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GURES on employment tend to encourage a black-or-white view of an economy. Either conditions are worsening and firms are shedding workers, as they did by the hundreds of thousands in 2008 and 2009, or times are improving and businesses are creating new jobs. Spirits leapt on February 3rd on news that America’s private businesses boosted their payrolls by 257,000 jobs in January, capping the country’s best 12-month employment performance in the private sector for over five years. But the headline figures represent just the tip of a large labour-market iceberg. Data provided by the relatively new Jobs Openings and Labour Turnover Survey (JOLTS) illuminate these depths.
실업률 수치는 경제의 흑백논리를 조장하는 경향이 있다. 2008년과 2009년에 수십만명을 해고한 것 처럼 상황이 나빠지면 기업은 근로자를 해고하고, 상황이 개선되면 다시 고용을 창출한다. 기업은 신규 일자리를 창출한다. 중에 있거나 미국의 민간 부문이 1월 25만 7천개 일자리를 늘리면서 지난 5년만에 12개월 민간부문 고용활동 최고치를 경신했다는 뉴스가 나온 1월 3일 활기가 돌았다. 그러나 그 수치는 노동시장이라는 빙산의 극히 일부만을 보여줄 뿐이다. 좀더 최근에 실시된 JOLTS 제공자료가 상황을 좀 더 심도깊이 설명해 주고 있다.
Even in the darkest of days, labour markets remain busy. Growing firms hire to expand and even shrinking businesses seek out workers to fill important vacant positions. In December 2008, for instance, overall American employment dropped by nearly 700,000 jobs. Yet in that month more workers—over 4.1m in total—were hired into new positions than in December of last year, when net payrolls grew by 203,000. During a relatively placid economic period like the mid-2000s, about 65% of all hiring is associated with what economists have dubbed “churn”—the job-to-job movement of workers through the labour force, which neither adds to nor subtracts from total employment. Of the 12m or so hires that occurred in a typical pre-recession quarter, some 8m came from firms luring workers away from other firms.
가장 암울한 시기에도 노동시장은 분주하다. 성장기업은 확장을 위해 고용을 하고 위축되고 있는 기업도 중요한 공석을 메꾸기 위해 고용을 한다. 그 예로 2008년 12월 미국의 전반적으로 거의 70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했다. 그러나 같은 달 총 4백10만명이 새로 고용되 2007년 12월 보다 더 많은 사람이 새 일자리를 찾았다. 당시 순 고용은 20만 3천개가 증가했다. 2000년대 중반과 같이 비교적 무리가 없었던 시기에 전체 고용의 약 65%는 경제전문가들이 명명한 소위 "이탈(churn)"이라 부르는 것과 관련되어 있었다. 이탈(churn)"은 노동력 전반에 걸친 근로자의 직장간 이동으로 총 고용에 플러스던 마이너스던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황을 말한다. 경기침체 이전 보통의 1분기에 발생했던 1200만개 고용 중 8백만건은 다른 기업에서 직원을 빼내온 기업에서 발생했다.
Churn is a mechanism by which labour markets reallocate workers towards more efficient ends. In the typical job-to-job move (that is, without any intervening stint of unemployment) an American worker can expect a rise in wages of over 8%. This gain represents, at least in part, an improvement in productivity. As workers obtain skills and find better job matches, their output and earnings rise. And as firms obtain ever more suitable labour, they can afford to pay higher wages. In this way, the churning of the labour market contributes to growth in the potential output of the economy.
이탈(churn)은 노동시장이 노동력을 더욱 효율적인 부문으로 재배치하는 메커니즘이다. 일반적인 직장간 이동의 경우 미국 근로자 한명은 8% 이상의 월급인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월급 인상은 최소한 어느 정도의 생산성 향상을 의미한다. 근로자가 기술을 습득하고 그에 맞는 더 좋은 일자리를 찾게되어 결과물이나 수입이 증가한다. 기업 역시도 더욱 적합한 노동력을 확보하게 됨에 따라 더 많은 봉급을 지불할 수 있게 된다. 이런식으로 노동시장의 이탈현상은 경제의 잠재적 생산 증가에 기여한다.
Although this ebb and flow is always happening, its strength is subject to the forces of the business cycle. When hard times hit, workers are less likely to make the leap from one firm to another. And when employees do move, firms are often reluctant to fill the freshly vacated positions. In a new analysis* Edward Lazear of Stanford University and James Spletzer from the Bureau of Labour Statistics examine how the recent recession affected these job-to-job moves. Just 9m workers were hired in the second quarter of 2009—the last of the recession—down from 12.8m in the fourth quarter of 2007, a fall of about 30%. About 80% of this decline in hiring was attributable to a fall in churn rather than a decline in job creation (see left-hand chart). The number of workers voluntarily leaving a job fell by nearly 40%, for instance. The pace of job creation in the economy slowed sharply, it is true, but most of the hiring chill can be attributed to a decline in churn.
노동력이 들고 나는 현상은 꾸준히 진행되지만 그 힘을 조절하는 것은 비즈니스 사이클이다. 불경기가 닥치면 근로자들은 이직을 꺼리게 된다. 근로자들이 이직을 하는 시기가 되면 기업은 빈 자리를 채우기를 꺼리기도 한다. 새로운 분석을 통해 스탠포드대학교의 Edward Lazear와 미노동부 통계부서의 James Spletzer는 최근 경기침체가 기업간 이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조사했다. 2009년 2분기에는 9백만명이 고용되어 2007년 4분기 1천 280만 보다 30% 감소했다. 약 80%의 고용 감소는 일자리 창출이 감호했다기 보다는 이탈 수가 감소한데 기인한다. 자발적 퇴사자 수는 거의 49%가 줄었다. 고용창출 속도 역시 크게 둔화되었지만 이 같은 고용 한파의 주요원인은 이탈 감소로 인한 것일 수 있다.
