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년에 한 번인 대공황 도래로, 일본의 대외순자산은 전소실 위기 / 10/16(월) / JBpress
지금의 일본은 전후 최대의 경제위기의 입구에 있다.
앞으로 벌어질 미국 증시 대폭락으로 인한 세계 대공황에 따른 일본 경제 타격은 거품 붕괴나 리먼 쇼크에 비할 바가 아니다.
경제대국일 수 있느냐, 아니면 급격히 초몰락국가가 되느냐의 갈림길이다.
일본에 있어서 심각한 것은 '금융거대재해방지조치'가 전혀 취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위기의 본질은 국부의 상실이다.
■ 일본 대외순자산 419조엔 32년 연속 세계 1위
일본의 대외 순자산은 지난해 말 419조엔으로 32년 연속 세계 1위이며 경제대국 일본의 힘의 원천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세계로 인플레이션이 확산되는 가운데 식량과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일본인 대부분이 생명과 기아의 위험을 느끼지 않아도 되는 것도 전후 일본인들이 꾸준히 쌓아둔 대외 순자산이라는 국부 덕분이다.
그러나 방재조치 없이 미국 증시 대폭락으로 인한 세계 대공황에 돌입하면 국부의 상당수가 사라지게 된다.
후쿠시마 제 1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서는, 재해의 「상정」이 불충분하고 「대책」이 불충분했다.
그러나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사상 최대의 '금융경제재해'에 대해서는 애초에 '상정'이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대책'도 존재하지 않는다.
더구나 거대 위기가 발생했을 때의 '국가체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당히 걱정스럽다.
시급히 국가적 유사즉응체제를 취해야 한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실패의 본질'은 서기 869년 조간(貞観) 지진, 즉 '천년에 한 번' 규모의 지진과 쓰나미 상정을 하지 않은 것이었다.
많은 지진학자가 「슬슬 올 가능성이 높다」라고 한 천년에 한 번의 지진 재해와 쓰나미가 어떠한 원자력 발전 사고를 일으키는지에 대해서는, 2011년 3월의 동일본 대지진 이전에 이와나미 서점의 「과학」의 많은 기사가 동일본 오쓰나미와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 사고와 같은 위험성을 망라적으로 지적하고 있었다.
미국 증시 대폭락으로 시작되는 21세기형 대공황은 '백년에 한 번'의 거대 금융경제재해다. 지난 대공황 이후 100년 가까이 지났고, 「이제 올 가능성이 높다」.
1929년부터의 세계 대공황이 '팍스브리태니커' 즉 서구의 세계식민지지배라는 '세계시스템'의 붕괴가 그 근저에 있었듯이 '팍스아메리카나' 즉 미국의 세계일극지배를 전제한 현재의 '세계시스템'이 이미 한계를 맞고 붕괴과정에 들어섰음이 21세기형 대공황이 일어날 근저에 있다.
미국 주식 대폭락으로부터의 대공황은 실시간으로 쓰나미 이상의 속도로 일본에 전해진다.
미국 증시 대폭락의 리스크와 그 영향은 하가누마 센리(미쓰비시 UFJ 모건 스탠리 증권 수석 전략가)와 고노 류타로(BNP파리바 증권 경제조사본부장 수석 이코노미스트) 등 전문가가 각 분야에서 지적해 왔다.
그러한 예측을 연결할 때에, 전체적인 세계 대공황이 예견 가능해진다.
1929년 세계 대공황 이후 '백년에 한 번뿐'인, 게다가 순식간에 일어나 퍼지는 '거대금융경제재해'를 상정하고 '대책'을 세워 '국가체제'를 정비해야 한다.
미국 증시 대폭락으로 시작되는 세계 대공황이 일본을 강타할 때 피해의 중심이 되는 것이 가장 최근의 운용자산액이 219조엔으로 세계 최대의 연기금인 GPIF(연금관리운용 독립행정법인)이며 GPIF가 후생노동성으로부터, 후생노동성은 국민으로부터 맡아 운용하고 있는 공적연금(후생연금+국민연금)이다.
세계 최대 연기금인 GPIF의 운용 방침은 제도적으로 GPIF에 준하는 운용이 규정된 공무원연금과 마찬가지로 공적자금으로 꼽히는 300조엔 규모의 우정자금, 나아가 기업연금 보험 신탁 등 일본의 장기 국민자금을 자산운용하는 수탁기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GPIF는 세계 1위의 대외 순자산대국 일본의 국부와 국력의 중심이라고 해도 좋다.
그런 만큼 미국 주식 대폭락으로 인한 대공황이 발생할 경우 GPIF가 상정에 따른 대책을 마련해 경제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 신속하게 대처하는 국가체제를 갖추지 못하면 거대한 국부상실이 발생해 국력이 크게 저하된다.
그동안 GPIF에 의한 국민연금 자산 운용은 일본 역사상 전무후무한 규모의 재정과 경제사회 공헌을 해왔다.
2001년 출범한 GPIF가 그동안 '시장운용'으로 올려온 '운용수익' 누적은 가장 최근 디스크로저에 따르면 127조엔에 달한다.
1년간의 일본 세입 합계와 같으며 소비세 세입액의 5.5년분에 해당한다.
이 거대한 운용수익이 없었다면 일본의 연금도 재정도 훨씬 악화됐을 것이다.
특필할 것은 GPIF가 2008년부터의 리먼 쇼크도 극복하고 일본 경제를 살리는 운용 성과를 냈다는 점이다.
그러나 지금 GPIF와 GPIF에 자산운용을 위탁하고 있는 후생노동성, 나아가 후생노동성에 연금운용을 위탁하고 있는 일본 정부는 달라지지 않으면 안 된다.
「평시」의 운용 체제에서 「유사즉응체제」로 이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동안 GPIF가 거대한 운용 성과를 낸 요인의 90% 이상은 '기본 포트폴리오'에 있었다.
