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서울 중구 한국의 집에서 열린 ‘제1회 쌀의 날’ 행사에 참석한 홍진기(경기 서화성농협·왼쪽부터)·최재연(강원 철원농협)·이경수(충북 추풍령농협)·강문규(충남 우강농협)·고석중(전북 옥구농협)·김재명(전남 동강농협)·김봉수(경북 다인농협)·조혁래(경남 군북농협) 조합장이 지역 브랜드 쌀을 소개하고 있다.
이희철 기자 photolee@nongmin.com
농림축산식품부와 농협중앙회가 18일 서울 중구 한식당인 ‘한국의 집’에서 생산자와 소비자단체, 쌀 관련 협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매년 ‘8월18일’을 ‘쌀의 날’로 지정했다. 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제고시키고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서다. 농협 측은 “쌀은 한국 사회를 지탱한 기둥임에도 소비가 점차 줄면서 쌀산업이 위기에 직면했다”며 “쌀이 가지는 중요성이라든지 가치를 국민과 공감하고, 이를 통해 쌀산업을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유지시키고자 (쌀의 날을) 지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쌀의 날은 쌀을 뜻하는 한자어인 ‘미(米)’자를 파자하면 ‘八十八(8·10·8)’이 되는데다 쌀을 생산하려면 여든여덟(八十八)번의 손길이 필요하다는 의미에서 8월18일로 정한 것이다.
◆쌀 소비촉진으로 생산기반 유지 위한 포석=농식품부와 농협이 반세기 만에 쌀의 날을 정한 건 무엇보다도 생산보다 더 빠르게 줄어드는 쌀 소비를 촉진해 쌀 생산기반을 유지한다는 전략적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농식품부와 농협은 그동안 다양한 소비진작책을 폈지만 기대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지난해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은 65.1㎏(가공용 제외)으로 쌀 소비량이 가장 많았던 1970년 136.4㎏과 견줘 절반 이상 떨어졌다. 특히 지난해와 2013년엔 각각 전년보다 2.1㎏, 2.6㎏씩 줄어 최근 10년 내 1㎏대씩 줄던 감소폭이 더 커졌다. 이 추세로 간다면 2025년 1인당 쌀 소비량이 52.5㎏까지 급감할 수 있는 심각한 상황이다. 국내 쌀 생산기반이 크게 흔들릴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김옥주 농협 양곡부 팀장은 “쌀 소비량 감소는 밥 위주였던 한국인의 식생활이 빵이나 라면 등으로 바뀐 게 주된 원인”이라고 말했다.
한국인의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주식인 쌀이 우리 밥상에서 밀려나고 있다는 얘기다.
◆쌀 재고량 130만t 추정…가격 약세 지속=쌀 소비가 줄면서 정부의 쌀 재고량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정부의 쌀 재고량은 올 6월 말 현재 130만t으로 추정된다. 올해 쌀 예상 소비량(400만t)의 3분의 1가량이 곳간에 쌓여 있는 셈이다. 이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적정재고 권고치(72만t)를 갑절 가까이 초과하는 물량이다. 농식품부가 지난해 풍작으로 인한 공급과잉 물량 24만t을 시장 격리한데다 산지 쌀값 지지를 위해 정부양곡을 방출하지 않은 것 등이 주요인으로 해석된다.
산지 쌀값은 5일 4개월 만에 16만원대를 회복하며 80㎏ 한가마당 16만24원에 거래됐지만, 지난해 같은 날보다는 여전히 4.34%(7260원)나 낮다. 특히 지난해 수확기(10~12월) 평균 가격과 비교해서도 4.38%(7323원)나 낮은 역계절진폭(단경기 쌀값이 전년도 수확기보다 낮게 형성되는 현상)이 발생, 수확기를 걱정해야 하는 실정이다.
◆쌀 관세화…심리적인 충격 완화 안간힘=쌀 관세화로 국내산 쌀의 소비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위기감도 고려됐다. 정부가 수입쌀 관세화율을 513%로 결정해 외국산 쌀이 수입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는 하지만 513%의 관세를 물면 누구나 수입할 수 있다는 심리적인 충격이 크기 때문이다. 게다가 매년 의무적으로 수입해야 할 외국쌀도 40만9000t으로 국내 쌀 생산량의 10%에 육박한다.
농식품부와 농협은 이번 쌀의 날 지정을 계기로 쌀에 대한 범국민적인 소비 촉진 행사를 펼친다는 복안이다. 이상욱 농협 농업경제대표는 “국민들이 8월18일을 쌀의 날로 인식하고 쌀밥을 챙겨먹는 건강한 식습관이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특히 젊은이들이 쌀을 많이 소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태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