우리는 작가를 대신하는 작품을 통해 상상하지만 단지 작품을 보고서 형상의 의미를 말하긴 어렵다. 한국현대의 공예를 시각예술이론으로 접근하여서 공예 작품의 주제를 말하는 것이 이 책의 주제다.
그는 시간의 가역성을 나무의 무늬로 획득함으로서 조선 가구의 시공간에서의 상감을 분별한다. 그리고 그 상감을 전변하여서 가구와 자연과의 관계를 하나로 한 색동목의 <노을>로 표상한다. 이것은 <노을> 무늬의 나뭇결로 한 그의 가구를 전통적 조선 가구의 질료로서의 지각을 잇는 무시간의 타자에게 맞춘 가구다.
그는 전통 가구의 지각을 소급한 노을 무늬를 만들고 그 <노을>을 공시적 가구 속에 넣어서 보인다.
- 본문 13쪽, 「김동귀 <목공예전>」 중에서
저자소개
최철주
저자 : 최철주
저자 최철주는 현재 만화가, 미술과 디자인 그리고 사진 평론가로서 부산교육대학교 한새뮤지엄 학예사다. 서울시청 문화정보기획단 연구원과 문화위원을 했고, 서울시청 문화정보자료실 실장을 거쳐서 서울시립미술관과 부산시립미술관에서 큐레이터를 했다, 오페라 결혼 및 연극무대 맥베드, 갈매기 등 다수 무대장치 제작과 무대디자인을 했고, 서울시립미술관 기획전시 초대작가를 했다. 예인공방에서 가구디자이너와 (주)시그너스시계에서 시계디자이너를 했고, 우석디자인학원에서 무대디자인과 학과장을 했고, 케냐 몸바사 다우무역상사 부장을 했고, (주)네오씨엠 해외건설사업부 부장을 했고, 라오스 팍세 포도농장을 CEO로서 경영했다. 홍익대산미대학원에서 제품디자인을 전공했고, 서울과학기술대철전대학원에서 라캉의 시각예술이론을 전시조형물에 적용한 연구로서 디자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과학기술대, 경기대, 광주대, 상지대, 동의대, 부산교육대, 서울시립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등에서 미술과 디자인에 대한 강의를 했고,부산시립미술관 수집보존과에서 회화, 조각, 설치로서 백남준 작품(‘소통, 운송’) 등 2,000여 점의 복원처리 및 컨디션 레포팅을 담당했고, 한새뮤지엄에서 고서, 토기, 목기, 철기, 도자기, 서화, 민속공예품, 고가구, 고미술, 악기류 등 500여 점의 유물 수집 및 복원처리를 담당했고,
저서로 「무대디자인」(미진사, 1997), 「한새평론」(효민디앤피, 2018), 「라캉적 디자인」(효민디앤피, 2018), 「라캉적 디자인 방법론」(효민디앤피, 2018), 「한국 현대 미술평론」(효민디앤피, 2018), 「한국 현대 디자인평론」(효민디앤피, 2018), 「한국 현대 사진평론」(효민디앤피, 2018), 「라캉적 전시평론」(효민디앤피, 2019), 「A line News of Choi Chul-joo’s Manwha Review」(효민디앤피, 2019),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Railroad Space of the New Concept as the Cultural Space」(효민디앤피, 2019), 「崔徹柱の News 漫畵 描くこと- K Pop Star」(효민디앤피, 2019), 「崔徹柱の News 漫畵 描くこと- Sports」(효민디앤피, 2019), 「崔徹柱の ニュ-ス漫畵評論Copy作成」(효민디앤피, 2019), 「한국 뉴스 만화평론1」(효민디앤피, 2019), 「한국 뉴스 만화평론2」(효민디앤피, 2019), 「한국 뉴스 만화평론3」(효민디앤피, 2019), 「한국 뉴스 만화평론4」(효민디앤피, 2019), 「한국 뉴스 만화평론5」(효민디앤피, 2019), 「한국 현대 미술평론 ARTIST-1 옻칠 한국화가 성파스님」(효민디앤피, 2019), 「한국 현대 미술평론 ARTIST-2 섬유 한국화가 장혜숙」(효민디앤피, 2019), 「한국현대 디자이너 김성계」(효민디앤피, 2019), 「한국현대 만화디자이너 최철주」(효민디앤피, 2019), 「한국현대 사진작가 김대수」(효민디앤피, 2019), 「한국현대 사진작가 정원일」(효민디앤피, 2019), 「한국현대 사진작가 홍상현」(효민디앤피, 2019), 「한국현대 설치미술 평론 I-2 김티나」(효민디앤피, 2019), 「한국현대 설치미술가 손몽주」(효민디앤피, 2019), 「한국 현대회화 평론」(효민디앤피, 2019), 「한국현대 공예 평론」(효민디앤피, 2019), 「한국현대 서양화 평론」(효민디앤피, 2019), 「한국현대 인스톨레이션 미술평론」(효민디앤피, 2019), 「한국현대 추상미술 평론」(효민디앤피, 2019), 「현대 한국화 평론」(효민디앤피, 2019)이 있으며, 2006년부터 라캉이론을 적용한 조형물로서 「부산시립미술관 사인조형물」(해금광고, 2009), 「한새뮤지엄 사인조형물」(도둠디자인, 2016)을 디자인과 설치를 했고, 2017년부터 서울, 부산, 도쿄, 세인트 클레어스빌, 뉴욕 그리고 파리 전시를 평론했고, 2018년에 부산미술(월간신문, 2018.7.) 미술칼럼을 썼고, 뉴스부산(인터넷신문) 문화전문기자로서 2018년9월부터 만평을 연재하고 있다.
목차
01 전통 목가구를 디자인하는 목공예 전시
02 김동귀 <목공예전>
03 옻칠공예: 옻칠 한국화 <화중연>
04 A burning of thought lotus: Wha Joong-Yeon
05 제4회 옻밭아카데미 회원전
06 <Wolincheongangjiwha>
07 옻칠공예: 성파 스님의 옻칠 도자전
08 Seongpa's lacquered ceramic
09 옻칠공예: 성파 스님의 한국화 <호랑이>
10 옻칠 한국화
11 Korean lacquer paintings <4th Member Exhibition of Och-bath Academy>
12 Korean lacquer painting
13 옻칠 한국화 <호랑이>
14 A lacquer painting of Korea: The tiger of Buddhist monk Seong-Pa
15 아르카익적 섬유미술 김언배 개인전
16 섬유공예: 누비장 김해자 (국가무형문화재107호) 누비한복 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