'5년에 한 번' GPIF의 '기본 포트폴리오'를 결정하는 곳은 후생노동성에 임명되는 경제, 금융, 자산운용, 경영관리 등 위원과 이사장으로 구성된 GPIF의 '경영위원회'다.
기업의 거버넌스 체제에 비유하면 주주인 후생노동성이 이사회에 상당하는 GPIF의 경영위원회에 5년에 한 번 기본 포트폴리오 설정을 위탁하고 있다. 반대로 말하면 GPIF의 경영위원회는 수탁자 책임을 지고 있다. 물론 GPIF 주주에 해당하는 후생노동성은 국민에 대해 연금자산운용의 수탁자 책임을 지고 있다.
이렇게 해서 「경영위원회」에 의해서 「5년에 한 번」정해지는 「기본 포트폴리오」의 방침에 따라서, 투자은행 출신의 CIO(Chief Investment Officer=최고투자책임자)를 비롯한 GPIF의 「집행부」가, 「인덱스 투자인가 액티브 투자인가」 「이 자산 클래스는 어느 운용 사업자에게 위탁하는가」라고 하는 자산운용 실무를 집행하고 있다.
즉, 자산운용의 기본적인 「정책」은 우선 후생노동성이 책정하고, 「기본 포트폴리오」등의 경영계획을 GPIF의 경영위원회가 결정한다. GPIF 집행부는 만능 권한을 부여받은 것이 아니라 경영위원회가 5년에 한 번 결정한 기본 포트폴리오에 따른 자산운용 실무 집행에 불과하다. 기업으로 치면 이사회가 결정한 경영 방침을 집행부가 실행하는 것과 비슷하다.
■ 국민이 부여한 연금 운용 목표
그렇다면 국민은 후생노동성에 연금자산을 어떤 목표에 따라 운용하는 것을 위탁하고 있는 것일까.
그 목표는 후생노동성의 '사회보장심의회'에서 논의되었으며, 국민의 연금재정을 유지하기 위해 '명목임금상승률+연율 1.7%를 장기적으로 유지한다'는 것이 '목표'로 되어 국회 심의나 예산 의결 등 민주주의 프로세스 안에서 승인되고 있다.
즉 후생노동성은 국민으로부터 장기적으로 명목임금 상승률+연율 1.7%를 웃도는 자산운용을 수탁하고 그 수탁업무를 이번에는 GPIF에 위탁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GPIF의 '경영위원회'는 '장기적으로 명목임금 상승률+연율 1.7%'라는 주어진 목표를 '일정 허용 가능한 리스크 범위 내'에서 달성하기 위한 '기본 포트폴리오'를 '5년에 한 번' 책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방법으로 '기본 포트폴리오'는 도출될 수 있을까?
'기본 포트폴리오'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파이낸스 이론 중 각 자산 클래스의 리턴과 리스크를 사용한 '2 팩터 모델'에 의한 '유효 프론티어'를 기본으로 하고 연금 재정이나 저출산 고령화 등의 '거시 변수'를 제한 조건으로 입력해 '기본 포트폴리오'가 도출된다.
물론 거기에는 국민이 받아들일 수 있는 보험료나 국민이 요구하는 연금 급부 등의 정치적 요소가 고려된다.
그래서 '기본 포트폴리오' 결정의 중심요소는 예를 들어 외국주식이라고 하는 '자산 클래스'의 장기적인 리턴과 리스크의 '2팩터' 인데, 주의가 필요한 것은 각 자산 클래스별 리턴과 리스크의 값으로는 압도적으로 '장기적 기간의 실적치'가 대입되는 것이다.
쉽게 말해 과거에 높은 수익률이었던 것은 '리스크 대비 리턴이 높다' 고 판단돼 더 높은 '자산 배분'이 이뤄진다.
즉 '순방향매매(상승시 매수, 하락 경향일 때 매도)'의 강한 경향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1929년 대공황 이후의 대폭락의 아픔을 1941년부터의 '제2차 세계대전 경기'로 간신히 회복한 이래 미국 주식은 전후 대체로「장기적으로 높은」리턴을 나타내 왔다.
「순방향매매」는 충분히 에비던스를 수반하는 전략이었다.
100년 만의 미국 증시 대폭락으로 인한 대공황은 아직 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편, 일본 주식은, 1989년에 투자했을 경우에는 아직 마이너스의 수익률이 된다.
세계의 공장이라는 전후 일본의 비즈니스 모델이 미중 경제동맹을 중심으로 한 체제를 초월한 세계화에 의해 붕괴되었기 때문이지 단순히 부동산 거품이 붕괴되었기 때문만은 아니다.
하지만 GPIF가 설립된 2001년부터 보면 일본 주식도 높은 실적 리턴을 보이고 있다.
그래서 이 같은 '기본 포트폴리오' 방법론은 2001년 GPIF 설립 이후 극히 강력하게 '누적 수익'을 낳도록 작용해 왔다.
한편, 「국채 지상론자」의 말처럼 「리스크를 취하지 마라. 모두 국채로 운용하라」는 것은 100% 리스크를 뜻한다.
왜냐하면 연금운용의 목적은 공적연금 재정을 유지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명목임금상승률+연율 1.7%'로 국민연금 자산을 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과거 30년 가까이 제로금리가 지속되는 국채로만 운용하면 저출산 고령화로 매년 국민연금 지급이 보험료 수입을 웃돌기 때문에 GPIF 자산은 100% 확률로 매년 축소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정부는 국민에게 대폭적인 연금보험료 인상이나 연금급여 절하를 요청하는 사태가 벌어져 국민의 분노가 정부를 전복시킬 수 있다.
즉, 국채 100% 운용은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리스크 100%」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GPIF는 5년에 한 번씩 재검토되는 기본 포트폴리오를 당초 일본 채권, 대부분 국채 편중에서 글로벌 리스크 자산 중심 운용으로 바꿔왔다.
