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가 본격적인 저성장기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JP 모건, HSBC 등 주요 경제예측기관들이 2025년과 2026년의 상장전망을 1%대로 낮추었습니다.
최대 수출대상국이었던 중국은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등 핵심산업에서 강력한 경쟁자로 변모했습니다.
저출산 고령화 속에서 생산성 향상을 위한 구조개혁이필요한 시기입니다.
Korea enters period of low economic growth
한국, 저성장기에 진입
By Lee Yeon-woo 이연우 기자
Posted : 2024-12-01 16:09 Updated : 2024-12-01 16:13
Korea Times
Potential growth rate to dip to 1% range in 2025, 2026
2025년, 2026년 잠재 성장률 1%대로 떨어질 전망
The likelihood of Korea entering a period of low growth is increasing, as major financial institutions have lowered their 2025 growth forecasts to the 1 percent range.
주요 금융기관들이 2025년 성장률 전망치를 1%대로 낮추면서 한국이 저성장기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Sunday, five global financial institutions — Barclays, Citigroup, J.P. Morgan, HSBC and Nomura — recently projected Korea's economic growth rate for 2025 to fall between 1.7 percent and 1.9 percent.
업계 소식통에 따르면 일요일, 바클레이즈, 씨티그룹, JP모건, HSBC, 노무라 등 5개 글로벌 금융기관은 최근 2025년 한국 경제 성장률을 1.7%에서 1.9% 사이로 예상했다.
Until recently, most forecasts predicted next year's growth would remain in the low 2 percent range. However, as the year-end approaches, downward revisions have become more common.
최근까지 대부분의 예측은 내년 성장률이 2%대 초반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연말이 다가오면서 하향 조정이 일반화되고 있다.
The trend extends to the nation's central bank. At its monetary meeting on Thursday, the Bank of Korea (BOK) also lowered its 2025 forecast from 2.1 percent to 1.9 percent, while implementing an unexpected consecutive rate cut. It projected growth of 1.8 percent for 2026.
이러한 추세는 중앙은행까지 확대되었다. 한국은행도 목요일 통화 회의에서 2025년 전망치를 2.1%에서 1.9%로 낮추면서 예상치 못한 연속 금리인하를 단행했다. 2026년 성장률은 1.8%로 예상했다.
This marks the first time since the collection of such data began in 1954 that Korea anticipates its economic growth will fall below the 2 percent range for two consecutive years. Despite the challenges of the 1998 Asian financial crisis, the 2009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2020 COVID-19 pandemic, the country's economy managed to recover.
1954년 한국이 경제성장률이 2년 연속 2%대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998년 아시아 금융위기,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한국경제는 회복세를 보였다.
Market watchers believe that Korea's export-dependent economy is facing its greatest challenge due to increasing uncertainty driven by external factors, including the inauguration of Donald Trump.
시장 전문가들은 도널드 트럼프 취임 등 대외 요인으로 인한 불확실성 증가로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가 가장 큰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보고 있다.
"The weakening of exports already began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This could also lead to a decline in investment," Kwon Goo-hoon, senior Asia economist and managing director at Goldman Sachs, said during a press conference on Nov. 26, slashing Korea's growth rate from 2.2 percent to 1.8 percent.
"수출약화는 이미 올해 하반기에 시작되었다. 이는 투자감소로도 이어질 수 있다."라고 권구훈 골드만삭스의 수석 아시아 이코노미스트이자 상무이사는 11월 26일 기자회견에서 말하며 한국의 성장률을 2.2%에서 1.8%로 낮췄다.
The BOK echoed similar concerns in a report released alongside its economic outlook, stating "Korea's export growth is likely to slow due to intensified competition with China and heightened U.S. protectionist measures."
한국은행은 경제 전망과 함께 발표한 보고서에서 "중국과의 경쟁 심화와 미국의 보호무역 조치 강화로 한국의 수출증가세가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비슷한 우려를 표명했다.
China, once Korea's largest export destination, has transformed into a formidable competitor in critical tech industries, including semiconductors, electric vehicles and batteries. Meanwhile, trade tensions with the U.S. are expected to escalate, as Korea is projected to post a trade surplus of over $50 billion with the U.S. again this year.
한때 한국의 최대 수출 대상국이었던 중국은 반도체, 전기자동차, 배터리 등 핵심 기술 산업에서 강력한 경쟁자로 변모했다. 한편, 한국은 올해도 500억 달러 이상의 대미 무역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대미 무역긴장이 고조될 것으로 예상된다.
At the same time, the extended period of high interest rates and inflation has made it increasingly difficult for the domestic market to make up for such negative factors.
동시에 고금리와 인플레이션의 장기화로 인해 국내시장은 이러한 부정적인 요인을 보완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The confidence of domestic consumers and businesses has already deteriorated significantly. The six-month outlook for future economic conditions, one of six indices that make up the composite consumer sentiment index, saw its sharpest decline in two years and four months, according to the BOK.
국내 소비자와 기업의 신뢰도는 이미 크게 악화되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종합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6개 지수 중 하나인 향후 경제상황에 대한 6개월 전망은 2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Experts have called for structural reforms to enhance productivity. Rahul Anand, head of the IMF's Korea mission team, emphasized that the decline in potential growth caused by low birthrates and an aging population is a critical challenge that demands greater focus.
전문가들은 생산성 향상을 위한 구조 개혁을 촉구해왔다. IMF 한국 미션팀의 라훌 아난드 팀장은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잠재 성장률 하락은 더 큰 집중력을 요구하는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While it is true that growth forecasts for next year and the following year carry significant uncertainty, it is also evident that the potential growth rate is declining rapidly," BOK Governor Rhee Chang-yong said. "Efforts to prevent this decline through structural reforms are essential."
이창용 한은 총재는 "내년과 내년 성장률 전망치가 상당한 불확실성을 안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잠재성장률이 빠르게 하락하고 있는 것도 분명하다"며 "구조개혁을 통해 이러한 하락을 막기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Lowgrowthperiod저성장기 #Potentialgrowthrate잠재성장률 #Structuralreforms구조개혁 #Exportdependency수출의존도 #Consumersentimentindex소비자심리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