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는 2천년 전, 갈릴리 사람 예수가 오늘 나의 메시야, 스승이라고 믿습니다. 이런 걸 보수라 하지요. 그러나 1920년대 미국의 우파 신학은 근본주의라 합니다. 오늘날 미국에서는 "복음주의"란 말을 더 잘 쓰지만요. 교리 중심의 근본주의는 최근, 미국에서 일어난 한 사조입니다. 신앙의 자유가 있으니, 맘에 드는 걸 믿으시면 됩니다. 그러나 알고 믿어도 나쁠 건 없지요. 적어도 어른들에게는요. 하여,. 근본주의 뿌릴 소개합니다.
(이 글은 아마 13년 전쯤, 조사하여, 정리한 글인데, 독자의 요청으로 여기에 올립니다. 그냥 초보자들만 참고
하세요. 새론 사실 하나는 웨스트민스터신학교 교수가 될려면, 성경문자무오설을 신봉한다고 엄숙히 서약하고, 그 범위 안에서만 가르쳐냐 합니다. 궁금한 분들은 그 신학교 사이틀 보세요. 물론 여자 목사는 이정하지 않고요 .... )
많은 한국 기독교인들이 신봉하고 있는 “근본주의(Fundamentalism)”
1920년대 미국에서 발생한 개신교의 초교파적 보수주의 운동. 이 신학 사조는 당시의 일체의 비판적 신학 사조들, 예컨대, 현대주의, 자유주의 신학, 특히 각종 진화론에 대하여 조직적이고도 전투적인 자세로 대항하였다. 이 사조는 성서의 무오성(無誤性)과 성서에 나타난 기독교의 초자연적 진리를 수호함으로써 기독교의 본질적이고 근본적인 교리를 재확인하려 했던 일종의 교리수호운동이다. 근본주의는 오늘날도 그 명맥을 뚜렷이 유지하고 있지만, 오늘날에는 주로 “복음주의”(evangelicalism)라는 이름으로 통하고 있다. 따라서 근본주의의 뿌리요 또한 오늘날의 형태라고 할 수 있는 개신교 내의 ‘복음주의’부터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근본주의가 20세기 초에 발생한 특정 신학사조를 지칭하는 반면, 복음주의라는 말은 원래 18세기에 일어난 종교 각성 운동을 일반적으로 가리키는 영미식(英美式) 말이었다. 그러나 이 말의 역사적 기원은 유럽의 개신교 일반과 연결되어 있다. 즉 성서의 유일무이한 권위와 그리스도에 대한 인격적이고도 개인적인 신뢰를 강조하는 종교개혁 사상에 그 연원이 있다. 17세기의 청교도주의는 이같은 종교개혁의 강조점들을 영국의 개신교 전통에 깊게 심어 주었으며, 또한 그 후 특별히 북아메리카 식민지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18세기 대륙에서 등장한 경건주의는 이같은 영국의 청교도주의와 만나게 되는데, 감리교회의 창시자 존 웨슬리(John Wesley, 1703 - 1791)와 모라비안교도들과의 만남은 이에 대한 좋은 실례가 된다. 영국에서는 이러한 각성 운동이 웨슬리의 감리교 운동을 비롯한 비국교도 사이의 복음주의적 부흥가들, 그리고 영국 교회 내의 여러 분파들 사이에서 나타나고 있다. 결국 19세기 중반에 들어서면 이같은 형태의 복음주의 신앙이 영제국의 가장 전형적인 형태가 된다.
미국의 경우는 이 복음주의의 영향이 더욱 크다. 그 이유는 이 신천지 미국에는 영국 교회와 같은 잘 조직된 도전 세력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미 합중국과 복음주의의 발흥은 사실상 동시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결과 기독교는 유사-공식적인 지위를 얻었다. 그 이유는 이 복음주의가 강조하는 “자발적인 수용”이 개인의 자유를 강조하는 미국의 이상과 잘 융합되었기 때문이다.