특히 2014년 위험자산인 외국자산과 주식자산의 비중을 크게 증가시키기로 결정한 이후 지금까지 일관되게 '주식자산'과 '외국자산'의 비중을 늘려왔다.
그것이 현재 127조엔에 이르는 거대한 누적 수익을 올리는 데 크게 기여해 왔다.
국채 100%가 아닌 '기본 포트폴리오'에 기초한 리스크 운용에 의한 거대한 '누적수익'을 배경으로 최근인 2020년 4월에 책정된 현재의 '기본 포트폴리오'는 국내주식, 외국주식, 국내채권, 외국채권에 각각 각 4분의 1의 약 25%를 고정적으로 배분하고 있으며, 실제 자산배분도 그 비율에 매우 가깝고, 개개의 자산급 운용내용도 그 90% 이상이 개별 판단을 요하지 않는 인덱스 운용이다.
지난 10년간 공전의 미국 주식이 견인하는 외국 주식의 상승, 그리고 가장 최근의 미국에서의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에 의한 미국 달러 강세와 엔화 약세에 의한 외국 자산의 상승, 그리고 일본 주식의 최근 상승에 의해 GPIF의 자산은 공전의 상승을 보여 왔다.
포트폴리오 세계화의 혜택을 톡톡히 받아온 것이다.
그러나 뒤집으면 주식 평가가 '세계화가 영원히 지속된다'는 전제가 아니면 정당화할 수 없는 수준까지 상승한 미국 주식과 인플레이션과 금리 강세가 공존해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이 높아지는데도 평가가 급상승한 세계 최대 쌍둥이 적자국의 통화인 미국 달러화 강세라는 두 가지 거품이 깔려 있다.
GPIF의 가장 큰 리스크는 5년에 한 번밖에 기본 포트폴리오를 수정하는 것이다.
그동안은 그거면 됐다.
'대공황이 될 것'이라는 말을 들은 2008년 9월부터의 리먼 쇼크조차도 GPIF는 주식이나 외국 자산 등의 '리스크 자산'을 계속 보유하고 있어 더욱 그 자산 배분을 증가했다. 덕분에 이렇게까지 거액의 수익을 올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행운은 끝났다.
미국과 세계가 리먼 사태를 극복한 결과가 미국 내 분단과 세계 주요국 간 분단을 급격히 가속화하면서 그동안 GPIF 자산운용의 최대 성공요인이었던 체제를 넘어선 세계화로 미국 주식은 영원히 오를 것이라는 전제가 무너졌기 때문이다.
■ 지금 GPIF는 '상정'을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
2009년 1월 20일 끝난 『일본 부활의 최종 시나리오 태양경제를 주도하라』(아사히신문 출판)에서 나는 리먼 쇼크가 '전전전형 대공황을 일으키지 않는 이유'나 '인플레이션이 오지 않는 이유'라는 구절을 마련해 설명했다.
리먼 쇼크 때에는 미중 경제동맹을 핵심으로 하는 세계화가 미국 안팎에서 기능하고 있었고, 미국 내 통치기구는 FRB도 백악관도 의회도 초당파로 일치해 리먼 쇼크에서 대공황으로 치닫는 위기를 극복했다.
국제적으로는 미중도, 미구일도 최대한의 국제공조를 통해 경제위기를 극복했다.
이 때문에 리먼 쇼크는 대공황이 되지 않았을 뿐이다.
즉, 리먼 쇼크가 내습했을 때에는 미국 중심의 세계 평화와 번영을 가능하게 한 전후의 세계 시스템인 팍스 아메리카나는 기능하고 있었기 때문에 대공황의 위기를 미국이나 세계나 극복할 수 있었다.
그리고 미국의 번영과 GAMFA와 AI의 성장은 영원하다는 신화를 세계인이 믿게 되기도 했다.
하지만 팍스 아메리카나는 이미 무너졌다.
하나는 리먼 사태 이후 거의 상처받지 못했던 중국의 부상이 미국 중산층의 중심이었던 내륙 공업지대의 경제를 파괴하는 한편 독점적인 수익을 올리는 GAMFA와 정부로부터 구제를 받은 이후 거액의 수익과 보수를 구가하는 글로벌 금융기관에 대한 99% 국민의 분노를 샀고, 그 분노가 2016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낳았다.
오는 2024년 미국 대선에서는 트럼프, 조 바이든 두 전직 대통령이 '세계화'를 저버리고 '아메리카 퍼스트'를 연호할 것으로 확정된 바 있다.
미중의 군사적 긴장도 두 국민의 적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래서 세계의 인플레이션이 오지 않는 원동력이었던 체제를 넘어 가장 싼 곳에서 생산한다는 세계화는 과거의 것이고 인플레이션은 이미 왔다.
인플레이션→고금리→위험자산 대폭락→대불황이라는 사이클은 시작되고 있는 것이다.
국제적으로도 팍스 아메리카나는 무너지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평화와 번영의 핵심은 미국의 최강 적국이었던 일독 양국을 전후 미국 군사경제 양면의 최대 동맹국으로 만들었다.
그 방침을 개전 전에 정했던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의 세계유산이었다.
그러나 소련과의 냉전에서 승리하며 역사는 끝났다고 들떠 있던 1990년대 초 미국은 패전국으로 몰아붙인 러시아를 군사든 경제든 동맹국으로 만들지 않았다.
반대로 대소련 냉전전략을 만든 조지 케넌을 비롯한 미국의 많은 전문가 그런 일을 하다간 러시아와의 전쟁이 될 것이라고 강력히 경고한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의 동쪽 확대를 유럽 각국과 추진하면서 핵보유국 군사동맹인 나토가 러시아 포위망을 형성했다.
