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醫命學]사주학과 동의학 기초-고급학습 목차
四柱命理易은 인간이라는 유한한 존재를 자연이라는 무한한 공간상 존재의 순간적 시간상과 연결시킨 변화(易)원리를 추구하는 고급함수이다.
목, 화, 토, 금, 수 오행과 음양의 변화가 녹아 있는 천간(天千) 10글자, 지지(地支) 12글자가 4계절 및 24절기의 향방과 더불어 어떠한 조건 아래 놓여져 있는가 하는 것을 엄밀히 추론하는 것이다.
전국시대의 귀곡자,낙녹자(年-납음오행)→당의 이허중(日,年의 납음오행)→오대~송초의 서자평(서거이-日干)의 년월일시와 오행→송의 도홍,충허자→서대승(서승, 연해+연원=연해자평), 당금지로 내려오다.
오대~북송초(宋)의 인물인 서자평(徐居易)에 와서 오늘날의 사주(四柱-연월일시의 네 기둥) 개념이 확립되었으며,
그 후 명대 유기(백온)의 적천수가 나왔고,
장남(張楠,신봉)이 자평학의 주요체계를 수정발표한 명리정종(命理正宗),
신살법(神殺法)을 위주로 한 방대한 저서인 고법명리학과 신법명리학의 짬뽕인 명리학의 백과전서 만민영(육오)의 삼명통회(三明通會)가 첨가되었고,
청대에 진소암의 명리약언, 심효첨의 자평진전, 여춘태의 궁통보감이 가세하였다.
고법 신명리 차이 설명
三命은 년주의 천간=祿, 지지=命, 납음오행=身을 말하고 주역의 天地人 三才사상을 수용하여 천원,지원,인원의 三元을 三命과 연계하여 사용하고 있다. 간지로 연도를 처음 사용한 것이 한나라 순제~헌제이므로 사주(三柱,五柱)의 간지사용을 적용한 전국시대~한나라 사이인 귀곡자 낙록자 무렵에 고법사주학이 성립되었다고 봄이 타당하다.
연주(年柱)의 천간(天干) 녹(祿-貴,權,명예)은 군자의 성품으로 거처하는 居性은 납음오행 身이므로 본명이 천해도 시운이 있으면 천한 가운데 귀함이 생긴다.
연주(年柱)의 지지(地支) 명(命-富,형상)은 그 사람에게 정해진 성품의 定性이므로 그 사람의 정해진 성품을 알 수 있다.
연주(年柱)의 납음오행(納音五行) 신(身-形貌,재능,도량,친속,인륜)은 성품이 작용하는 것이므로 用性의 인원으로 사람의 재능과 그릇의 크기를 주관하므로 활용하는 성품이다.
이허중은 현재 사주명리역의 기본원리를 이루고 있는 생극제화(生克制化)와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의 기초를 놓았기 때문에 사주명리역 발달사에 차지하는 비중은 크다.
신법명리인 자평학에서는 天元인 일간 위주로 명운을 판단하는데 地元인 지지의 경우 지지 자체보다는 지지속에 포함되어 있는 地藏干을 인원화하여 지지를 일간과 같은 조건으로 바궈 천간으로 사용하는 편리함을 취했다.
현대까지 통용되고 있는 사주명리역은 이허중의 납음오행 인원론에서 오대말~송대인 서자평(徐子平)의 자평학으로 지지장간의 인원론에서 완성되는 것으로 본다.
신법명리학의 자평법은 본명, 생월, 생일, 생시의 四柱마다 三元이 있다고 하는데, 삼원이란 天元, 地元, 人元이다. 천원은 천간, 지원은 지지, 인원은 지지 속에 들어있는 천간 곧 支藏干으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학설이다. 고법에서는 년주의 천간을 祿, 년주의 지지를 命, 년주의 납음오행을 身이라고 하며, 이 祿, 命, 身을 三元(삼명)이라고 하였다.
고법명리에서는 년주를 중심으로 하여 삼원(삼명)을 정하고 태,월,일,시는 보조적인 역할을 할 뿐이었으나 서자평은 일간을 중심으로 사주 전체의 천간과 지지와 지장간을 골고루 사용한 것이다.
신법명리인 자평학은 납음오행을 버리고 일간위주의 연월일시 간지오행과 財,官,印, 十神으로 길흉을 판단한다. 火土共存說(화토동궁설-土의 오행은 火를 따르므로 木에서 장쟁한다)을 취한다, 祿-관성, 馬-재성, 三奇-재관인, 음간의 12운성과 12신살을 무시한다. 三元-천원(천간),지원(지지),인원(지장간), 일간을 중심으로 사주전체의 천간과 지지,지장간을 사용한다. 대운, 소운을 본다(고법명리인 이허중의 삼명학의 氣運은 보지 않는다). 12운성에서 음간과 양간이 同生同死,同旺同休한다.
동양의학의 접목
《주역(周易)》과 한의학(漢醫學)의 관계는, 원리적 측면과 역사적 측면에서 고찰해 볼 때 매우 밀접하다.
먼저 원리적 측면에서 《주역(周易)》이 태극(太極)과 음양(陰陽) 변화의 이치를 논리화한 서적이고 한의학(漢醫學)이 음양오행(陰陽五行)과 천인합일(天人合一)을 기본원리로 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한의학 이론체계를 구성하는 데에 있어서 《주역(周易)》의 이론체계는 한의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고, 역사적 측면에서는 한의학이 지속적으로 주역이론을 흡수ㆍ통합ㆍ발전시켜 왔으므로 한의학사(漢醫學史)의 연구에서는 《주역(周易)》이 한의학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할 수 밖에 없기에 밀접하다는 것이다.
