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빨정권이 이런것이라도 적극알려
추락하는 지지율 조금이라도 올려볼 심산으로
과대포장하여 퍼트리고 있는지 알 수 없으나,
사실이라면 참 잘한 일이죠..
"피는 물보다 진하다"..."우리가 남이가" 는
이럴때 쓰는 말이랍니다. ^^
해군, 소말리아서 북한상선 구조
청해부대, 해적 퇴치·안전지대 진입 도와
//
경향신문 | 박성진기자 | 입력 2009.05.04 18:40
한국군 사상 첫 전투함 파병 부대인 해군 '청해부대'가 소말리아 해역에서 해적으로부터 북한 선박을 구해냈다.
해적의 위협에서 벗어난 북한 상선 다박솔호 선원들이 4일 아덴항 인근 해상에서 문무대왕함 링스헬기에 손을 흔들며 감사의 뜻을 표시하고 있다. |합동참모본부 제공합동참모본부는 4일 청해부대 문무대왕함의 링스헬기가 오늘 아덴항 남방 37㎞ 해상에서 6399t급 북한 화물선 '다박솔'(DAKBAKDOL)호를 납치하려던 소말리아 해적 모선을 퇴치했다고 밝혔다.

합참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40분(한국시간)쯤 이집트에서 철강을 싣고 인도로 향하던 다박솔호는 해적선이 쫓아오자 국제상선공통망(무선교신망)을 통해 "나우 팔로, 나우 팔로(Now follow·지금 쫓아온다)"라며 서투른 영어로 긴급 구조를 요청했다.
마침 96㎞쯤 떨어진 곳에서 우리 선박의 호송임무를 마치고 감시·정찰활동 중이던 문무대왕함이 다박솔호의 다급한 구조요청을 듣고 10분 만에 저격수 2명을 태운 링스헬기를 현장으로 급파했다. 링스헬기는 낮 12시20분쯤 현장에 도착, 즉각 경고사격 태세에 돌입하면서 위협기동을 실시했다.
해적선 모선은 나박솔호를 불과 3㎞ 정도 남겨 놓고 자선의 하선을 준비하려던 참에 링스헬기의 위협에 놀라 낮 12시30분쯤 항로를 변경, 도주하기 시작했다.
한숨을 돌린 나박솔호는 낮 12시57분쯤 "여기는 대한민국 해군입니다. 귀선이 안전할 때까지 계속 대기하고 있겠습니다"라는 청해부대의 통신에 "감사합니다"라고 답신했다. 이어 청해부대에 "좀 잘 지켜주십시오"라고 부탁했다.
링스헬기는 나박솔호와 두 차례에 걸쳐 70초간 교신을 하면서 위험지역을 이탈해 안전지대인 국제권고통항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항로 변경을 도와준 후 오후 1시30분쯤 문무대왕함으로 복귀했다.
합참은 "유엔해양법 100조는 피랍위기에 처한 선박은 국적 불문하고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지원하도록 돼 있다"며 "이번 조치는 대한민국이 북한상선을 해적으로부터 보호해 준 첫번째 사례"라고 설명했다.
< 박성진기자 ongriver@kyunghyang.com >
청해부대, 소말리아 해역서 北상선 구조(종합)
//
연합뉴스 | 입력 2009.05.04 17:10 | 수정 2009.05.04 17:23 |
`SOS' 구조요청에 헬기급파..50분간 해적퇴치.北상선보호
北상선 "감사하다" "잘지켜달라" 거듭 사의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소말리아 해역에서 우리 선박 호송 작전을 펼치고 있는 청해부대의 문무대왕함이 4일 오전 해적의 공격 위기에 처한 북한 상선을 구조하는 개가를 올렸다.
합참은 이날 문무대왕함이 아덴항 남방 37㎞ 해상에서 북한선적 6천399t급 화물선 `다박솔(DABAK SOL)'호가 해적선으로부터 쫓기고 있다는 긴박한 구조신호를 포착하고 링스헬기를 긴급 출격시켜 50분만에 해적선을 퇴치했다고 밝혔다.
합참에 따르면 한국시각으로 이날 오전 11시40분께 5차 호송임무를 마치고 아덴항 인근 국제권고통항로 상에서 감시.정찰활동을 하던 문무대왕함에 북한 다박솔호의 "해적으로부터 쫓기고 있다"는 긴급 호출 신호가 포착됐다.
당시 다박솔호는 아덴항 남방 37㎞, 문무대왕함으로부터 96㎞ 거리에 있었다.
문무대왕함은 신호를 포착한 지 10분 뒤인 11시50분께 링스헬기를 출동시켰고 30분만인 12시20분께 다박솔호 상공에 도착했다. 해적선이 다박솔호를 불과 3㎞ 거리까지 추격하고 있던 위험한 상황이었다.
링스헬기는 위협 기동을 하는 동시에 탑승하고 있던 저격수들이 해적선을 향해 사격자세를 취하자 해적들이 혼비백산 달아나기 시작했다.
결국 링스헬기가 현장에 도착한 지 10분만인 낮 12시30분께 해적선은 항로를 완전히 변경해 달아나기 시작했고 헬기는 해적선이 북한 선적으로부터 완전히 멀어질 때까지 위협기동을 멈추지 않았다.
링스헬기는 오후 1시30분 문무대왕함에 복귀하기 전까지 110분간의 작전 비행을 통해 북한 상선을 해적으로부터 완벽하게 지켜냈다.
당시 해적 모선에는 상선에 접근할 수 있는 자선은 물론 사다리까지 비치돼 있어 조금만 시간을 지체했어도 북한 상선이 해적의 손아귀에 넘어가는 일촉즉발의 상황이었다.
다박솔호는 철강을 싣고 이집트에서 홍해를 지나 인도로 향하던 길이었다.
해적선이 멀리 도주하고 나서도 문무대왕함은 쫓기느라 항로를 이탈했던 다박솔호와 3차례에 걸친 교신으로 항로를 제대로 찾도록 안내하면서 보호하는 등 끝까지 임무를 다했다. 북한 상선도 통신망으로 "감사하다"는 뜻을 표시해왔다.
북한 상선은 특히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몇차례 거듭했으며 "우리를 더 보호하겠습니까" "좀 잘 지켜주십시오"라고 한국군에 의지하기도 했다.
유엔해양법에 따르면 피랍위기에 처한 선박은 국적을 불문하고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지원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날 우리 군의 작전은 한국이 북한상선을 해적으로부터 보호해준 첫 사례로 기록됐다.
honeybee@yna.co.kr
(끝)
첫댓글 통일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흥부놀부의 놀부 마누라 같은 소견을 지닌 자들이죠!!! 나혼자만 잘먹고 살겟다는...ㅎㅎㅎ 4천억불의 외국빗으로 살면서도... ㅎㅎㅎ
소말리아 파병이 우리의 뜻에 의한 건지... 위기에 처한 북 선박을 구한건 잘한일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