그리고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한다면 군사행동을 하겠다"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경고는 2019년 등장한 워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나토 가입' 방침 표명, 그리고 2022년부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현실화됐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히틀러에 비유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 후 조약 체결을 위한 영국 대표였던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프랑스가 중심이 돼 패전국 독일에 가혹한 조건을 부과한 베르사유 체제가 독일의 반발을 불러와 다음 독일과의 전쟁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케인즈의 경고는 히틀러가 이끄는 나치 독일의 유럽 침략 형태로 현실이 됐고 대륙 유럽 국가들을 제압했다.
1941년 8월 나치 독일의 영국 침략을 앞두고 영국 구제를 위한 미국의 대독 참전을 간청하는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에 대해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이 자유무역과 식민지 해방을 조건으로 했고 처칠 총리가 그 조건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루스벨트 대통령은 제2차 세계대전 미국 참전을 단행했다.
'팍스브리태니커'가 '팍스아메리카나'로 바뀌는 순간이었다.
적국을 동맹국으로 삼음으로써 미국도 세계도 번영한다.
이 훌륭한 루스벨트의 성공 체험을 응용해 냉전 종료 시 부시(아버지) 행정부가 소련 붕괴 후 러시아에 대해 미국의 군사와 경제 양면의 동맹국으로 만들지는 않았다.
그리고 경제 붕괴에 따른 국민의 도탄의 고통을 겪은 21세기 초 러시아에서는 KGB 출신으로 적과의 전쟁도 불사하겠다고 공언해 온 푸틴 대통령이 국민 다수의 지지를 얻어 등장한 이후 20년 이상의 초장기 집권을 유지해 왔다.
지난 30년 전 미국의 실패가 2022년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가시화'됐다.
미국 수준으로 핵무기를 보유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패전할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낙관적일 것이다.전쟁은 끝나지 않는다고 가정해야 한다.
이렇게 보면, 지금까지의 미국 주식의 상승을 지탱해 온 「평화로운 세계, 체제를 초월한 국제 분업, 노동과 자원의 최저 코스트로의 조달, 제로·인플레이션, 미국 글로벌 기업의 영속적 성장」의 대전제이며, 리먼 쇼크 당시에는 존재했던 「세계화」, 그 근저에 있어서, 미국과 세계가 입장이나 체제를 초월해 협력해 리먼 쇼크가 세계 대공황이 되는 것을 막은 전후 세계의 「팍스 아메리카나」라고 하는 「세계 시스템」이 붕괴한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도 미국 주식은 사상 최고치권에 있고 미국 달러도 근래에 없는 고점권이다.붕괴와 대폭락이 가깝다. 그것이 GPIF의 '위기의 본질'이다.
그렇게 되면 GPIF가 후생성으로부터 맡고 있는 국민자금 운용은 '5년에 한 번씩 재검토'에 의한 '기본 포트폴리오'에 충실한 '집행'에서 '필요하면 언제든지 리스크 오프하는 유사즉응체제'로 이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구체적으로는 세계 국가 펀드와 거대 연금의 상당수가 도입하고 있는 자산 전체의 전략적 자산 알로케이션을 GPIF가 실시할 수 있는 체제로 이행하는 것이다.
GPIF의 전략적 자산 알로케이션이란 자산 폭락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될 때 5년에 한 번 변경되는 기본 포트폴리오에서 허용되는 변경 범위(괴리폭이라고 한다)를 넘어 리스크 오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미국 주식 등 주식자산이나 외국 자산의 위험을 제외하기 위해 위험자산을 일시적으로 매각하거나 선물시장이나 상대거래로 헤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시적인 매각이나 헤지 그 자체는 거대한 투자은행이나 펀드에서는 크리스마스 휴가를 앞둔 「기말」등의 시기에는 예년에 실시하는 것이며, 그러한 거대 금융기관의 포트폴리오도 「총액」에서는 GPIF와 마찬가지로 수 백조엔의 사이즈가 되므로, 「평시」라면 GPIF에서도 실행 가능하다.
다만 일단 대폭락이 시작되면 순식간에 매도 일색이 돼 헤지 상대방이 사라져 버린다.
게다가 상대 거래의 경우 계약한 상대방이 소멸해 버려 헤지 계약도 사라질 위험이 높다.
그렇게 되면 리스크 자산이 150조엔을 넘는 GPIF 운용 자산의 '리스크 오프'를 위해서는 '리스크 자산의 일시적 매각과 리스크도 리턴도 없는 단기 일본 국채 등으로의 피난'이 주체가 될 것이다.
물론 매도가 늦어질수록 손실은 확대된다.
전략적 자산 알로케이션에는 부작용도 크다.
'리스크오프'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안전자산'인 단기일본 국채 등의 '운용수익'은 제로에 가까워 '장기적으로 명목임금 상승률+1.7%'라는 GPIF 운용목표에 대해서는 마이너스가 돼 버리기 때문이다.
리스크 오프 기간이 길어질수록 연금재정 손실은 확대된다.
따라서, 「비상사태」인 「전략적 자산 알로케이션」을 정확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뛰어난 정보 수집, 판단 능력, 그리고 과단한 결단력과 실행력을 가진 인재와 팀이 필요하다.
현재 GPIF CIO 이하 운용집행팀은 일본 연금운영기관으로서는 최고도의 인력을 갖추고 있을 텐데, '전략적 자산알로케이션' 전담팀을 시급히 조직할 필요가 있다.
지금 일본에서 참고가 되는 조직은 5년에 한 번이 아니라 1년에 8번은 열리고 있는 일본은행의 금융정책결정회의일 것이다.
일본은행과 민간 각 분야 전문가 방대한 대내외 정세 정보와 일본은행의 정책 결정이 일본 금융과 경제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세계 유수의 센트럴 벙커인 우에다 가즈오 총재를 중심으로 금융정책을 결정하고 있다.
더구나 리먼 사태 등 긴급사태가 발생했을 때 일본은행은 세계 통화당국자들과 협의와 정보 수집을 하고, 이르면 세계 정세 변화 다음 날 긴급 금융정책 결정회의를 열어 대응을 협의한다.
