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새로운 발견이나 발명 속에 사는 과학자는 어떨까.
자신의 이름을 따는 평범한 유형부터 사상과 철학까지 오롯이 녹여내는 신중파까지
재미있는 과학계의 작명법을 만나보자.
<신약 장수 비법은 이름?>---------------------------------------------
갑자기 몸이 으슬으슬 떨려오고 콧속이 눅눅해지며 뜨거운 불덩이가 뇌와 안구 주위에서
이글거리는 기분이 든다. 감기몸살인가. 병원 가기도 귀찮을 땐 처방전 없이도 사먹을 수
있는 아스피린이 있다.
기원전 4세기경 히포크라테스는 버드나무 껍질에 해열 성분이 들어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버드나무의 효능은 수천년 뒤 실험실에서 검증됐고 아세틸살리실산,
즉 아스피린이란 이름은 ‘아세트산’(acetic acid)과 조팝나무의 학명인 ‘스피라에아’(Spiraea)의 합성어.
매년 600억개 이상 팔리는 아스피린이 아세틸살리실산이라는 어려운 이름이었다면 아마
외면을 받았으리라.
이처럼 제약회사들은 세상에 내놓은 소중한 약들이 장수할 수 있도록 작명에 신경 쓴다.
아스피린이 적당히 학구적이면서 부르기 좋은 이름이라면
종근당에서 1984년 내놓은 펜잘은 ‘고통’(pain)을 ‘잘’ 이겨낸다는 뜻으로
영어와 한글의 합성어다.
동아제약의 써큐란은 ‘순환하다’(circulate)에서 따왔는데,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본래의 용도에 충실한 이름이다. 노골적으로 약의 효능을 강조하기도 한다.
발기부전 치료제인 자이데나는 라틴어로 ‘결혼의 해결사’를 뜻하는 합성어다.
한글로는 ‘잘 되나’ 또는 ‘자, 이제 되나’를 의미한다.
<여풍 거센 태풍 세계, 알고 보니>>>------------------------------
2001년부터 태풍의 이름은 아시아 태풍위원회에서 정해왔다.
캄보디아, 중국, 북한, 홍콩, 일본, 라오스, 마카오, 말레이시아, 미크로네시아, 필리핀,
한국, 태국, 미국, 베트남 이렇게 14개국이 10개씩 제출한 140개의 이름을
5개 조로 나눠 차례로 붙인다. 사이좋게 공동작명을 하는 셈이다.
그전까지는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에서 지은 미국식 이름을 사용했다.
2차 세계대전 뒤 호주의 예보관들은 주로 태풍에 여자 이름을 붙였다.
대부분 남자였던 예보관들이 아내나 애인 생각을 하며 전후(戰後)의 뒤숭숭한 마음을 달랜
까닭일까. 여성단체의 반발로 1979년부터는 남자 이름과 여자 이름을 골고루 붙였다.
태풍의 이름에서 그 나라의 문화와 성향을 엿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인터넷 공모로 개미, 나리, 너구리 등의 이름을 제출했다.
재미있는 이름도 눈에 띈다. 마카오가 낸 파마라는 이름은 ‘닭의 간과 버섯이 들어간 햄’
이란 뜻이고 필리핀의 하구핏은 ‘채찍질’을 의미한다.
일본이 제출한 이름도 독특하다. 저울, 염소, 토끼, 왕관, 컵, 고래에는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바로 일본에서 보이는 별자리 이름이다.
그런데 140개의 태풍 이름 가운데 여전히 여자 이름이 많다.
남자 이름은 미국이 제출한 로키, 비센티, 프란시스코 이렇게 3개뿐인데
여자 이름은 마리아, 팅팅, 산산, 디앤무, 위파까지 국적도 다양하고 대상도 소녀에서
여신까지 다채롭다.
박윤호 예보관은 “태풍이 큰 피해 없이 온화하게 지나가길 바라는 마음에 여자 이름을 많이 쓰는 것 같다”며 “개미, 나비, 제비 같은 작은 곤충이나 동물 이름을 붙이는 것도 같은 이유”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말썽꾸러기 태풍은 가차 없이 제명된다.
2003년 우리나라에 어마어마한 피해를 준 태풍 매미는 더 이상 없다.
2004년 태풍위원회 총회에서 수달, 봉선화와 함께 제명됐기 때문이다.
2006년에는 나비와 맛사, 룽왕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일본에 끔찍한 재앙을 안겨줬던 태풍 나비는 잠자리라는 새 이름으로 바뀌었다.
2005년에는 유난히 북대서양에 허리케인이 잦았다. 영어로 지은 이름이 21번째에서 동나자 그 뒤부터는 임기응변으로 그리스어 알파벳을 사용했다.
결국 알파부터 입실론까지 무려 5개의 열대성저기압이 더 생긴 뒤에야 잠잠해졌다.
<<생물학자 씨 농담도 잘하시네>>-------------------------------------------
“나는 아직 죽지 않았다. 다만 사라져갈 뿐….” 맥아더 장군의 말이 아니라 유전자 이름이다.
미국 코네티컷대 블랑카 로지나 박사팀은 세포막에서 물질수송을 담당하는
인디유전자(Indy)를 발견했다.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초파리의 수명이 연장되는 모습을 보고 ‘나는 아직 죽지
않았다’(I'm not dead yet)의 머리글자를 연결해 재치 있는 이름을 만들었다
2005년 1월 미국 슬론캐더링 암센터의 타케다 마에다 박사팀은 암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총괄하는 유전자를 발견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름은 ‘포케몬’(POK Erythroid Myeloid ONtogenic factor). 그러나 유명 만화 캐릭터인 ‘포켓몬’을 연상시켰기에
일본 닌텐도사에게 소송을 당했고 결국 Zbtb7로 개명해야 했다.
좀 더 기발한 이름도 있다. 독일 필립스대 레나테 폴 박사팀은 정자를 만드는데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를 ‘돈 후안’(don juan)이라 이름붙였다.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불임이 될 수도 있어 바람둥이가 되긴 힘들다.
건국대 생명과학과 조경상 교수는 유전자의 이름을 놓고 공모전을 한 경험도 있다.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초파리의 몸에 반점을 만드는 유전자였는데 결국 ‘
점박이’(jumbagi)란 아이디어를 낸 학생이 5만원짜리 상품권을 탔다.
충남대 생물학과 김철희 교수는 제브라피쉬에서 재미있는 유전자들을 찾고 있다. 두뇌를 만드는데 이상을 일으키는 ‘헤드리스’(headless) 유전자나 신경세포의 자살을 유도하는 ‘심봉사’(simbongsa)는 모두 그가 지은 이름이다.
첫댓글 아하..과학계에서도 작명으로 고심하나 보군요...역할분담이 잘 안 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네요...과학은 과학계가..작명은 역술계가...참고로 저도 한 작명하거덜랑요...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