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5차] 보리원 불사 원만 성취 발원 100일 기도(82일째 2022.01.01 토요일)
❂ 붓다 완다나(Buddha-vandanā, 부처님을 찬탄합니다)
나모 땃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삼붓닷사
나모 땃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삼붓닷사
나모 땃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삼붓닷사
❂ 띠 사라나(Ti-saraṇa, 삼귀의)
붓당 사라낭 갓차-미
담망 사라낭 갓차-미
상강 사라낭 갓차-미
두띠얌삐 붓당 사라낭 갓차-미
두띠얌삐 담망 사라낭 갓차-미
두띠얌삐 상강 사라낭 갓차-미
따띠얌삐 붓당 사라낭 갓차-미
따띠얌삐 담망 사라낭 갓차-미
따띠얌삐 상강 사라낭 갓차-미
❂ 빤짜 식카빠다니(Pañcasikkhāpadāni, 오계, 다섯 가지 학습계목)
① 빠-나-띠빠-따- 웨-라마니- 식카-빠당 사마-디야-미
② 아딘나-다-나- 웨-라마니- 식카-빠당 사마-디야-미
③ 까-메수 밋차-짜-라- 웨-라마니- 식카-빠당 사마-디야-미
④ 무사-와-다-웨-라마니- 식카-빠당 사마-디야-미
⑤ 수라-메-라야 맛자 빠마-닷타-나- 웨-라마니- 식카-빠당 사마-디야-미
❂한시간 삼십분 아나빠나 명상
❂빳타나 독송(43분)
■ 01.원인 조건
“원인 조건”이란-
원인들은 원인과 결합한 법들에게, 또한 그것들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원인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02.대상 조건
“대상 조건”이란-
01. 형색 감각장소는 안식계에게, 또한 그 안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대상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2. 소리 감각장소는 이식계에게, 또한 그 이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대상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3. 냄새 감각장소는 비식계에게, 또한 그 비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대상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4. 맛 감각장소는 설식계에게, 또한 그 설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대상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5. 감촉 감각장소는 신식계에게, 또한 그 신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대상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6. 형색 감각장소, 소리 감각장소, 냄새 감각장소, 맛 감각장소, 감촉 감각장소는 의계에게, 또한
의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대상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7. 모든 법들은 의식계에게, 또한 그 의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대상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8. 어떤 어떤 법들 대상으로 마음과 마음부수인 어떤 어떤 법들이 생겨날 때, 대상인 그런 그런
법들은 그것들을 대상으로 하는 그런 그런 법들에게 “대상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03.지배 조건
“지배 조건”이란-
01. 열의 지배는 열의와 결합한 법들에게, 또한 그것들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지배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2. 정진 지배는 전진과 결합한 법들에게, 또한 그것들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지배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3. 마음 지배는 마음과 결합한 법들에게, 또한 그것들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지배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4. 검증 지배는 검증과 결합한 법들에게, 또한 그것들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지배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5. 어떤 어떤 법을 중요시하여 마음과 마음부수인 어떤 어떤 법들이 생겨날 때, 조건인 그런 그런 법들은
조건 따라 생겨 나는 그런 그런 법들에게 “지배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04.틈이 없는 조건
“틈이 없는 조건”이란-
01. 안식계, 또한 그 안식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계에게,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의계,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식계에게, 또한 그 의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2. 이식계, 또한 그 이식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계에게,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의계,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식계에게, 또한 그 의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3. 비식계, 또한 그 비식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계에게,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의계,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식계에게, 또한 그 의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4. 설식계, 또한 그 설식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계에게,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의계,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식계에게, 또한 그 의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5. 신식계, 또한 그 신식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계에게,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의계,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식계에게, 또한 그 의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6. 앞의 앞의 선법들은 뒤의 뒤의 선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7. 앞의 앞의 선법들은 뒤의 뒤의 무기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8. 앞의 앞의 불선법들은 뒤의 뒤의 불선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9. 앞의 앞의 불선법들은 뒤의 뒤의 무기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0. 앞의 앞의 무기법들은 뒤의 뒤의 무기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1. 앞의 앞의 무기법들은 뒤의 뒤의 선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2. 앞의 앞의 무기법들은 뒤의 뒤의 불선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3. 어떤 어떤 법들의 바로 다음에 틈이 없이 마음과 마음부수인 어떤 어떤 법들이 생겨날 때, 앞에 생긴 그런 그런
법들은 그 다음에 틈 없이 생긴 그런 그런 법들에게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 5.빈틈 없는 조건
“빈틈 없는 조건”이란-
01. 안식계, 또한 그 안식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계에게,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의계,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식계에게, 또한 그 의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2. 이식계, 또한 그 이식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계에게,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의계,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식계에게, 또한 그 의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3. 비식계, 또한 그 비식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계에게,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의계,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식계에게, 또한 그 의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4. 설식계, 또한 그 설식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계에게,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의계,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식계에게, 또한 그 의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5. 