GPIF에서의 '기본 포트폴리오'와 GPIF의 자산운용방침과의 연동성이 높은 다른 '장기 국민자금'에 대해 미국 주식 대폭락으로부터의 대공황이 미치는 수 백조엔 규모의 영향을 생각하면, 앞으로는 GPIF에서의 '전략적 자산알로케이션'에 대해서는 일본은행의 금융정책 결정에 가까운 '유사즉응체제'가 필요할 것이다.
사는 기술, 파는 예술이라고 할 정도로 파는 것은 어렵다.
특히 미국 증시와 같이 높은 레버리지 즉, 빚진 매수세가 거액인 시장에서는 하락이 일정한 역치(thresholds)를 넘으면 강제적인 언와인딩으로 불리는 손절매에 의해 순식간에 폭락이 시장 전체를 뒤덮는다.
15년간 쌓아온 게인이 사흘 만에 없어질 수 있다.보통 파도의 속도와 하루 만에 지구 뒤에서 도달하는 쓰나미의 속도 차이라고 해도 좋다.
그렇기 때문에 GPIF의 전략적 자산 알로케이션 책임자에게는 세계적인 차원의 판단력, 결단력과 실행력, 그리고 실적이 요구될 것이다.
하지만, 지금의 GPIF는, 이러한 「전략적 에셋 알로케이션」을 실시하는 것이, 원래 제도적으로 불가능하다.
우선, 「전략적 에셋 아로케이션」을 GPIF가 실시하기 위해서는 GPIF에 「5년에 한 번」의 「기본 포트폴리오」의 작성을 의무화하고, 그 「기본 포트폴리오」에 충실한 자산운용의 「집행」밖에 인정하지 않을 방침에서의 자산운용을 「위탁」하고 있는 후생노동성의 「정책 변경」이 필요하다.
단순한 수탁자인 GPIF는 그런 중요한 정책 변경을 할 권한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한 중요한 「공적 연금 자산 운용의 정책 변경」은, 의료 건강이나 사회 복지나 노동을 주된 업무로 하는 후생 노동성 뿐만 아니라, 정부 각 부문이나 일본은행, 나아가 민간등으로부터, 정말로 사물의 본질을 잘 알게 된 정예를 모은 「태스크 포스」를 시급히 조직해, 후생 노동성을 서포트해야 한다.
이때는 성익 다툼이나 당파 싸움은 엄금이다.
나아가 GPIF의 운용자산, 그에 연동되는 다른 연금과 보험 등 국민자산이 대폭락했을 때 일본 경제와 재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부와 일본은행의 금융경제 거대재해대책이 필요하다.
지금부터 당장 GPIF의 '전략적 자산알로케이션'을 기점으로 하는 '일본 국민의 국부를 지키기' 위한 최단 최선의 '유사즉응 체제' 구축과 톱 이하의 인선을 '원팀'으로 실시하지 않으면 전후 영영 쌓아온 '경제대국 일본'은 사라지지 않게 될 것이다.
야마자키 야스요
https://news.yahoo.co.jp/articles/bae0c030003b6e4ac1694e5f3969f97e99e3495d?page=1
百年に一度の大恐慌到来で、日本の対外純資産は全消失の危機に
10/16(月) 11:02配信
9
コメント9件
JBpress
リーマンショック発生直前、桜が咲き誇るFRB(2008年3月25日撮影、FRBのサイトより)
今の日本は戦後最大の経済危機の入り口にある。
これから起こる米国株大暴落からの世界大恐慌による日本経済への打撃は、バブルの崩壊やリーマンショックの比ではない。
経済大国でいられるのか、それとも急激に「超没落国家」になるのかの分かれ目にある。
日本にとって深刻なのは、「金融巨大災害防止措置」が全く取られていないことだ。
「危機の本質」は「国富の喪失」である。
■ 日本の対外純資産419兆円、32年連続世界一
日本の対外純資産は昨年末で419兆円、32年連続で世界一であり、経済大国日本の力の源泉である。
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コロナ禍)とロシアウクライナ戦争から世界にインフレが広がる中で、食料とエネルギーの大半を輸入に頼る日本人のほとんどが生命や飢餓の危険を感じないで済むのも、戦後日本人が営々として溜め込んだ対外純資産という「国富」のおかげだ。
しかし、「防災措置」がないままに米国株大暴落からの世界大恐慌に突入すれば、「国富」の多くがなくなってしまう。
福島第一原子力発電所事故では、災害の「想定」が不十分で「対策」が不十分だった。
しかし、これから起こり得る史上最大級の金融経済災害については、そもそも「想定」が存在せず、したがって「対策」も存在しない。
しかも、巨大危機が発生した時の「国家体制」が存在しない。深く危惧する。
至急、国家としての「有事即応体制」をとらなくてはいけない。
福島原発事故の「失敗の本質」は、西暦869年の貞観地震、つまり「千年に一度」の規模の震災と津波の想定をしなかったことだった。
多くの地震学者が「そろそろ来る可能性が高い」とした千年に一度の震災と津波がどのような原発事故を起こすのかについては、2011年3月の東日本大震災以前に岩波書店の「科学」の多くの記事が東日本大津波と福島原発事故と同様の危険性を網羅的に指摘していた。