미국의 복음주의의 성격은 18세기 대각성운동(Great Awakening) 기간 중에 그 특성이 형성되었다. 이 시기에는 뉴 잉글랜드 청교도주의, 대륙의 경건주의, 영국인 핏필드(George Whitefield, 1714 - 1770)의 칼빈주의적 부흥운동, 그리고 감리교운동 등 일련의 운동들이 하나로 통합되었다. 19세기 초에서 중반까지의 기간 중 미국에서는 이 특정 형태의 복음주의라는 신앙 형태가 곧 개신교의 신앙이라고 이해되고 있었다. 물론 그 내부에는 다양한 교파들이 있었지만 일반적으로는 칼빈주의와 감리교 신학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이들은 삶으로 증거되는 회심 경험을 강조하였고, 부흥과 선교에 치중했다. 따라서 이들은 교회를 오직 성서의 권위 위에만 근거한 신자들의 자발적인 연합체로 이해했다. 19세기 초까지만 해도 이들은 종파적인 성격을 띄지 않고 단지 “자발적인 단체들”(voluntary societies)로 이루어진 거대한 그물망(network)을 결성하여 자기들의 주장을 증진시키려 하였다. 또한 선교 활동을 전 세계로 확대하였고, 자선 사업과 사회적 개혁을 지향하여, 노예해방운동, 노예제도폐지에도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하였으며, 안식일 엄수, 금주 규정 제정, 교도소 개혁 같은 다른 개혁들도 추진하였다. 또한 많은 자선 단체의 설립도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그러나 19세기 후반에 이르면 급격히 변화된 상황 때문에 그 초점은 개인적 성결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바뀌게 된다. 새로운 산업화 현상과 대도시 출현 등으로 개인적, 자발적인 프로그램의 실행이 불가능해진 탓이다. 따라서 이전에 문화를 지배하던 개념들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져, 결국은 그리스도에 대한 개인적인 헌신, 개인적 성결 등을 강조하게 되는 운동들이 출현하게 되었으며, 사회개혁적 관심은 퇴조하게 되었다. 그러나 문화에 도덕적 영향을 주려는 열망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의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부흥사 무디(Dwight L. Moody, 1837 - 1899)이다. 무디는 피니(Charles Finney, 1792 - 1875)와는 달리 전천년기설(premilliennialism)을 강조하게 되며, 이같은 사상적인 전환은 후에 나타나게 되는 근본주의와 밀접한 연관을 갖게 된다.
그러나 19세기 후반부터 1차 세계대전에 이르자 복음주의자들은 지적으로 새로운 상황이 도래하였음을 깨닫게 되었다. 다윈(Charles Darwin, 1809 - 1882)의 사상이 그 당시 문화 전반을 지배하던 다양한 사상들 가운데 선두주자로 부상하게 된 것이다. 다윈주의에 대한 초기의 논쟁은 “복음주의”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면서, 근대 과학과 성서적 기독교는 조화를 이룰 수 없다는 인상을 심어주었다. 그러나 더 커다란 문제는 “실재와 진리”에 대한 사고의 혁명적인 전환이다. 즉 고정된, 불변하는 절대적 진리라는 것은 이제 더 이상은 불가능하고 그것은 인간의 문화적 진화의 변화하는 기능에 불과하다는 생각을 서구인들은 이 다윈주의 논쟁을 통해 점차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다면, 종교란 하느님에 의해 계시된 절대적인 진리가 아니요, 단지 신과 도덕성에 대한 인간 개념의 변천 기록일 뿐이다. 이러한 개념은 곧 이어 성서에 적용되었고, 결국 19세기 후반에 등장한 성서의 고등비평은 성서를 그저 히브리인들의 종교 체험에 대한 기록으로 간주하게끔 유도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광범위한 복음주의 의 합의점을 그 근본부터 흔들어 놓았다. 구원론을 뒷받침하던 성서의 절대적 권위, 그리고 성서에 근거한 도덕적 절대성이 흔들리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의문은 교회 외부에서만이 아니라 교회 내부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결과적으로 19세기 중반에 이룩된 복음주의 동맹 내부에서는 심각한 분열 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는데, 기독교 신앙을 시대의 조류에 맞게 조정해 보려는 일단의 사람들, 소위 ‘현대주의자’로 불리우는 자유주의자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들은 하느님 나라를 하느님의 초자연적인 개입을 통해 실현되는 것으로 보지 않고, 문명과 도덕의 성장이라는 자연적인 과정을 속에서 성취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렇게 본다면, 기독교란 저 세상을 준비키 위한 영원한 구원의 교리가 아니라 이 세상을 위한 인간적인 삶의 방식을 말해 주는 신적인 계시일 뿐이다. 이 자유주의자들은 20세기 초반의 진보적 정치학에 근거한 “사회복음”을 옹호하면서, 과거 복음주의 운동의 개인중심적 구원을 사회구원적 구원으로 초점을 바꾸게 하였다.