신식계, 또한 그 신식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계에게,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의계,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은 의식계에게, 또한 그 의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6. 앞의 앞의 선법들은 뒤의 뒤의 선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7. 앞의 앞의 선법들은 뒤의 뒤의 무기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8. 앞의 앞의 불선법들은 뒤의 뒤의 불선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9. 앞의 앞의 불선법들은 뒤의 뒤의 무기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0. 앞의 앞의 무기법들은 뒤의 뒤의 무기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1. 앞의 앞의 무기법들은 뒤의 뒤의 선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2. 앞의 앞의 무기법들은 뒤의 뒤의 불선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3. 어떤 어떤 법들의 바로 다음에 빈틈 없이 마음과 마음부수인 어떤 어떤 법들이 생겨날 때, 앞에 생긴 그런 그런
법들은 그 다음에 빈틈 없이 생긴 그런 그런 법들에게 “빈틈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06.함께 생긴 조건
“함께 생긴 조건”이란-
01. 네가지 정신 무더기들은 서로 서로 “함께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2. 네가지 근본 물질들은 서로 서로 “함께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3. 입태 순간의 정신과 물질은 서로 서로 “함께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4. 마음과 마음부수 법들은 마음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함께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5. 근본 물질들은 파생 물질들에게 “함께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6. 물질법들은 정신법들에게 때로는 “함께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되고, 때로는 “함께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되지 않은다.
■ 07.상호 조건
“상호 조건”이란-
01. 네가지 정신 무더기들은 서로 서로 “상호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2. 네가지 근본 물질들은 서로 서로 “상호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3. 입태 순간의 정신과 물질은 “상호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08.의지 조건
“의지 조건”이란-
01. 네가지 정신 무더기들은 서로 서로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2. 네가지 근본 물질들은 서로 서로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3. 입태 순간의 정신과 물질은 서로 서로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4. 마음과 마음부수 법들은 마음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5. 근본 물질들은 파생 물질들에게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6. 눈 감각장소는 안식계에게 또한 그 안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되지 않은다.
07. 귀 감각장소는 이식계에게 또한 그 이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되지 않은다.
08. 코 감각장소는 비식계에게 또한 그 비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되지 않은다.
09. 혀 감각장소는 설식계에게 또한 그 설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되지 않은다.
10. 몸 감각장소는 신식계에게 또한 그 신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되지 않은다.
11. 어떤 물질을 의지하여 의계도. 의식계도 생길 때, 그 물질은 의계에게도, 의식계에도, 또한 그 의계나 의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도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09.강한 의지 조건
“강한 의지 조건”이란-
01. 앞의 앞의 선법들은 뒤의 뒤의 선법들에게 “강한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2. 앞의 앞의 선법들은 뒤의 뒤의 불선법들에게 일부 “강한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3. 앞의 앞의 선법들은 뒤의 뒤의 무기법들에게 “강한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4. 앞의 앞의 불선법들은 뒤의 뒤의 불법들에게 “강한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5. 앞의 앞의 불선법들은 뒤의 뒤의 선법들에게 “강한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6. 앞의 앞의 불선법들은 뒤의 뒤의 무기법들에게 “강한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7. 앞의 앞의 무기법들은 뒤의 뒤의 무기법들에게 “강한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8. 앞의 앞의 무기법들은 뒤의 뒤의 선법들에게 “강한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9. 앞의 앞의 무기법들은 뒤의 뒤의 불선법들에게 “강한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0. 기후와 음식물도 “강한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1. 사람도 “강한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2. 처소도 “강한 의지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10.앞에 생긴 조건
“앞에 생긴 조건”이란-
01. 눈 감각장소는 안식계에게, 또한 그 안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앞에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2. 귀 감각장소는 이식계에게, 또한 그 이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앞에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3. 코 감각장소는 비식계에게, 또한 그 비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앞에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4. 혀 감각장소는 설식계에게, 또한 그 설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앞에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5. 몸 감각장소는 신식계에게, 또한 그 신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앞에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6. 형색 감각장소는 안식계에게, 또한 그 안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앞에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7. 소리 감각장소는 이식계에게, 또한 그 이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앞에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8. 냄새 감각장소는 비식계에게, 또한 그 비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앞에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9. 맛 감각장소는 설식계에게, 또한 그 설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앞에 생긴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0. 감촉 감각장소는 신식계에게, 또한 그 신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앞에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1. 형색 감각장소, 소리 감각장소, 냄새 감각장소, 맛 감각장소, 감촉 감각장소는 의계에게, 또한
의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앞에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2. 어떤 법들을 의지하여 의계도, 의식계도 생겨날 때, 그 물질은 의계에게,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앞에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그 물질은] 의식계에게는, 또한 그 의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는 때로는 “앞에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때로는
“앞에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되지 않는다.
