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래는 이상하게 부임해서부터 포어리베로, 포어체킹 등의 사전차단 전술에 집착하는데
사실상 3백에 대한 집착(?) 을 버리지 못한 듯 싶습니다.
물론 현대 축구에서 압박은 중요하지만, 조광래식 포어체킹은 최전방부터의 압박과 동시에
후방 수비진에서 숫적인 우위를 포기하고 하는 포어체킹입니다.
과거 조광래 감독의 전술에서도 보였고 오늘 인터뷰에서도 말했다시피, 조광래는 풀백라인 또는 미드필더중 한명을 센터백으로 기용하고 이 선수에게 포어체킹을 주문합니다.
오늘같은 경우는 센터백이던 김영권을 풀백으로 기용하고 그 김영권에게 포어체킹을 주문하는 전술을 택했다고 인터뷰에서도 말했죠.
이는 사실상 실패했다고 여겨지고 (그래서 엄청나게 비판받은) 조광래식 3백에 미련을 버리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이는데요,
이 조광래식 4백에서는 1명을 센터백 자원으로 두고, 나머지 한명을 윙백처럼 운영하면서 미드필더중 한명(오늘같은 경우는 이용래)를 반대쪽 윙백처럼 넓은 범위를 커버하게 하면서 사실상의 3백처럼 운영됩니다.
센터백 자원을 미드필더에 넣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4백에서 센터백으로 분류된 2명과 미드필더에 투입된 센터백 자원이 3백을 이루고 풀백이 윙백처럼 넓은 범위를 커버하는 형태로 운영되죠.
조 광래 감독이 이런 전술을 펼치는 이유가 3백이 틀리지 않았다는것을 증명하고는 싶은데, 하도 언론에서 때려대니까 보여지는 포메이션은 4백처럼 보이게 하고 전술운용은 3백처럼 하려는 이유 같습니다만.. 뭐 정확한건 조광래 감독만 알겠죠?
하 여간 이 변형 3백을 운영하다 보니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수비진영에서의 숫적 열세입니다. 원래대로면 4백에서 수비에 더 가담해야할 2명의 풀백자원이 좀더 공격적으로 움직이고, 과거 3백에서 스위퍼를 썼던것과 다르게 2명의 센터백과 한명의 포어체커를 두기 때문에 상대가 미드필더에서 우리의 압박을 이겨낼만한 패스능력이나 드리블 능력을 갖췄다면(그리고 과거 조용형이 포어리베로로 나섰다가 발린것처럼 포어체커의 능력이 부족하다면) 너무나도 쉽게 상대의 공격자원과 우리의 포백자원이 1:1로 대결하는 상황이 연출됩니다.
오늘은 김영권 선수의 예상치 못한 부상으로 인해 더욱 심각한 상황이 연출됬었죠. 사실상 3백으로 운영하려던 포메이션이 김영권의 부상으로 4백으로 운영되었는데 대신해서 투입된 박원재 선수는 전형적인 풀백... 하지만 감독의 전술변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결국 4백의 이점을 살리지 못하고 미드필더와 공격진, 그리고 차두리 선수는 3백에서의 전술운용처럼 수비라인은 4백처럼 운영되다가 결국 대량실점을 하고 만거죠.
후반전의 분전은 사실상 일본이 역습전술로 바꾸고, 따라서 미드필더와 공격수의 숫자가 많았던 한국이 좀더 유리해졌을 뿐인거였고..
결론을 내보자면, 조광래는 아직도 4백을 쓸 생각이 없습니다.
애초에 k리그에도 4백쓰는 팀이 대다수인데 풀백 자원이 없어서 안뽑는다는건 말도 안되는 소리고
'조광래식'의 '4백처럼 보이는 3백' 에 알맞는 선수가 없기 때문에 홍정호 풀백, 김영권 풀백처럼 기형적인 선수 선발이 이루어지는겁니다.
조광래가 끝까지 이런 마인드를 버리지 못하고 말도 안되는 만화축구에 집착하는 이상, 한국축구의 미래는 없습니다.
세매펌임
|
첫댓글 좀 퍼오지 말았으면 합니다. 현재 대표팀 4백 아닌가요?
저글에 따르면 무늬만 4백일 뿐이라고 하네요.