반면에 이같은 세속적 세계관을 거부하고 성서의 초자연적 기적 사건들을 강조하며 전통적인 교리들을 계속 지켜가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는데, 이것이 바로 근본주의 운동이었다. 1890년에 소위 말하는 ‘브릭스 사건’이 일어났다. 북장로교회 산하에 있었던 뉴욕시 소재 유니온 신학교에는 독일 베를린 대학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브릭스(Chrales A. Briggs)가 교수로 취임하면서 “성서의 권위”라는 제목의 연설을 하였는데, 그는 그 때에 독일 자유주의 신학의 입장을 받아들이면서 성서의 영감(靈感)을 부인하고, 성서의 고등비판을 수락한다는 발언을 하였다. 이에 대하여 미국 북장로교회는 1892년 고등비평적 성서관을 정식으로 정죄하고, 브릭스 교수와 그를 동조하는 몇몇 교수를 신학교 교수직으로부터 해임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보수계 지도자들과 신학자들은 성서의 무오설을 지키기 위해 대 단합을 꾀하게 되는데, 이것이 근본주의 운동을 가시화시키는 사건이 되었다.
이같은 자유주의 신학의 성서 고등비평에 위기를 느낀 보수 지도자들은 수모받은 성서를 들고 대중 전도에 나선 무디와 함께 교인들을 모아 ‘사경회’(Bible Conference)를 열었다. 이 사경회 운동은 전국적으로 퍼지기 시작했고, 1895년 나이아가라 휴양지에서 모인 사경회(Niagara Bible Conference)는 그 대표적인 것이었다. 이 사경회 운동은 자유주의 신학 운동의 여파로 추락된 성서의 권위를 회복하고, 기독교 근본 교리를 확립?수호하기 위한 초교파적인 보수주의 교회 지도자들의 모임이었다. 여기에서 기독교의 “5 가지” 근본 교리를 선정하였다(5 가지 교리 : 성서 무오설, 예수 그리스도의 동정녀 탄생, 대속적 죽음, 육체 부활, 그리스도의 재림).
1909-1915년 어간에는 근본주의 총서인 ?근본 : 진리 증언?(Fundamentals : A Testimony to the Truth)이라는 소책자 12 권을 발간하여, 문서 사업을 통한 근본주의 운동을 활발히 전개해 나아갔다. 이 총서의 집필진은 교파를 초월한 여러 부류의 인사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당시의 보수 대연합이 연합전선적인 움직임이었음를 여실히 보여 주고 있다. 이 책자는 와이만(Wyman)과 스튜어트(M . Stewart)라는 평신도의 출자에 의해 300만 부 이상이 무료로 전국에 배포되었다. 그러나 이후로 나온 근본주의 책자들은 질적으로 이 총서를 능가하지 못했고, 근본주의자들은 감정적이고 적개심으로만 불타 있어서, 자신들의 주장을 신학적으로 발전시키지는 못하고 말았다.
1910년에 개회된 북장로교회 총회도 “기독교의 5대 근본 교리”를 채택하였는데, 그 내용은 나이아가라 회합의 5대 교리와 유사하다. 다른 점이 있다면 그리스도의 육체적 재림을 그리스도의 이적(異蹟)으로 대치한 것이다. 이것은 ‘천년기’ 시기에 관한 개혁주의자와 ‘세대(경륜)주의자’ 사이의 이견 조정 때문이었다. 즉 말썽의 소지가 있음을 깨달았기에 아예 다른 것으로 대치한 것이다. 그러나 이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이 근본주의 운동은 처음부터 자체 내의 분열의 소지를 안고 있었다.