■ 11.뒤에 생긴 조건
“뒤에 생긴 조건”이란-
나중에 생긴 마음과 마음부수들은 먼저 생긴 이 몸에게 “뒤에 생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12.반복 조건
“반복 조건”이란-
01. 앞의 앞의 선법들은 뒤의 뒤의 선법들에게 “반복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2. 앞의 앞의 불선법들은 뒤의 뒤의 불선법들에게 “반복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03. 앞의 앞의 무기법들은 뒤의 뒤의 작용의 무기법들에게 “반복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13.업 조건
“업 조건”이란-
1. 선. 불선 업은 광보 무더기들에게
또한 업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업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2. 의도는 결합한 법들에에
또한 그 의도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업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14.과보 조건
“과보 조건”이란-
과보인 네 가지 정신 무더기들은 서로서로
“과보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15.음식 조건
“음식 조건”이란-
1. 물질적 음식은 이 몸에게
“음식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2. 정신적 음식은 결합한 법들에게
또한 그 정신적 음식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음식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16. 기능 조건
“기능 조건”이란-
1. 눈 기능은 안식계에게
또한 그 안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기능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2. 귀 기능은 이식계에게
또한 그 이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기능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3. 코 기능은 비식계에게
또한 그 비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기능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4. 혀 기능은 설식계에게
또한 그 설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기능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5. 몸 기능은 신식계에게
또한 그 신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기능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6. 물질적 생명 기능은 업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기능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7. 정신적 기능들은 결합한 법들에게
또한 그 기능들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기능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17. 선정 조건
“선정 조건”이란-
선정 구성요소들은 선정과 결합한 법들에게
또한 그 선정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선정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18. 도 조건
“도 조건”이란-
도 구성요소들은 도와 결합한 법들에게
또한 그 도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도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19. 결합 조건
“결합 조건”이란-
네가지 정신 무더기들은 서로 서로
“결합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20. 비 결합 조건
“비 결합 조건”이란-
1. 물질법들은 정신법들에게
“비 결합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2. 정신법들은 물질법들에게
“비 결합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21.존재 조건
“존재 조건”이란-
1. 네가지 정신 무더기들은 서로 서로
“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2. 네가지 근본 물질들에게 서로 서로
“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3. 입태 순간의 정신과 물질은 서로 서로
“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4. 마음과 마음부수 법들은
마음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5. 근본 물질들은 파생 물질들에게
“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6. 눈 감각장소는 안식계에게
또한 그 안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7. 귀 감각장소는 이식계에게
또한 그 이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8. 코 감각장소는 비식계에게
또한 그 비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9. 혀 감각장소는 설식계에게
또한 그 설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0. 몸 감각장소는 신식계에게
또한 그 신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1. 형색 감각장소는 안식계에게
또한 그 안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2. 소리 감각장소는 이식계에게
또한 그 이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3. 냄새 감각장소는 비식계에게
또한 그 비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4. 맛 감각장소는 설식계에게
또한 그 설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5. 감촉 감각장소는 신식계에게
또한 그 신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6. 형색 감각장소, 소리 감각장소,
냄새 감각장소, 맛 감각장소,