역대로 《주역(周易)》에 조예가 깊은 한의학들이 이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일로매진(一路邁進)한 것은 이 때문이었다. 그들은 《주역(周易)》이론으로 한의학 이론체계를 구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직접 임상에 응용하기도 하여 그 이론을 검증받으려는 시도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邁(갈 매)
한의학사(漢醫學史)를 고찰해 보면, 한의학 이론의 성립과 발전, 의학 유파의 형성, 새로운 이론체계의 성립과 논쟁 등은 《주역(周易)》과 한의학이 관련을 맺으면서 구성해 낸 이론체계와 그 궤(軌)를 같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軌(버퀴자국 궤)
《주역(周易)》을 해석한 이론들로 구성된 학문체계인 역학(易學)과 한의학의 관계를 밝힌 학문체계를 "의역학(醫易學)"이라고 한다.
본래 "의역(醫易)"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명대(明代)의 장개빈(張介賓)이고, 또 나아가서 의역학(醫易學)이라는 학문이 체계적으로 구성되기 시작한 것은 그의 "의역의(醫易義)"라는 글을 발표하고 이에 대한 전문적인 논의를 전개한 이후라고 보지만, 실제로 의역학(醫易學)의 역사는 매우 유구하다.
춘추(春秋)시대 진(秦)나라의 의화(醫和)가 고괘(蠱卦)를 사용하여 진평공(晋平公)의 병리를 해석한 이래로 역학이론은 한의학과 깊은 관련을 맺어왔다.
*蠱(회충 고)
한의학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해 준 한대(漢代)의 《황제내경(黃帝內經)》에도 수많은 역학 이론이 반영되어 있으며, 그 이후에 나온 의서(醫書)들은 큰 비중을 두고 역학 이론을 한의학에 수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의역학(醫易學)의 형성과 발전은 이와 같은 유구한 역사 속에서 이루어졌다.
의역학(醫易學)은 대체로 그 시대의 역학에 대한 연구 성과와 그 시대의 주된 관심분야와 맥을 같이하여 발전해 왔다.
현대적 의미에서 의역학이 포괄하는 내용은
(1) 기일원론(氣一元論), 정체관(整體觀), 항동관(恒動觀), 천인합일사상(天人合一思想), 시공관(時空觀) 등의 우주관(宇宙觀),
(2) 음양오행학설(陰陽五行學說), 태극팔괘이론(太極八卦理論), 상수이론(象數理論) 등의 이론 체계
(3) 하도락서(河圖洛書)의 숫자 체계, 괘효부호(卦爻符號)의 숫자 계통, 천지음양오행(天地陰陽五行) 숫자 계통의 술수사상(術數思想)이 의역학에 응용된 내용,
(4) 화학 등의 현대 자연과학이 역학과 한의학에 응용된 내용,
(5) 의학과 역학의 구체적인 개념이 직접 상호 작용과 침투에 의해 형성된 이론 체계등이다.
* 의역학 전성기 과정과 원인 분석
해석 연결 하나 둘 삼
이 범주와 같이 의역학이 포괄하고 있는 내용에, 한의학 속에 침투ㆍ용해되었거나 현재에도 침투ㆍ용해가 진행되고 있는 과거 중국의 자연과학과 현대 서양과학 등이 포함되는 것은 이 학문의 넓은 포용성을 말해준다.
한국에서도 의역학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는 몇몇 학자들이 있지만, 이에 관한 연구의 역사가 일천하므로 아직 수준 높은 저작을 기대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닌 듯하다고 말하겠으나.
그러나 의명학은 동의명학이 최고, 의역학을 겸하며, 원리 이론 체계가 으뜸이고 원서로 삼을 수 있으며 오직 이곳 카페만이 유일 하게 있다.
동양학의 이론 일부가 아닌 전부 모두가 적용되는것이 의명학이다. 인간 삶의 내용을 품고 있기 때문이고 고대로 부터 이론들이 이 속에서 성립되었기 때문이다. 동의명학은 이에 합당하게 이룬 때문이며 가장 현대에 맞는 과학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명리사주학분야와 동양의학 분야의 이론을 역체계인 불역 간역 변역을 적용하고 인간삶의 건강을 예측 개선할수 있게 펼쳤다.
사실 고서 명리와 의서 이론들이 바탕인 것이며 시대발전의 과학화를 단순화 시킨것이라 할수 있다.
명조구성은 특히 세계화 의명 의역으로 가능하게 하였고, 오행 생억부극승모의 통변 추명 개명 단어를 사용하고 건강 운세 십신 육친 .. 을 예측 개선하며 두 분야의 응급대응과 예방치료라는 분야를 도모할 수 있게 하였다.
고전 역서와 명학서의 자명학 이후 이에 관한 서들,
고전의서 내경을 기준한 침구탕액 본초학적용등 그리고 정신수양분야 서들을 기초로 삼았으며, 음양오행의 기본이론을 잘지킨 동의명학이다.
아쉬운점은 이 의명학 기초가 후학자에게 이어져 더 발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서구식 생활경쟁의 돈을 쫏는 세태와 사회의 환경이 되다보니 이 분야 발전이 외면을 받고 있다.
카페에만 있는 동의명학은 모든 내용이 두서는 없으나 기록으로 남아 있다.
관심있는 후학자 여러분께서 발전시키시면 좋겠으나~
첫댓글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