1919년에도 근본주의자 대회가 시카고의 무디성서학교(Moody Bible Institute)에서 열렸다. 이 모임의 참석자들은 25 편의 논문을 수록한 ?신언?("God has Spoken")이라는 책을 발간하였다. 그리고 이 대회에서는 자유주의에 대해 “수비에서 공격으로 자세를 전환”하는 전략을 수립하였다. 여기서 하나의 기구가 조직되는데, 이는 후에 “세계기독교 근본주의연합회”(the World's Christian Fundamentals Association)로 알려지게 되었다. 한편, 1920년 미국 침례교 신학자인 로우스(Curtis Lee Laws)는 침례교 기관지인 Watchman-Examiner에서 보수주의 그룹을 “근본주의자들”(Fundamentalist)라는 이름으로 부르기 시작하였으며, 이같은 이름은 위에서 지적한 그 소책자들의 제목에서 따온 것이었다. 그런데 이 말이 그 후 저들을 가리키는 공식적인 용어처럼 사용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토록 맹렬하게 전개되던 근본주의 운동도 다음 중요한 두 자유주의 사상과의 논쟁 사건 이후로는 점점 그 세력이 약화되어, 급기야는 완전히 주요 교단으로부터 떨어져 나가, 고립되는 상황을 맞게 된다. 그 첫번째 사건은 1922년의 “포스딕(H. Emersion Fosdik)의 설교 사건이다. 뉴욕시의 제일장로교회에서 시무하던 자유주의계 침례교 목사 포스딕은 “근본주의자들은 이길 것인가?” 라는 제목의 설교를 하였는데, 그 교회의 리(Ivy Lee)라는 평신도가 그것을 인쇄하여 교계에 배포하였다. 이것은 그 당시에 가장 많이 읽히던 설교 가운데 하나였다. 그는 근본주의가 자유를 억제하며 관용심이 없다고 공격하면서, 그리스도의 처녀 탄생과 성서의 영감, 그리스도의 재림 등을 절대적 교리로 고집하는 근본주의자들은 온 세계가 무지와 빈곤과 전쟁 등 사회악으로 죽어가고 있는데도 “사소한 일로 다투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기독교의 사회 참여를 강조하였다 : “나는 근본주의자들이 성공하리라고는 한 순간도 생각해 본 적이 없다.” 이에 맞서서 필라델피아의 장로교회 목사 매카트니(Clarence E. Macartney)는 “불신앙은 이길 것인가?”라는 제목의 설교를 통해 기독교와 자유주의의 “상반성”을 강조하면서, 자유주의에 대하여 그 주관성과 비성서적 이론 전개를 비난하였다. 또한 필라델피아 노회가 열렸을 때, 매카트니는 이 문제를 제기하여 뉴욕시 제일장로교회의 설교가 전통적인 장로교회교 교리에 부합한 설교가 되도록 조처해 줄 것을 요청하였고, 그 결과 북장로교회 총회는 뉴욕 노회에 포스딕이 장로교회 교리에 맞는 설교를 하도록 압력을 넣었으나, 포스딕은 그렇게는 할 수 없다고 반발하여 결국 목사직을 사임하였고, 이 사건은 후자의 승리로 끝났다.
그러나 두번째 사건은 1925년 테네시의 데이튼에서 열린 “스콥스 재판”(the Scopes Trial) 또는 “원숭이 재판”(Monkey-Trial)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근본주의 운동은 사멸의 길을 걷게 된다. 이 사건은 죤 스콥스(J. T. Scopes)라는 한 공립학교 교사가 법으로 금지되어 있던 진화론을 가르침으로써 발생하였다. 당시는 다윈의 진화론이 교회의 큰 위협으로 등장하게 되자 이를 방어하기 위해 교회 인사들이 공립학교에서 생물과목을 가르칠 때는 진화론을 소개하지 못하도록 주의 법으로 제정하는 운동을 벌이고 있던 터였다. 당시 이미 남부의 여러 주에서는 진화론 소개를 법으로 금지시켰다. 법정에서는 근본주의의 이름난 대변자인 브라이언(W. J. Bryan) 목사와 자유주의 사상을 가진 법률가 다로우(Clarence Darrow) 사이에 열띤 공방전이 전개되었다. 브라이언 목사는 창조론의 입장을 변호하기는 했지만 횡설수설하며 오히려 무지를 폭로하는 듯 보였으나, 다로우는 브라이언을 명석한 이론과 과학적 지식을 가지고 궁지에 몰아 넣었다. 종국에는 스콥스가 진화론을 가르쳤다는 이유로 유죄 판결(100 불 벌금형)을 받았지만, 그 당시 사회 여론은 다로우 편으로 기울었고, 근본주의는 “사멸하는 현상”이라는 결론을 사람들로 하여금 내리게 하였다. 이후로 근본주의자들은 자유주의자들과의 정면 대결을 피하고 부흥사경회 개최, 성서학교 설립, 해외선교사 파송 등을 벌이면서 개교회 성장에 주력하는 한편, 자유주의로부터의 분리와 독립교회 설립을 꾀하였다.
