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우삶이 회원님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으나 참고 해주세요...













오늘 내용은 이렇게 나왔습니다.
대충 정리 하겠습니다.
토론 기본 총평 영남대학교 김갑수교수
1. 노선 입찰제
2. 운송 수입금 관련 : 과연 환승수입금 500억을 들여가며 무료 환승을 해야 하나?
부산처럼 차라리 단돈 200원이라도 받자
3. 대중교통요금 인상문제
4. 오지노선의 적자운행 : 오지노선의 개선방안
5. 운송수입금의 투명성 문제
6. 시와 버스조합의 신뢰 관련(시와 조합이 서로 신뢰 회복하자)
7. 업체 통합 전제조건 : (관음동 공영차고지)업체의 대형화
대구 버스 노조 이정호 지부장
1. 대구시에서의 무차별적 과태료 부과
2. 운행시간 관련에서의 과태료 부과
3. 충전소 부족으로 인한 조합원들의 휴식 시간 부족
4. 대중교통의 구조조정
5. 무료환승제의 재정지원금 부담
6. 대구시청의 재정지원금 부담 홍보 미비 및 이에 따은 분담금을 중앙정부에 요구
7. 자본비율 증가후 근로자 승계 통합
8. 자본 비율 확대 없이 대형화는 현재보다 더 않좋은 결과를 초래.
대형화의 우선과제.....
대구 시내버스 운송조합 이상헌 이사장
1. 완전 경영체제의 시장 메커니즘 그러나
시내버스는 불완전 경영체제의 시장 메커니즘
2. 준공영제의; 조항의 독소 조항이 기본권 경영권을 침해
규제 통제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는 시장경영 체제의 매커니즘은 불가 하다
3. 대형화 문제
1)버스업체의 대형화는 제조업이 아니기에
버스에서의 원가 항목에서의 인건비 연료비가 줄지는 않기에
전혀 동의 불가
버스운행에는 2인이상이 필요하다
규모를 늘릴떄 인건비를 줄여야 하는데
이건 힘들다...
규모를 늘려도 비용절감은 힘들다 버스는 제조업이 아니기에...
버스의 고정비는 줄이기 힘들다....
2) 대형화는 다른 방식으로 바꾸어야 한다
4. 재정 지원금 의식을 바꿔달라
1) 대구시 인구 251만명중 그중 버스의 수송분담율은 31% 인원은 82만5천명
그래서 요금 950X82만 5천은 약 2850억원
조합에서 생각하고 있는 운영비용은 2700억(정상기준)
그러나 현재 들어오는거는 2천억원뿐
환승비용은 국가나 지방자치 단체에서 보조 학생요금등도 보조
재정 지원금 700억원은 비정상요금(교통약자 지칭)에서 만들어 지는것
최종 수혜자는 교통 약자인데 언론에서는 버스 회사가 혈세 먹는 하마다
이렇게 매도 하지 말고 교통약자에 대해 언론에 홍보를 해달라
5. 재정 절감방안
매년 시에서 원가 요구는 상위50%이걸 4년동안 시달려 왔다
6. 수입금 인상 방법
1) 노선개편 즉! 수익성 위주로 개편하자
지금 손익 분기점을 넘는 노선은 6개뿐이다
노선은 수익성 위주가 아니다
어쨋든 정상요금 즉! 요금인상이 즉각 필요
대구광역시 대중교통과 우대윤과장
규모의 경쟁력은 82~93대
준공영제의 동기
버스이용인구가 감소가 되니 차량감차(즉 돈안되는 노선에서는 차를 뺐다)
그로 인한 임금 체불 그리하여 당시 8일간 파업 그래서 노사정등 4자간 합의로 준공영제 실시
준공영제의 모범은 수입금 공동위원회
그래서 나온 수입금 공동 관리 지침 표준 운송원가 지침
1711때 56만명 이용 현재 1561대일때 지하철 포함120만
4년전만해도 차들이 10만 되어도 끝내고 회차
그러나 지금은 BMS로 감시를 하기에 근로자는 힘들지만 승객은 편리해 졌다
29개 회사중 자본 잠식 회사는 현재 16개사
06년이전 퇴직금 정산된 회사는 6개사 과거 청산 못했던거를 지금은 확정 기여형으로
믿을수 있는 금융기관에맡긴다.
29개중 퇴직금 정산등 비정산 업체는 도려중
그래서 근로자 호소 촉구
결론적으로 규모의 경쟁력은 없다
대구광역시 시의회 경제 교통 분과 위원회 장경훈 의원
현재 시정책은 보행자 대중교통 중심으로 간다해놓고는
동대구로 같은 승용차 중심으로 가려 한다
이거 고려 해봐야 하지 않겠나?
버스 조합측에서도 절감방안 고려 해봐야 하지 않겠나?
그리고 대화의 창이 열려야 하고 자기주장만 말고
조합의 내용에도 공감가는 부분도 있고 아닌부분도 있다
시민의 세금을 절약할 방법을 찾아 보자
탁 터놓고 노.사.정의 대화가 있어야 하지 않겠나?
저는 요기까지 정리 해놨었거든요
더이상 기억도 안나고 ㅋㅋㅋ
이 자료로 말미암아 참고 하세요
언제나 우리 기사님들 안전운행 하시고
항상 즐겁게 운행 합시다 ^&^
첫댓글 수고 하셨습니다..역시 명쾌한 답은 없나보군요
이번에 명쾌한 해답은 없었는거 같네요..저도 끝까지 참석을 햇지만.. 서로 시기하고 이런게 남아잇으니.. 자기 한테 힘든 대답이 나오면 집에 가버리는 사람들이 잇어서.. 국장은 새로 오셨으면 끝까지 참석해야하지만 토론이 시작되자 가버리더군요..
오전 근무 였다면 꼭 들려보고 싶었는데 아쉽게 오후 근무라 가지 못했는데, 다행스럽게 이리샤님이 올려 셔서 감사 합니다. 수고 하셨습니다. 게시판 지기님.
궁금했었는데 잘봤읍니다 조금더 툭까놓고 토론하다보면 좋은결론 나올만도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