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지방 역(閾)자는 의부(義符)로 문 문(門)자에 성부(聲符)로 혹시 혹(或)자를 했습니다. 혹시 혹(或)자에서 창 과(戈)자는 무기니까 죽음을 뜻하고, 입 구(口)자는 사람의 입을 가리키니까, 생명을 뜻합니다. 창에 찔려 죽었는데, 혹시 살았나 하는 글자입니다. 지경 역(域), 아픈 모양 역(戫), 두릅나무 역(棫), 빨리 흐를 역(淢), 솔기 역(緎), 어망 역(罭)자들은 혹시 혹(或)자가 들어 있어서 ‘역’으로 읽습니다. 역치(閾値) 역치하자격(閾値下刺激) 역치검출기(閾値檢出器) 역치농도(閾値濃度) 역내(閾內)
밭두둑 역(埸)자는 밭두둑은 흙으로 만들었으니, 의부(義符)로 흙 토(土)자 변을 했습니다. 이 글자의 성부(聲符)로 바꿀 역(易)자를 했습니다. 바꿀 역(易)자는 보호색으로 몸의 색깔을 잘 바꾸는 벌레를 그린 글자입니다. 카멜레온이나 표범 같은 것이겠지요. 몸 색깔을 바꾸기가 쉽다고 생각하여, 글자의 뜻과 음을 전주(轉注)하여 쉬울 이(易)자로도 씁니다. 바꿀 역(易)자와 볕 양(昜)자를 구별해야 합니다. 볕 양(昜)자는 해 볕이 비치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볕 양(陽), 기를 양(養), 버들 양(楊), 마당 장(場), 창자 장(腸), 끓일 탕(湯), 쓸어버릴 탕(蕩), 상할 상(傷)자들은 볕 양(昜)자가 들어 있어서‘양’ ‘장’ ‘탕’으로 읽습니다. 그러나 바꿀 역(易)자가 들어간 글자는 해 반짝 날 역(晹), 뼈바를 척(剔), 두려워할 척(惕), 쉬울 이(易)자가 있습니다. 역내(埸內) 실험역(實驗閾) 사사역(謝思閾) 봉역(封閾) 강역다사(疆閾多事) 해양식역(蟹養殖閾)
해 반짝 날 역(晹)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바꿀 역(易)자를 했습니다. 바꿀 역(易)자는 보호색을 띠는 동물을 상형(象形)한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일역(日晹) 역광(晹光) 역이운(晹而雲) 역출(晹出) 십이일갑오역출생(十二日甲午晹出生)
두릅나무 역(棫)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혹시 혹(或)자를 했습니다. 혹시 혹(或)자는 창 과(戈)자에 입 구(口)자를 해서 창에 찔렸는데 혹시나 살았나? 하는 글자입니다. 아픈 모양 역(戫), 어망 역(罭), 빨리 흐를 역(淢)자들은 혹시 혹(或)자가 들어 있어서 ‘역’으로 읽습니다. 역목두채(棫木頭菜) 여은역(麗恩棫) 오역(吳棫) 역박(棫樸) 봉봉역박(芃芃棫樸)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