1925년의 프린스톤 신학교 사건은 바로 이같은 ‘분리’ 운동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1812년에 설립된 프린스톤 신학교는 설립 이래로 미국 보수신학과 “성서 영감설”의 본거지로서 군림해 왔다. 그러나 1914년 스티븐슨(J. Ross Stevenson)이 교장으로 취임한 후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그는 자신은 보수신학자이지만 신학적 입장에 있어서는 중용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 당시 교단 내에서는 “어번 선언”( the Auburn Affirmation)이라는 운동이 일어났는데, 여기에 참여한 사람들은 보수주의적인 프린스톤 신학 노선을 비판하면서, ‘진보성’을 띈 새 신학 사상과 교리 해석에 “관용”을 베풀 것을 요청하게 되었다(여기에 참여한 사람들은 1만 명의 교단 목사 가운데 1,293 명이었고, 이들은 1910년 교단이 정한 5 가지 교리를 목사 안수의 필수적인 고백으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고 주장하면서, 그것을 여러가지 학설 가운데 하나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같은 제안을 교장은 받아들여 이 어번 선언 동조자에게 신학교 운영의 참여를 허락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교장의 학교 운영에 대해 메이첸(J. Gresham Machen), 알리스(Allis), 윌슨(Wilson), 반 틸(Van Til) 등 보수적 교수들은 자유주의 신학 사조가 학교 안에 침투하였다고 교장을 맹렬히 비난하면서 사표를 던지고 인근 필라델피아 시에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를 세웠다. 이들은 후에 미국 북장로교회 전체가 자유주의자들의 지배 하에 들어가게 되자, 동지들과 교회들을 규합하여 1936년 정통장로교회(the Orthodox Presbyterian Church) 설립함으로써 교단 분열을 감행하였다. 이후 ‘이탈과 분리’가 근본주의 운동의 특징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교단 분열을 감행하여 갈라져 나온 정통장로교회 내에서도 강경파와 온건파의 갈등이 심해졌고, 종말론과 신자의 경건 생활에 관한 문제 때문에 자체 내에 긴장이 생기게 되었다.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의 대부분의 교수들은 종말론에 있어서는 무천년설을 주장하는 쪽이었고, 주초(酒草)와 극장 출입 문제 같은 것은 기독교인의 자유에 속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지니고 있었기에 이를 규범화하는 일에는 반대하고 있었다. 하지만 좀더 엄격한 윤리를 주장하였던 강경파들은 이를 용납할 수 없다 하여 결국에는 맥킨타이어(Carl McIntire)를 중심으로 성서장로교회(Bible Presbyterian Church)와 페이스 신학교(Faith Theological Semenary)를 세우며, 또 다시 교단 분열을 감행하였다. 그러나 20 년이 채 못되어 이 페이스 신학교는 행정 문제로 분리되어, 결국 버스웰(J. O. Buswell)을 중심으로 세인트루이스에 카비넌트 신학교(Covenant Theological Semenary)와 복음장로교회가 생겨났다.