무늬만 4백이라도 감독의 철학이 있는겁니다. 아시안컵에서 이영표를 활용안했겠죠
이영표-곽태휘(황재원)-이정수-차두리라인의 아시안컵에서 무늬만 4백으로 하지 않았을겁니다.
이제 아셨는지는 모르겠지만 지금의 수비라인은 4백과 3백을 유연하게 변하는 변칙수비라인 입니다. 조감독이 이란과 일본과의 평가전에서 포어리베로가 실패한후 아시안컵때부터 슬슬나오기 시작했죠 중간에 시리아 우즈벡 터키와의 경기에서 조용형 홍정호를 오른쪽풀백에 실험했었죠(개인적으로 조감독스타일의 오른쪽 풀백은 오재석을 추천하고 싶은데...) 이명표는 수비력도 좋기때문에 변칙 3백이 가능한겁니다.
지나친 전방압박이 문제임 전방압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바로 4백라인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있죠...과부하가 걸리더라도 센터백의 개인능력이 좋으면 막을수 있는데 그것도 아니구요...전 수비라인을 약간 내리고 미들과 협력수비를 하는게(후방압박) 우리 실정에 맞는 수비 시스템이라고 봅니다...
두번째글... 이런 형편없는글을 퍼오시다니...;;ㅋ 잠깐 계속글을 수정중 입니까?
진짜 많은분들이 글로만 보셔서 조광래가 차두리올리고 왼쪽풀백 센터백출신선수 기용해서 공세시에 3백 만든다~ 말로만 이렇구요 경기보면 안그래요... 센터백들 다들 그자리 있구요 왼쪽풀백도 공격하러 올라가구요... 김영권이 골까지 넣은거 아시죠? 저도 오른쪽 올라가면 센터백 세명이서 3백하고 왼쪽사이드는 이용래가 이동해서 !@#$ 무한스위칭@#$% 패스플레이 @#$% 기대했으나 실제로는 전혀..
대신 기성용이 내려오죠. 기성용 자세히 보면 패스뿌리고 바로 수비라인 바로 위까지 내려가요.
내려오던 안 내려오던 사이드며 중앙이며 탈탈 털렸죠. 조광래가 추구하는 수비전술이 뭐던지 이기는 경기든 지는 경기든 가나같이 빠른팀의 역습이나 1대1돌파, 패스플레이 좋은 일본같은 팀에 패스플레이에 꾸준하게 뚫리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두개를 다 잘하는 남미팀이나 스페인을 만나면 어떻게 될까요? 유럽에 그리스, 세르비아같이 장신의 정적인 팀들은 우리가 효과적으로 막았다고 박수치며 수비가 강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오로지 정적인 팀들에게만 효과적인 수비를 해 왔죠. 아시아예선에서는 이렇게 정적인 팀이 거의 없고 동적인 팀들이 즐비합니다. 빠르고 개인기 좋은 팀들 만났을대 과연...
김영권이 올라갈때는 기성용이 내려와서 빈공간을 채웁니다. 센터백중 하나가 올라가면 수미가 나려와서 그자리를 커버하는건 기본적인 전술 운용이죠.
빠르고 개인기좋은 가나전 때 보여줬잖아요. 어느 정도는 통한다는거. 다만 틈이 보인 부분은 다듬어나가야죠.
와 진짜 우리나라에 축구전문가 엄청많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전문가 인척하는 분들이너무 많죠. 그게 문제.
오히려이런글이더식상하네요 축구많이본사람들 혹은 해본사람들입장에서는 그런게 보이는경우가많죠 물론전문가수준은아니더라도 왜지는지 왜경기가안풀리는지 왜수비가불안하고 뚤리는지 뭐그정도는 축구좋아하고 보는사람입장이면 알거같은데 그런거 모르면서 축구보는게 더이상한듯요
이런 글이 쓰레이기인건 감독이 자기보다 무식하다는 무례한 생각을 전제로 깔았기 때문이죠.
섭섭해// 위 글에서 몇몇분은 감독이 자기보다 무식하다는 전제를 깔지 않은 사람도 있습니다.
여기도 후추아시는분이 있군요..
멀 이렇게 퍼왔어...
조광래축구의 최대단점은 패스미스시 전형임...공만 중간에서 빼앗기지않으면
쓰리백이검 포백이건 어느정도 커버플레이가 가능함...인터셉트당했을시
수비전형이 너무허술함...고질적인 한국축구단점임
그냥 조광래 감독 싫다고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