米国株大暴落から始まる21世紀型大恐慌は「百年に一度」の巨大金融経済災害である。前の大恐慌から100年近くが経過しており、「そろそろ来る可能性が高い」。
1929年からの世界大恐慌が、「パクスブリタニカ」つまり、西欧の世界植民地支配という「世界システム」の崩壊がその根底にあったように、「パクスアメリカーナ」つまり、米国の世界一極支配を前提した現在の「世界システム」がすでに限界を迎え、崩壊過程に入っていることが、21世紀型大恐慌が起きる根底にある。
米国株大暴落からの大恐慌はリアルタイムに津波以上の速度で日本に伝わる。
米国株大暴落のリスクとその影響は、芳賀沼千里氏(三菱UFJモルガン・スタンレー証券チーフストラテジスト)や河野龍太郎氏(BNPパリバ証券経済調査本部長・チーフエコノミスト)などの専門家が各分野で指摘してきた。
そうした予測をつなぎ合わせるときに、全体としての世界大恐慌が予見可能となる。
1929年からの世界大恐慌以来、「百年に一度」の、しかも瞬時に起きて広がる「巨大金融経済災害」を「想定」し、「対策」を立て、「国家体制」を整備しなくてはいけない。
米国株大暴落から始まる世界大恐慌が日本を直撃する時の被害の中心となるのが、直近の運用資産額が219兆円と世界最大の年金基金であるGPIF(年金管理運用独立行政法人)であり、GPIFが厚生労働省から、厚労省は国民から預かって運用している公的年金(厚生年金+国民年金)である。
世界最大の年金基金であるGPIFの運用方針は、制度的にGPIFに準じた運用が規定されている公務員年金や、同じく「公的資金」とされる300兆円規模の郵政資金、さらには、企業年金、保険、信託など、日本の「長期国民資金」を資産運用する「受託機関」に大きな影響を与えている。
GPIFは、世界一の「対外純資産大国」日本の「国富」と国力の中心といってよい。
それだけに、米国株の大暴落からの大恐慌が発生した場合、GPIFが「想定」に基づく「対策」を講じ、経済全体への影響に迅速に対処する「国家体制」を備えていなければ、巨大な「国富喪失」が発生し、国力が大きく低下する。
これまで、GPIFによる国民の年金資産の運用は、日本史上空前の規模の財政と経済社会への貢献をしてきた。
2001年に発足したGPIFがこれまで「市場運用」で上げてきた「運用収益」の累積は、直近のディスクロージャーによれば127兆円に達する。
1年間の日本の歳入合計に等しく、消費税歳入額の5.5年分に当たる。
この巨大な運用収益がなければ日本の年金も財政もはるかに悪化していただろう。
特筆すべきは、GPIFは、2008年からのリーマンショックも乗り越えて、日本経済を救う運用成果を出したことだ。
しかし、今、GPIFと、GPIFに資産運用を「委託」している厚労省、さらには、厚労省に年金運用を「委託」している日本国政府は、変わらなくてはいけない。
「平時」の運用体制から「有事即応体制」に移行しなくてはいけない。
これまでGPIFが巨大な運用成果を出した要因の9割以上は「基本ポートフォリオ」にあった。
「5年に1度」、GPIFの「基本ポートフォリオ」を決定しているのは、厚労省に任命される経済、金融、資産運用、経営管理などの委員と理事長で構成されるGPIFの「経営委員会」である。
企業のガバナンス体制に例えれば、株主である厚労省が、取締役会に相当するGPIFの「経営委員会」に「5年に1度」「基本ポートフォリオ」の設定を「委託」している。
逆に言えば、GPIFの「経営委員会」は「受託者責任」を負っている。
もちろん、GPIFの株主に相当する厚労省は、国民に対して年金資産運用の「受託者責任」を負っている。
こうして「経営委員会」によって「5年に1度」決められる「基本ポートフォリオ」の方針に従って、投資銀行出身のCIO(Chief Investment Officer=最高投資責任者)を始めとしたGPIFの「執行部」が、「インデックス投資かアクティブ投資か」「この資産クラスはどの運用事業者に委託するか」といった資産運用実務を執行している。
つまり、資産運用の基本的な「政策」は、まず厚労省が策定し、「基本ポートフォリオ」などの経営計画をGPIFの経営委員会が決定する。
GPIFの執行部は、万能の権限を与えられているのではなく、経営委員会が「5年に1度」決定した「基本ポートフォリオ」に沿った資産運用実務の「執行」を行うに過ぎない。
企業で言えば、取締役会が決定した経営方針を執行部が実行するのに似ている。
■ 国民から与えられた年金運用の目標
それでは、国民は厚労省に年金資産をどのような「目標」に沿って運用することを「委託」しているのだろうか。
その目標は厚労省の「社会保障審議会」で議論され、国民の年金財政を維持するために「名目賃金上昇率+年率1.7%を長期的に維持する」ことが「目標」とされ、国会審議や予算議決などの民主主義プロセスの中で承認されている。
つまり、厚労省は、国民から「長期的に名目賃金上昇率+年率1.7%」を上回る資産運用を「受託」し、その受託業務を、今度はGPIFに「委託」しているのだ。
そして、GPIFの「経営委員会」は、「長期的に名目賃金上昇率+年率1.7%」という与えられた目標を「一定の許容可能なリスクの範囲内」で達成するための「基本ポートフォリオ」を「5年に1度」策定しているのである。
それでは、どのような方法で「基本ポートフォリオ」は導出されるのだろうか?