이같은 분리 현상은 근본주의자들이 있는 어느 곳에서나 일어났다. 그리하여 분리로 인해 “분산된 힘”의 결속을 위해 조직적인 연합체의 구성이 필요하게 되었고, 1941년에 미국 기독교교회협의회(American Council of Christian Churches)가, 1948년에는 암스테르담에서 국제 기독교교회 협의회(ICCC: International Council of Christian Churches)가 각각 맥킨타이어의 주도 아래 조직되었다. 이들은 완전 분리주의를 주장하여 WCC 계에 참여하는 목사들과 연관된 그 어떠한 회의나 프로그램에 동참하는 것도 거부하고, 더 나아가 같은 근본주의자들이라도 WCC나 그 밖의 자유주의자들과 연합 사업을 벌이는 빌리 그래함이나 풀러 신학교 및 Christianity Today 誌까지도 정죄하고 나섰다. 이들을 “신근본주의”(Neo-Fundamentalism)라 부른다.
그러나 이같은 완전 분리주의자들과는 다른 노선의 근본주의도 생겨났다. 이들의 노선은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新복음주의자(Neo-evangelicalism)”로 알려졌다. 이들은 세속 세계의 정치 참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사회 개혁을 시도하는 세력들이다. 이들은 분리만이 최선이 아니며, 세속 사회에 기독교적인 원리들을 적극적으로 반영시키기 위하여 조직과 매스-미디어를 동원하는 선교 전략을 실천하고 있다. 이 노선은 1947년 옥켄가(Harold J. Ockenga), 카넬(Edward J. Carnell), 헨리(Carl F. Henry), 해리슨(E. Harrison), 램(Bernard Ramm), 풀러(Charles E. Fuller) 등이 주축이 되어 캘포니아의 파사디나 시에 설립한 풀러신학교(the Fuller Theological Semenary)가 중심이다. 이들은 “정통주의의 새로운 시작” 또는 “근본주의의 부활”을 표방하고 나섰지만, 자신들의 선조인 근본주의를 아무런 주저 없이 비판하기도 했다. 이들은 근본주의 운동의 특징처럼되었던 “분리” 정책이 결국은 세계를 변화시키는 신앙이 아니라 세계로부터 도피하는 신앙이 되어버렸음을 통탄하면서, 뚜렷한 기독교적 문화관과 선교 의식을 부각시켜 정통주의의 신학적 퇴각을 만회하고자 했다. 이같이 다소 유연한 근본주의자들은 ICCC를 대항하여, 1942년 세인트루이스에서 미국복음주의연합회(NAE : 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을 결성하였으며, 1948년에는 스위스의 클라렌스에서 국제 대회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이 조직은 어느 교파에 속해 있건 상관 없이 개인 자격으로 회원이 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하였으며, WCC뿐만 아니라 자유주의자들과도 손을 잡고 연합 사업을 펼쳐나갔다. 이들은 오늘날도 특히 TV 방송 등을 이용하여 복음 전도 및 자신들의 세력 확장을 꾀하고 있다.
한국의 상황 : 자유주의자들과 근본주의자들 사이의 싸움은 한국 교회(주로 장로교회)에서도 있었다. 곧 박형룡(1897 - 1978) 목사를 중심한 평양신학교(후에 장로교신학교로 변경) 측과 김재준(1901 - 1987) 목사를 중심으로 한 조선신학교 사이의 분리와,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과 대한기독교장로회(‘기장’) 교단 사이의 분열이 바로 그것이다. 이 두 진영 사이의 싸움 배후에는 복잡한 교권 싸움이 도사리고 있었으나, 가장 결정적인 요인은 신학적 견해 차이였다. 당시의 선교사들 가운데 한 사람이었던 모페트(Samuel A. Moffett, 1864 - 1939) 박사의 지적대로, 한국에 와 있던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보수주의자들이었고, 이들은 한국 교회에 보수 사상, 곧 근본주의 운동을 전파하였다. 따라서 선교사들이 주도권을 쥐고 있던 시절에는 그들과는 다른 견해를 지닌 사람들, 곧 자유주의자들은 한국 교회에서는 대체로 용납되지 않았다.
