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의 모양, 색깔 등을 살피면 숨은 질병을 알아낼 수 있다./사진=헬즈조선 DB대변을 보면 몸속 숨은 질병을 알아낼 수 있다.
음식을 먹으면 식도,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직장을 거쳐 대변으로 배설되는데,
각 소화기관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대변의 색, 모양이 변하기 때문이다.
간, 쓸개, 췌장에 이상이 생겨도 대변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대변의 색깔은 어떤 게 정상일까?
갈색, 황토색, 노란색은 모두 정상 범위에 속한다.
보통 갈색을 띠는 이유는 담즙 때문이다.
담즙은 지방을 소화시키는 초록색 효소로,
간에서 만들어져 담도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음식물과 만난 뒤 장으로 내려가는데, 담즙은 장내세균과 만나면 갈색, 황토색, 노란색 등으로 변한다
사람마다 주로 먹는 음식, 장내 세균 분포가 달라서 담즙이 변성된 후 색깔이 다르다.
대변이 붉거나, 검거나, 흰빛을 띠면 질병을 의심한다.
항문과 가까운 소화기관인 대장 등에 출혈이 있으면 대변이 붉을 수 있다.
대장암 등이 원인일 수 있다.
검은색 대변이 나오는 이유는 식도, 위, 십이지장 등 상부(上部) 위장관에서 출혈이 생겼기 때문이다.
음식물에 혈액이 섞였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검은빛으로 변했기 때문이다.
이때는 위염, 위궤양 등을 의심한다.
대변이 흰색이면 담도폐쇄증일 수 있다.
담도가 막히면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흐르지 못해, 대변에 담즙이 섞이지 않는다.
이때는 흰 쌀밥을 뭉쳐놓거나, 두부를 으깨놓은 것 같은 대변을 본다.
담도는 주로 담도염·담도암 등으로 막힌다.
대변 모양도 잘 살피자. 바나나처럼 길고 적당히 굵은 대변이 가장 이상적이다.
대변이 평소보다 가늘면 영양 상태가 좋지 않다는 뜻이다.
무리한 다이어트를 했을 때 주로 가는 대변이 나온다.
가는 대변이 지속적으로 나오면 드물게는 대장암이 원인일 수 있어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
반대로 대변이 평소보다 굵거나, 중간에 끊기거나, 토끼똥처럼 자잘한 모양이면 수분이 부족한 것이다.
대변 냄새는 먹는 음식에 따라 바뀐다.
고기를 많이 먹으면 장내세균 중 유해균의 수가 늘어나 냄새가 심하게 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