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은 차마 그릴수가 없어서 그냥 말로 대신해서 질문 올립니다.
접점기호가 정확한 뜻이 뭔지 잘 모르겟네요. 왜 그걸 써야 되는지 원론적인것부터 알고 싶은데 알수 있는 방법이 없군요.. -_-;; 전 전자과 출신이라 상당이 어렵게 느껴지네요.
우선은
ㅣ(x) 된거 하구요 ㅣ (▷)표시 된거 이게 뭘 뜻하는 거죠? pb 붙으면 ㅏ 이렇게 표시 되던데..??
우선은 오른쪽에 있으면 정상회로고.. 왼쪽에 붙으면 not 회로라는건 알겠는데..
계속 보다보면 알겠지 하고 벌써 책의 1/3 정도를 봤는데 도무지 이해가 안가네요.. -_-;;
참고로 엔트 97-27 보시고 고수님들 답해주세요..
이왕이면.. pb-on pb-off 이거하고 전체적인 회로 설명도 부탁 드려요.. ^^*
첫댓글 그 그림을 스캔좀 떠주실수 있습니까?..
지금 학교라서 저녁에 한번 떠서 올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왼쪽거부터 X된 접점은 릴레이접점으로 보조접점이라고도 하고요 X라는 코일이 여자되면 붙거나(a접점),떨어지는(b접점)접점이고, 접점에 삼각형 붙은거는요..타이머라고 해서 타이머가 여자되고 설정시간후 접점이 작동 되는걸을 말합니다.. 그리고 pb접점은요 말그대로 푸시버튼이라고 해서 손으로 눌리면 붙고 떼면 즉시 복귀 되는 접점을 나타냅니다.. 일종의 버튼스위치라고 생각하심되요.,.. 자세한건 좀만 더보시다보면 자연히 익숙해지실 거에요.. 아직 97년 보셔서 어려운것이 많은듯하네요..
첫번째꺼 THR열동계전기 이던가 그런거같습니다. 전동기 제어회로 도면보시면 모터 아래 선ㄷ 자로 꺽인부분 회로에 문제가 생기면 트립시킬려고 있는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