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3년 코리아 리포트, 서긍의 고려도경
문경호 저 | 푸른역사 | 2023년 12월 27일
24,900원
목차
들어가면서
1장 서긍 길을 떠나다
봄날에 떠난 사행길|신선이 점지해 준 아이|현명하고 청렴한 관직 생활|황제도 반한 글씨와 문장
2장 12세기 초 동아시아의 국제질서
연운 16주를 차지한 거란제국|탕구트족의 나라 서하|새롭게 부상한 북방의 강자 여진|고집 센 천재 개혁가 왕안석|집권당에 따라 달라진 송의 대외 정책|풍류천자의 방만한 재정 운영
3장 송의 사신선 신주와 객주
신주라는 말에 담긴 의미|신주와 객주의 규모와 형태
4장 신주의 고려 항로
신주가 있는 사명으로|바다로 나간 신주와 객주|두려움의 바다 흑수양
5장 고려의 바다에 들어선 송의 사신단
봉화가 시작되는 흑산도|서긍이 만난 첫 고려인|김부식과 만난 서긍|다양하게 생긴 고려의 선박들|군산도에서 마도로|두 번째 상륙지 안흥정|자연도라고 불렸던 영종도|고려 최대의 무역항 벽란도
6장 예성강에서 개경으로
엄숙한 고려 의장대|송의 사신 행렬|산으로 둘러싸인 고려의 도성|서긍의 눈에 비친 개경의 풍경|고구려와 고려를 구분하지 못한 서긍|생각보다 엉성한 고려의 성곽
7장 서긍이 본 고려의 궁궐과 도성
장식이 빼어난 신봉문|궁궐 꾸미기를 좋아하는 고려인들|왕의 생일잔치를 열었던 장경전|학술기구 청연각과 보문각|크고 작은 9개의 전각들|도성 안의 여러 관청들|쌀을 오랫동안 보관하는 창고|빈약한 시장과 허울뿐인 화폐
8장 서긍이 만난 고려 사람들
어진 왕의 기질을 갖춘 고려왕|고려 최고의 훈척 이자겸|문장이 뛰어난 윤관의 아들 윤언식|소동파와 비견할 만한 김부식|수염이 아름다운 김인규|중화의 풍모를 가진 이지미|연회에서 만난 사람들|학구열이 높은 고려인들|송의 태학에 입학한 고려인들
9장 고려인들의 복식과 의장
관등에 따라 장식과 색깔이 다른 관복|갑옷을 입은 말과 여러 종류의 수레|행진할 때 세우는 여러 종류의 기치旗幟|신분에 따라 조금씩 다른 고려인들의 옷차림|고려식 히잡, 몽수를 쓴 고려의 귀부인들|고려 여인들 사이에서 유행한 한쪽 머리 묶기|물건을 이고 지고 아이까지 업은 고려 여인들|예의 바르고 부지런한 하급 관리들|사신의 시중을 드는 하인들|재주가 좋은 고려의 수공업자들
10장 고려의 풍속
부처를 숭상하는 나라|불을 밝히고 술을 마시는 사람들|단술과 떡이 빠지지 않는 잔칫상|관리들의 일 처리|관리가 관리를 만났을 때|관리가 행차할 때|말을 타는 고려의 부인들|깨끗한 고려인, 잘 씻지 않는 중국인|산지에 만들어진 고려의 다락논|고기보다는 생선을 많이 먹는 고려인들|도살과 고기 요리에는 서툰 요리사|고려의 나무꾼|나무에 칼로 새겨서 셈하는 서리들|공덕을 쌓는 고려인들|고려의 특산물
11장 사신관과 주변의 건물
사신들의 숙소 순천관|깔끔하면서도 화려한 방|순천관 뒤편의 사신 숙소|여러 사신의 거처와 아름다운 정자들|사우와 도교사원|개경에서 가장 화려한 정국안화사|큰 종이 걸려있는 광통보제사|왕실 사찰 흥국사와 국청사
12장 고려에서 본 그릇과 도구
은으로 만든 그릇|백동과 구리로 만든 그릇|물총새 깃을 닮은 고려의 비색 청자|차 마신 후에는 탕을 마시는 고려문화|투박하지만 실용적인 도기 술독|등나무를 엮어서 만든 광주리|죽솥과 물항아리|칼과 붓이 들어있는 만능 필통
13장 돌아오는 길
신주에 다시 오른 사절단|위험한 항해, 연속되는 위기|자나깨나 나라 걱정
나가면서
『고려도경』은 어떤 책인가|기적처럼 전해진 『고려도경』|21세기에 본 12세기의 동아시아 상황|다시 『고려도경』에 주목하는 이유
찾아보기
https://www.aladin.co.kr/m/mproduct.aspx?ItemId=330116602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4057530
https://shopping.interpark.com/product/productInfo.do?prdNo=13462476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