「基本ポートフォリオ」を決定する具体的な方法は、ファイナンス理論の中で各資産クラスのリターンとリスクを使用した「2ファクターモデル」による「有効フロンティア」を基本とし、年金財政や少子高齢化などの「マクロ変数」を制限条件として入力して、「基本ポートフォリオ」が導出される。
もちろん、そこには、国民が受け入れられる保険料や国民が求める年金給付などの政治的要素が考慮される。
だから、「基本ポートフォリオ」決定の中心要素は、たとえば外国株式という、「資産クラス」の長期的なリターンとリスクの「2ファクター」であるが、注意が必要なのは、各資産クラスごとのリターンとリスクの値としては圧倒的に「長期的期間における実績値」が代入されることだ。
平たく言えば、過去に高い収益率であったものは、「リスクに対してリターンが高い」と判断されより高い「資産配分」がなされる。
つまり「順張り」の強い傾向を持つことだ。
そして、1929年の大恐慌以来の大暴落からの痛手を1941年からの「第2次世界大戦景気」でようやく回復して以来、米国株式は戦後概ね「長期的に高い」リターンを示してきた。
「順張り」は十分にエビデンスを伴う戦略であった。100年ぶりの米国株大暴落からの大恐慌はまだ来ていないからだ。
一方で、日本株は、1989年に投資した場合にはいまだにマイナスの収益率となる。
「世界の工場」という戦後日本のビジネスモデルが、「米中経済同盟」を中心とした「体制を超えた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によって崩壊したからであり、単に不動産バブルが崩壊したからではない。
だが、GPIFが設立された2001年から見れば、日本株も高い実績リターンを示している。
だから、こうした「基本ポートフォリオ」の方法論は、2001年のGPIFの設立以来、極めて強力に「累積収益」を生むように作用してきた。
一方で、「国債至上論者」の言うように「リスクを取るな。すべて国債で運用しろ」というのは「100%リスク」を意味する。
なぜかと言うと、年金運用の目的は公的年金財政を維持するために「長期的に名目賃金上昇率+年率1.7%」で国民の年金資産を運用をすることだから、過去30年近くゼロ金利が続く国債でしか運用しなければ、少子高齢化により毎年の国民への年金支払が保険料収入を上回るために、GPIFの資産は100%の確率で毎年縮小してしまうからだ。
そうなってしまえば、政府は国民に対して大幅な「年金保険料引上げ」か「年金給付金切下げ」を要請する事態となり、国民の怒りが政府を転覆させかねない。
つまり、国債100%運用は、経済的にも政治的にも「リスク100%」なのである。
だからこそ、GPIFは、「5年に1度」見直される「基本ポートフォリオ」を、当初の「日本債券、そのほとんどが国債、偏重」から「グローバルリスク資産中心の運用」に変えてきた。
特に、2014年にリスク資産である外国資産と株式資産の割合を大きく増加させることを決定して以来、ここまで一貫して「株式資産」と「外国資産」の割合を増やしてきた。
そのことが、現在127兆円に上る巨大な「累積収益」を上げることに大きく貢献してきた。
国債100%ではない「基本ポートフォリオ」に基づくリスク運用による巨大な「累積収益」を背景に、直近の2020年4月に策定された現在の「基本ポートフォリオ」は、国内株式、外国株式、国内債券、外国債券に、それぞれ各4分の1の約25%を固定的に配分しており、実際の資産配分もその割合に極めて近く、個々の資産クラスの運用の中身も、その9割以上が個別の判断を要しないインデックス運用である。
過去10年の空前の米国株が牽引する外国株式の上昇、そして、直近の米国でのインフレと金利高による米ドル高と円安による外国資産の上昇、そして、日本株の最近の上昇により、GPIFの資産は空前の上昇を示してきた。
ポートフォリオの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の恩恵をフルに受けてきたのだ。
しかし、裏を返せば、株式評価が「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が永遠に続く」という前提でなければ正当化できない水準まで上昇した米国株と、インフレと金利高が共存しスタグフレーションのリスクが高まるのに評価が急上昇した世界最大の双子の赤字国の通貨米ドル高、という2つの「バブル」に支えられている。
GPIFの最大のリスクは「5年に1度」しか「基本ポートフォリオ」を見直さないことだ。
これまではそれでよかった。
「大恐慌になる」と言われた2008年9月からのリーマンショックでさえ、GPIFは株式や外国資産などの「リスク資産」を持ち続け、さらにその資産配分を増加した。そのおかげでここまで巨額の収益を上げてきたからだ。
だが、その幸運は終わった。
米国と世界がリーマンショックを克服した結果が、米国内の「分断」と世界の主要国の間の「分断」を急激に加速し、これまでのGPIFの資産運用の最大の成功要因であった「体制を超えた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により、米国株は永遠に上がり続ける」という前提が崩壊してしまったからだ。
■ 今、GPIFは「想定」を変えなくてはいけない
2009年1月20日に書き終わった『日本復活の最終シナリオ 太陽経済を主導せよ』(朝日新聞出版)の中で、私は、リーマンショックが「戦前型大恐慌を起こさない理由」や「インフレが来ないわけ」という節を設けて説明した。
リーマンショックの時には、「米中経済同盟」を中核とする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が米国内外で機能しており、米国内の統治機構は、FRBもホワイトハウスも議会も超党派で一致してリーマンショックから大恐慌となる危機を克服した。
国際的には、米中も、米欧日も最大限の国際協力をして経済危機を克服した。
このため、リーマンショックは大恐慌にならなかったに過ぎない。
つまり、リーマンショックが襲来した時には、米国中心の世界平和と繁栄を可能にした戦後の「世界システム」である「パクスアメリカーナ」は機能していたから、大恐慌の危機を米国も世界も克服できた。
そして、「米国の繁栄」や「GAMFAやAIの成長は永遠」という神話を世界の人が信じるようにもなった。
しかし、「パクスアメリカーナ」はすでに崩壊している。
一つには、リーマンショックからほとんど無傷であった中国の台頭が、米国の「中産階級」の中心だった内陸部の工業地帯の経済を破壊する一方、独占的な収益を上げるGAMFAや政府に救済してもらってから巨額の収益と報酬を謳歌するグローバル金融機関への「99%の国民」の怒りを買い、 その怒りが2016年のドナルド・トランプ大統領を生んだ。
