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스를 역(逆)자는 의부(義符)로 쉬엄쉬엄 갈 착(辵,辶)자에 성부(聲符)로 거스를 역(屰)자를 했습니다. 거스를 역(逆)자는 거꾸로 물구나무를 선 모양입니다. 또는 거스를 역(屰)자는 창 극(屰)자로도 읽습니다. 글자의 모양이 창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거스를 역(屰)자로 읽는 것은 화살이 다시 나에게 날아오는 모양과도 같기에 생긴 뜻입니다. 거역(拒逆) 역적(逆賊) 역행(逆行) 역동(逆動) 역증(逆症) 역증(逆證) 반역(叛逆)
바를 연(兗)자는 옷을 단정하게 입고 있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여섯 륙(六)자는 옷 의(衣)자의 일부분으로 옷을 뜻하고 아래 진실로 윤(允)자 대신에 맏 형(兄)자를 해서 옷을 잘 입은 상태를 뜻했습니다. 권수연(權秀兗) 송연상(宋兗相) 신서연(申藇兗) 남연(南兗) 연주(兗州) 연국(兗國) 연관(兗官)
성낼 연(悁)자는 의부(義符)로 마음 심(心,㣺,忄)자에 성부(聲符)로 장구벌레 연(肙)자를 했습니다. 장구벌레 연(肙)자는 장구벌레를 그려서 표시한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연읍(悁悒) 연우(悁憂) 무리여신각노연(霧裏女神覺怒悁) 중심연연(中心悁悁) 개연(慨悁)
도울 연(掾)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판단할 단(彖)자를 했습니다. 가장자리 연(緣), 서까래 연(椽), 누리새끼 연(蝝)자들은 판단할 단(彖)자가 들어 있어서 ‘연’으로 읽습니다. 판단할 단(彖)자는 고슴도치 머리 계(彑)자 아래에 돼지 시(豕)자를 했습니다. 연사(掾司) 연리(掾吏) 연속(掾屬) 연청(掾廳) 연방(掾房) 연조귀감(掾曹龜鑑) 이연(吏掾)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