A freeze of this sort matters. Based on the typical wage gain from job-to-job moves, Mr Lazear and Mr Spletzer estimate the efficiency cost of reduced labour-market churn during the crisis at about 0.4% of GDP a year between the onset of recession in December 2007 and the middle of 2011. That is the equivalent of $208 billion of lost output—a small hit compared with the impact of the recession itself but a meaningful and underappreciated economic cost of prolonged labour-market weakness.
이런 식의 고용한파는 문제가 된다. Mr Lazear와 Mr Spletzer는 직장간 이동에 따른 일반적 봉금인상분에 기초해 경제위기 동안 감소한 노동시장 이탈의 효율성 비용이 2007년 12월 경기침세 시작부터 2011년 중반사이 연간 GDP의 0.4% 가량이라고 추산하고 있다. 2080억 달러의 생산 손실에 해당되는 금액으로 경기침체의 영향에 비교하면 작은 충격이지만 장기화된 노동시장 약화의 의미심장하면서도 인식하지 못한 경제적 비용이라 할 수 있다.
This cost falls disproportionately on the young. Individuals who graduate from college and enter the labour force during a typical recession can expect an initial earnings loss of about 9% (compared with what they might expect in normal circumstances). This decline can be mitigated and eventually eliminated by leaps from firm to firm, through which young workers obtain new skills and find ever better ways to use their talents. That process is frustrated by a general slowing of labour-market churn.
이 비용은 부당하게도 젊은 층이 부담하게 된다. 경기침체기에 대학을 졸업해 경제활동을 시작하는 사람들은 첫 소득에 약 9%를 손해보게 된다. 이 손실은 젊은층 근로자가 기술을 습득하고 자신의 재능을 이용할 더 나은 방법을 찾아내서 이직을 함으로써 완화되거나 상쇄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노동시장 이탈의 전반적인 둔화에 의해 뜻대로 되지 않게 된다.
A pickup in hiring alone is not enough to grant the labour market a clean bill of health, according to this analysis. Just as important is whether workers feel comfortable leaving the security of an old job for the prospect of higher returns in a new one. If a falling unemployment rate does not translate into more risk-taking among workers in jobs, then the labour market may be further from normality than is appreciated.
고용 증가만 가지고는 노동시장이 탄탄하다고 보장하기에 부족함이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그로자들이 새 일자리에서 더 많은 봉급을 받을 것이라는 기대에 현 직장을 떠나는 것을 편하게 생각하는지 여부도 중요한 부분이다. 실업율 감소가 취업자간 사이 위험부담을 각오하는 형태로 연결되지 않으면 노동시장은 예상보다 정상에서 더 벗어나게 된다.
Quit to get ahead
America is doing better than it was. The number of unemployed workers per job opening—a measure of labour-market tightness—has fallen from a peak of around seven workers to below four. That is contributing to greater job-to-job movement. The share of resignations in total job departures, which sank from nearly 60% to under 40% during the recession, is back at 50% (see right-hand chart). Yet there is still a long way to go. As of the second quarter of last year, churn was just 8% higher than it was at its trough.
미국은 예전보다는 잘 하고 있다. 채용별 실직자 수는 최고 7명에서 4명 미만으로 감소했다. 직장간 이동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경기침체 기간에 60%에서 40% 미만으로 감소했던 전체 이탈자 중 사직자 비중은 50%로 회복됐다. 그러나 아직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다. 지난해 2분기 기준 이탈 비율은 저점보다 겨우 8% 높았다.
Firms’ hiring behaviour remains subdued. When there are plenty of jobless workers to go around it becomes much easier for firms to find qualified individuals for open positions, and less important for them to lure employees from other businesses. But as markets tighten companies raise what economists call “recruiting intensity”. Work by Steven Davis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Jason Faberman of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and John Haltiwanger of the University of Maryland suggests that firms’ recruiting efforts—as represented by advertising spending, hiring standards and compensation packages—explain about a third of the variation in the pace at which vacancies are filled. Recruiting intensity dropped by nearly 22% during the recession, they reckon, and has since rebounded by less than 6%.
기업의 고용활동은 여전히 약화된 상태다. 일자리를 찾는 실직자가 많이 있으면 기업은 공석을 메울 적합한 인원을 구하기가 훨씬 쉬워지고 다른 회사에서 직원을 빼내는 일의 중요성도 적어진다. 그러나 시장이 경직되면 기업은 "구인강도(recruiting intensity)를 높인다. Steven Davis(시카고대)와 Jason Faberman(시카고 연방은행), John Haltiwanger(매릴랜드대)의 연구에 따르면 구인 속도 변동의 1/3을 기업의 구인 노력(광고지출, 고용기준, 급여 및 복리후생 등을 포함한 보수)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경기침체 동안 구인강도가 거의 22% 감소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후 6% 정도 회복되었다고 본다.
New employment growth is most welcome, of course. But until employment churn returns to pre-crisis levels, the costs of America’s recession will continue to mount.
물론 고용 증가는 그 무엇보다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노동력 이탈이 위기이전 수준으로 회복되기 전까지 미국의 경기침체 비용은 계속해서 쌓일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