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1907년 격심한 금융공황 후 그 대책으로서 1913년의 연방준비법(Federal Reserve Act, 1935년에 개정)에 의거해서 설립된 미국 특유의 중앙은행제도이다.
그 목적은 금융상태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① 기업활동과 고용의 확대 ② 달러가치의 유지 ③ 경제의 지속적 성장의 촉진을 도모하는 것에 두어져 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를 중심으로 전국 12개 준비구에 24개 연방준비은행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아래 다시 2,400개의 가맹은행이 있다.
국립은행은 반드시 가맹해야 하며 주립은행의 가맹은 임의적이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상원의 승인을 얻어 대통령이 임명하는 7인의 전임이사로 구성된다. 이사회는 통화정책을 수립하고 그 시행을 감독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갖는다. ① 연방준비은행이 가맹은행에 대한 대출에 적용하는 할인률의 검토 · 결정과 그 변경 요구, ② 일정범위 내에서의 가맹은행의 예금에 대한 법정지불준비율의 변경, ③ 증권금융에서의 증거금률의 결정, ④ 상업은행의 정기예금 및 저축예금에 대한 이자의 최고한도 결정, ⑤ 각 연방준비은행 이사의 3분의 1 임명 및 그 총지배인 · 제1부지배인의 임명 · 승인, 모든 이사 및 지배인의 해임 요구 등. 이사회는 또한 연방준비은행의 운영을 감독하며, 이사 개인은 이사회와 함께 연방준비제도의 최상부구조를 형성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의 구성원이기도 하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공개시장정책을 결정하는 데 연방준비은행에 대해서 지정한 공개시장조작의 실시를 명할 수 있다. 한편 연방준비은행은 그 지역의 중앙은행의 역할을 하며, 담당하는 주요업무는 다음과 같다. ① 가맹은행에 대한 적격어음의 재할인 및 대출 ② 가맹은행의 법정지급준비금의 수탁 ③ 공개시장에서의 증권 매매조작 ④ 연방준비권의 발행 ⑤ 가맹은행을 위한 어음교환 및 추심의 편의제공 ⑥ 가맹주립은행에 대한 업무감독 ⑦ 국고 대리업무 등. 연방준비제도는 연방준비월보(Federal Reserve Bulletin)와 금융 및 기업통계에 관한 연방준비도표(Federal Reserve Char
[네이버 지식백과] 연방준비제도 (聯邦準備制度, federal reserve system)
첫댓글 ◆.◆
◐.◑
☜^_^☞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