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는 법 앞의 평등을 강조하면서, 정치적 적수(오바마, 민주당)를 겨냥하고 있습니다.
이는 자신에게 적용되는 기소·수사(특히 2024~2025년 연방 기소 사건들)에 대한 반격 프레임입니다.
→ “나만 조사하지 말고, 과거 민주당 권력자들도 법 앞에 서야 한다”는 의미.
2. 트럼프의 의도
오바마 = 딥스테이트 상징 → 이를 체포하는 상징적 장면으로 “딥스테이트 숙청”을 암시.
반(反)딥스테이트 혁명 서사를 강화.
3. 결론
이 영상은 단순 밈이 아니라, 트럼프의 딥스테이트 전쟁 메시지입니다.
오바마 체포 = 과거 글로벌 금융·예수회 기반 딥스테이트 질서 붕괴의 상징
“No One is Above the Law” = 민주당이 트럼프를 기소, 탄핵하면서 자주 사용하던 문구.
두번째 밈 : 오바마 행정부를 범죄조직에 비유
사만다 파워는 어떻게 그 많은 돈을 벌었을까???
“The Shady Bunch”: ‘The Brady Bunch’(미국의 가족 시트콤)을 패러디한 것으로, 오바마 행정부 핵심 인사들을 범죄 조직처럼 묘사.
트럼프는 Samantha Power( 전 미국 국제개발처(USAID) 청장,전 UN 대사)의 부 축적 의혹을 전면에 내세우며, 오바마 행정부 핵심 인물 전체를 부패·딥스테이트·불법행위와 연결시키려는 프레임을 강조.
이 밈을 같은 날 올린 이유:
오바마 체포 AI 영상과 함께 ‘오바마 세력 전체를 적폐 집단으로 규정’하는 서사 구축.
트럼프 지지층에게 “우리가 싸우는 적은 개인(바이든, 오바마)뿐 아니라 그들의 네트워크”라는 메시지를 명확히 각인.
2. 밈에 언급된 인물들 (Samantha Power 제외)
Susan Rice –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UN 대사
Valerie Jarrett – 오바마 대통령의 최측근 수석고문
James Clapper – 전 국가정보국(DNI) 국장
James Comey – 전 FBI 국장
John Brennan – 전 CIA 국장
Barack Hussein Obama – 전 미국 대통령
Ben Rhodes(밈에서 “Hamas Rhodes”) – 전 백악관 부보좌관(국가안보 커뮤니케이션)
3. 밈의 의도된 범죄 프레임
자금 축적 의혹: Samantha Power를 대표 사례로 언급 → “정부 관료직 이후 부를 어떻게 축적했나?”
정보기관 남용: Clapper, Comey, Brennan → 정치 공작·불법 감시 의혹.
정책 실패·해외 개입: Rhodes(‘Hamas’ 별칭), Obama → 중동 정책과 연계된 부정적 이미지.
내부 권력 카르텔: Rice, Jarrett → 오바마 행정부 내 핵심 ‘비선 권력’으로 묘사.
즉, 이 밈은 “오바마 행정부 전체를 범죄 카르텔화” 하고 Samantha Power를 부패 사례의 상징으로 삼아 딥스테이트 네트워크의 종말이 다가온다는 메시지를 강조합니다.
첫댓글 기존 내러티브: 딥스테이트 = 정보기관·국제금융·정책 엘리트 → “손댈 수 없는 절대 권력”
새로운 내러티브: “No One is Above the Law → 그들도 심판받는다”
트럼프가 이번에는 그문구를 오히려 오바마·딥스테이트 진영 공격에 사용
딥스테이트 종말을 시각화·정당화하는 심리전 핵심 문구가 되었습니다.
이는 정치적 내러티브 전환점으로 작동하며, 대중에게 “게임의 규칙이 바뀌었다”는 심리적 신호를 제공합니다.
밈1 https://truthsocial.com/@realDonaldTrump/114888219088263084
밈2 https://truthsocial.com/@realDonaldTrump/114888263063561606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정보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