한편, 일본이나 구미에서 신학을 연구한 한국인 목사들이 귀국하면서 세계 신학의 다른 흐름들이 교회에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이로써 한국 교회 안에도 진보적인 자유주의 신학 사조가 퍼지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을 주도한 중심적인 인물이 바로 김재준 목사이다. 그는 한국신학 교육의 폐쇄성을 공박하며, 단일하고도 고루한 전통 신학과 고정된 사문(死文)의 교리 항목을 신학교들이 주입식으로 가르치는 데 그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성서 축자영감설을 반박함과 동시에 한국 교회의 주체 의식을 방해하고 있는 선교사들까지 공격하였다. 김재준 목사 외에도 채필근, 김영주, 김춘배 등도 각각 변증법적 신학을 소개하며, 창세기의 모세 저작설을 부인하며, 여권(女權)에 대한 자유주의적 해석 등을 시도하였다. 이로써 이들은 각기 세계의 자유주의적 사상의 커다란 흐름에 동참하고 있었다. 반대로, 한국 장로교회의 보수 진영측 우두머리 격으로는 박형룡 목사를 들 수 있다. 그는 프린스톤 신학교의 보수 진영의 거두 메이첸(G. Machen) 박사에게 지접 사사받은 전형적인 근본주의자였다. 그는 한국 교회의 신학적 사명을 우리 나름의 신학 ‘창작’이 아니라 사도적 전통인 정신앙(正信仰)을 그대로 ‘보수’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성서무오설과 축자영감설을 강력히 주장하는 반면, 소위 성서의 고등비평을 단호히 단죄하고 나섰다. 이 두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양측은 계속 갈등과 마찰을 일으키다가 1952년 4월 대구 서문 교회에서의 제37회 총회를 기점으로 하여 대립이 첨예화되고, 1953년의 제38회 총회가 김재준 목사를 “제36회 총회의 결의를 무시하고 성서 유오설을 계속 주장하였다”는 죄목으로 목사직 파면을 결의하자, 김재준 목사 측은 1953년 6월 10일 법통 제38회 총회를 열고 교단 분열을 감행, 1954년 6월 10일 제39회 총회에서 총회 명칭을 대한기독교장로회로 바꾸고 새로운 교단의 출발을 선언하게 되었다. 이것이 바로 한국 장로교회의 ‘예장’과 ‘기장’ 사이의 신학적 분열 사건이다.
핵심 사상: 우선적으로 근본주의는 자유주의 신학 사상과 진화론에 대항하여 성서의 무오성과 기독교의 근본적인 진리를 수호하려는 운동이라고 이미 지적하였다. 이제는 이들이 지키려 하는 근본적인 교리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1895년의 나이아가라 사경회가 채택한 기독교의 근본 교리 “다섯 가지”(The Five Points)는 다음과 같다:
1. 성서의 축자 영감설(The verbal inspiration of the Bible)
2. 그리스도의 동정녀 탄생(The virgin birth of Christ)
3.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The subsistutionary atonement of Christ for
the sins of the world)
4. 그리스도의 육체적 부활(Christ's bodily resurrection)
5. 그리스도의 재림(Christ's second coming)
위의 다섯 가지 교리의 초점은 두 가지, “예수 그리스도와 성서”이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성서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 문제가 바로 논쟁의 초점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근본주의자들은 “오직 성서로만”(sola scriptura)을 외친 종교개혁 전통 안에 서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일치점에도 불구하고 이들 근본주의자들은 루터와는 입장이 다르다. 루터에게 있어서 성서가 예수 그리스도 곧 “복음”을 표현하는 한에 있어서만 그 권위를 인정받는다. 즉 성서는 “그리스도가 누워 계신 요람”(cradle of Christ)일 뿐이다. 이같은 논리, 곧 “율법”과 “복음”의 구별이라는 논리는 자유주의자들에게도 그대로 계승된다. 그들이 성서에 대해 고등(역사적) 비평을 감행하는 것은 그들이 그리스도가 누워 계신 “요람”에서부터 “그리스도”를 구별하고자 했을 뿐, 결코 요람 안의 그리스도까지 거부하려 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루터는 성서 자체 내에도 그리스도를 표현하는 일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차이점이 있음을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근본주의자들은 루터와는 달리 단지 성서 전체의 저자는 하느님이심을 주장하면서, 계시의 “객관성”과 “불변성”을 고집하였다.