감촉 감각장소는 의계에게,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5. 어떤 물질을 의지하여 의계도,
의식계도 생길 때,
그 물질은 의계에게도, 의식계에게도
또한 그 의계와 의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도
“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22.비존재 조건
“비존재 조건”이란-
빈틈없이 소멸한 마음과 마음부수 법들은
겨듭 생겨나는 마음과 마음부수 법들에게
“비존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23.분리 조건
“분리 조건”이란-
빈틈없이 사라진 마음과 마음부수 법들은
겨듭 생겨나는 마음과 마음부수 법들에게
“분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24.비분리 조건
“비분리 조건”이란-
1. 네가지 정신 무더기들은 서로서로
“비분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2. 네가지 근본 물질들은 서로서로
“비분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3. 입태순간의 정신과 물질은 서로서로
“비분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4. 마음과 마음부수 법들은
마음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비분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5. 근본 물질들은 파생 물질들에게
“비분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6. 눈 감각장소는 안식계에게
또한 그 안식계와 결합한 법들에
“비분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7. 귀 감각장소는 이식계에게
또한 그 이식계와 결합한 법들에
“비분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8. 코 감각장소는 비식계에게
또한 그 비식계와 결합한 법들에
“비분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9. 혀 감각장소는 설식계에게
또한 그 설식계와 결합한 법들에
“비분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0. 몸 감각장소는 신식계에게,
또한 그 신식계와 결합한 법들에
“비분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1. 형색 감각장소는 안식계에게,
또한 그 신식계와 결합한 법들에
“비분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2. 소리 감각장소는 이식계에게,
또한 그 이식계와 결합한 법들에
“비분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3. 냄새 감각장소는 비식계에게,
또한 그 비식계와 결합한 법들에
“비분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4. 맛 감각장소는 설식계에게,
또한 그 설식계와 결합한 법들에
“비분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5. 감촉 감각장소는 신식계에게,
또한 그 신식계와 결합한 법들에
“비분리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6. 형색 감각장소, 소리 감각장소,
냄새 감각장소, 맛 감각장소,
감촉 감각장소는 의계에게.
또한 그 의계와 결합한 법들에게
“비분기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17. 어떤 물질을 의지하여 의계도,
의식계도 생길 때,
그 물질은 의계에게도, 의식계에게도
또한 그 의계나 의식계와 결합한 법들에게도
“비분기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사-두 사-두 사-두
(큰북소리 셋에서 발취)
❂ 회향 및 발원문
이당 메 뿐~냥~ / 아-사왁카야- 와항 / 호뚜
Idam me puṅṅaṃ āsavakkhayāvahaṃ hotu
이러한 공덕으로 모든 번뇌를 소멸하게 되기를!
이당 메 뿐~냥~/ 닙바-낫사 / 빳짜요 / 호뚜
Idam me puṅṅaṃ nibbānassa paccayo hotu
이러한 공덕으로 열반에 이르기를!
마마 / 뿐~냐~바-강 / 삽바삿따-낭 / 바-제미
Mama puṅṅabhabhāhgaṃ sabbasattānaṃ bhājemi
지금 행한 이 공덕이 모든 존재에게 나누어지기를!
떼 삽베 / 메 사망 / 뿐~ 냐~ 바-강 / 라반 뚜
Tesabbe me samaṃ puṅṅabhāgaṃ labhantu
모든 존재들이 이 공덕을 함께 나누어 가지기를!
사-두 사-두 사-두!
Sādhu! sādhu! sādhu!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거룩한 승가에 귀의합니다.
저희들의 안식처인 보리원에 귀의합니다.
이러한 진실한 말로 두 분 스님께서 항상 건강하시길!
보리원 불사가 아무런 장애 없이 원만하게 성취되어
역경과 전법・수행의 중심도량이 되기를!
저와 저의 가족과 이웃들이 언제나 건강하고 무탈하기를!
지금 행한 저의 독송과 수행공덕이 모든존재들에게 회향합니다.
모든 중생들이 고통 없이 안온하기를!
이 세상에 부처님 가르침이 오래오래 지속되기를!
사두 사두 사두
|
첫댓글 법우님들~!
2022년 신년 새해 인사 올립니다.
사두 사두 사두
새해 행복하십시요....... _()_
"모든 법우님들이"
수행에 정진하여 출세간의 큰 이익 얻기를 서원합니다.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섬진강 법우님께서 새해 첫서원의 글을 올려주셨습니다^^_()_
법우님과 가족들이 편안하시길!
사~두 사~두 사~두!
_()__()__()_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승가에 귀의합니다
사두~사두 ~사두
-()()()-
감사합니다^^
사~두 사~두 사~두
_()_()_()_
사두사두사두
사두 사두 사두
.......()()().......
새해 첫날 축원과 함께 빳타나를 올려주셨군요.
고맙습니다.
새해 가내 평안하시고 늘 행복하시기를.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사두 사두 사두 _()_
사두 사두 사두 _()_
고맙습니다 _()_
사두 사두 사두
_()()()_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사두 사두 사두
_()__()__()_
사-두 사-두 사-두!
사두 사두 사두 ()()()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사두 사두 사두_()_
감사합니다, 섬진강 법우님.
새해에도 늘 청안하십시오.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사두 사두 사두
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