근본주의자들의 이러한 특징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마도 자유주의 신학의 내용과 자유주의 신학 사조를 가능케 한 근대의 “과학 혁명”을 함께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자유주의 신학이라는 새로운 신학적 방법을 탄생시킨 주요 요인의 하나는 코페르니쿠스(1473-1543), 케플러(1571-1630), 갈릴레오(1564-1642), 그리고 뉴우톤(1643-1727)의 이름과 더불어 시작된 근대의 “과학 혁명”이다. 근대 자연과학의 업적은 우주에 대한 우리들의 전통적인 생각들을 완전히 뒤바꾸어 놓았을 뿐 아니라, 사유 방식 자체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이름하여 “계몽주의” 사조이다. 이와 더불어, 지식과 사물의 본성에 대한 근본적 재고가 일어났다. 그 어떠한 진리도 선험적으로 당연시될 수 없으며, 보편타당한 지식이란 권위, 계시가 아니라 엄격한 관찰과 탐구, 또는 합리적인 분석을 통해서만 도출될 수 있다고 믿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시대 조류에 발 맞추어 자유주의 신학은 기독교 신앙과 그 문헌(성서)을 자연과학(그리고 역사과학)의 눈으로 바라보기 시작하였다. 이 신학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의 4 가지이다: 1) 신학 외의 다른 영역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귀납적 연구 방법”을 적극적으로 채택하며(고등비평), 2) 성서가 아니라 인간 경험에 최고의 권위를 부여하였고, 3) 전통적인 신학과는 달리 하느님과 인간, 계시와 이성 사이의 연속성을 강조하였으며, 4) 인간의 전적 타락보다는 도덕적 가능성을 인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사회를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사회복음운동). 이같은 기준으로 성서를 바라본다면, 성서에 나타난 이야기는 대부분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이야기(기적, 신화)에 속하게 된다.
이같은 자유주의자들의 주장은 근본주의자들의 시각에서 본다면, 예수그리스도의 유일성을 포기하고 기독교의 진리의 불변성을 거부하는 반(反)신앙적인 행동이다. 예수가 인간이라면, 그가 어떻게 우리를 구원할 수 있다는 말인가? 단순히 도덕적인 교사에 불과한 그가 보여준 삶의 방식을 따른다고 해서 우리의 구원이 확증되는가? 자유주의자들에 대해서 이같은 질문을 던지는 근본주의자들이 보일 수 있는 반응은 지극히 명료하다. 그것은 곧 자유주의자들이 성서의 권위와 기독교 진리를 부정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그들이 부정한 성서의 권위를 다시 받아들이고(성서의 축자 영감설, 무오설), 그 성서 속에 나오는 전통 교리(예수 그리스도의 동정녀 탄생, 대속적 죽음, 육체적 부활, 재림), 곧 “초자연적 진리”를 그대로 믿는 것이야말로 기독교 신앙을 보존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이들은 믿었다. 바로 이것이 근본주의자들이 지닌 신념이었다.
http://www.jesusacademy.com/bbs/zboard.php?id=gaeshimool&no=65
2007.07.12날 퍼오다!!~~
첫댓글 요즘 젊은 세대들은 미국을 북한 보다 더 나쁜 국가라고 인식하는것 같아,..조금은 마음이 아프네요!!.. 사대주의에 물든 기성세대라구 보시겠지만,..그 시대가 지녔던 아픔과 고통도 볼줄 알아야 된다구 봅니다!!...우리 개신교(기독교)의 뿌리가 어디서 부터 형성되었는가를 아는것도 좋은 공부가 되리라 생각하며,...올렸습니다!!
간단하죠 근본주의건 복음주의건 보수주의건 간에 걍 성경과 전통을 그대로 믿는거죠 그러나 거기에 의문을 가지고 이성적으로 접근하면 자유주의가 되는것이지요.. 자유주의는 철학적 사고 위에 세워진것으로 하나님이 주신 이성을 사용해서 성경과 신학을 이해할려고 하는것 아닌가요.. 그러므로 자유주의가 더 합리적이고 이성적이죠... 그러므로 하나님이 주신 이성을 사용하지 않는것이 하나님의 뜻인지 아님 하나님이 주신 이성 로고스를 사용해서 하나님을 찾아 가는것이 하나님의 뜻인지 생각하는것도 나쁘진 않다고 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