2024年の米大統領選挙ではトランプ、ジョー・バイデンの2人の大統領経験者が、「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をかなぐり捨てて「アメリカファースト」を連呼することが確定している。
米中の軍事的緊張も両国民の敵意に拍車をかけている。
だから、世界の「インフレが来ない」原動力であった「体制を超えて一番安いところで生産する」という「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は過去のものであり、「インフレはすでに来ている」。
インフレ→高金利→リスク資産の大暴落→大不況、というサイクルは始まっているのだ。
国際的にも「パクスアメリカーナ」は崩壊している。
第2次世界大戦後の世界の平和と繁栄の中核にあったのは、米国の最強の敵国であった日独両国を戦後の米国の軍事経済両面の最大の同盟国としたことだった。
その方針を開戦前に決めていたフランクリン・ルーズベルト大統領の世界への遺産だった。
しかし、ソ連との「冷戦に勝利」し、「歴史は終わった」と浮かれていた1990年代初頭の米国は、「敗戦国」と決めつけたロシアを軍事でも経済でも同盟国にはしなかった。
それどころか、対ソ連の「冷戦戦略」を作り上げたジョージ・ケナンをはじめとした米国の多くの専門家が「そんなことをしたらロシアとの戦争になる」と強く警告した「NATO(北大西洋条約機構)の東方拡大」を欧州各国と進め、核保有国の軍事同盟であるNATOがロシアへの「包囲網」を形成した。
そして「ウクライナがNATOに加盟するようなら軍事行動を起こす」というロシアのウラジーミル・プーチン大統領の警告は、2019年に登場したウクライナのウォロディミル・ゼレンスキー大統領による「NATO加盟」の方針の表明、そして、2022年からのロシアのウクライナ侵攻により現実のものとなった。
ロシアのプーチン大統領をヒトラーにたとえる人もいる。
しかし、第1次世界大戦後の条約締結のための英国代表であった経済学者のジョン・メイナード・ケインズは、フランスが中心となって敗戦国ドイツに過酷な条件を課した「ベルサイユ体制」がドイツの反発を招き、「次のドイツとの戦争を招く」と警告した。
ケインズの警告はヒトラー率いるナチスドイツの欧州侵略の形で現実となり、大陸欧州諸国を制圧した。
1941年8月、ナチスドイツの英国侵略を前にして英国救済のための米国の対独参戦を懇願するウィンストン・チャーチル英首相に対して、ルーズベルト米大統領が「自由貿易」と「植民地解放」を条件にし、チャーチル首相がその条件を呑んだためにルーズベルト大統領は第2次世界大戦への米国参戦に踏み切った。
「パクスブリタニカ」が「パクスアメリカーナ」に変わった瞬間だった。
「敵国を同盟国にすることで米国も世界も繁栄する」
この素晴らしいルーズベルトの成功体験を応用して、冷戦終了時にブッシュ(父)政権が、ソ連崩壊後のロシアに対して、米国の軍事と経済両面の同盟国にすることはなかった。
そして、経済崩壊による国民の塗炭の苦しみの時を経た21世紀初頭のロシアでは、KGB出身で「敵との戦争も辞さない」と公言してきたプーチン大統領が国民の多数の支持を得て登場し、以来20年以上の超長期政権を維持してきた。
この30年前の米国の失敗が、2022年からのロシアウクライナ戦争として「顕在化」した。
米国並みに核兵器を保有するロシアがウクライナに敗戦すると想定するのは楽観に過ぎるだろう。戦争は終わらないと想定すべきだ。
こうしてみると、今までの米国株の上昇を支えてきた「平和な世界、体制を超えた国際分業、労働と資源の最低コストでの調達、ゼロ・インフレ、米国グローバル企業の永続的成長」の大前提であり、リーマンショック当時には存在していた「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その根底にあって、米国と世界が立場や体制を超えて協力してリーマンショックが世界大恐慌になるのを防いだ、戦後世界の「パクスアメリカーナ」という「世界システム」が崩壊したことは明らかだ。
それなのに、米国株は史上最高値圏にあり、米ドルも近来にない高値圏だ。崩壊と大暴落が近い。 それがGPIFの「危機の本質」である。
そうなると、GPIFが厚生省から預かっている国民資金の運用は「5年に1度の見直し」による「基本ポートフォリオ」に忠実な「執行」から、「必要ならいつでもリスクオフする有事即応体制」に移行しなくてはいけない。
具体的には、世界の国家ファンドや巨大年金の多くが導入している、資産全体の「戦略的アセットアロケーション」をGPIFが行える体制に移行することだ。
GPIFにとっての「戦略的アセットアロケーション」とは、資産暴落の危険性が高いと判断される時に、5年に1度変更される「基本ポートフォリオ」で許容されている変更範囲(乖離幅という)を超えて、「リスクオフ」することだ。
具体的には、米国株などの株式資産や外国資産のリスクを除くために、リスク資産を「一時的に売却」あるいは、先物市場や相対取引で「ヘッジ」することだ。
こうした一時的な売却やヘッジそのものは、巨大な投資銀行やファンドでは、クリスマス休暇を控えた「期末」などの時期には例年行うことであり、そうした巨大金融機関のポートフォリオも「総額」ではGPIFと同様に数百兆円のサイズになるから、「平時」であればGPIFでも実行可能である。
ただ、いったん大暴落が始まると瞬時に売り一色になり、ヘッジの相手方が消えてしまう。
しかも、相対取引の場合、契約した相手方が消滅してしまい、ヘッジ契約も消えてしまうリスクが高い。
そうなると、リスク資産が150兆円を超えるGPIFの運用資産の「リスクオフ」のためには、「リスク資産の一時的売却とリスクもリターンもない短期日本国債などへの避難」が主体となるだろう。
もちろん、売りが遅くなるほど損失は拡大する。
「戦略的アセットアロケーション」には副作用も大きい。
「リスクオフ」をしている場合には、「安全資産」である短期日本国債などの「運用収益」はゼロに近く、「長期的に名目賃金上昇率+1.7%」というGPIFの運用目標に対してはマイナスになってしまうからだ。
「リスクオフ」期間が長引くほど、年金財政の損失は拡大する。
したがって、「非常事態」である「戦略的アセットアロケーション」を的確に行うには、優れた情報収集、判断能力、そして果断な決断力と実行力を持った人材とチームが必要となる。
現在のGPIFのCIO以下の運用執行チームは日本の年金運営機関としては最高度の人材を揃えているはずだが、「戦略的アセットアロケーション」の専門チームを至急組織する必要が出てくる。
今の日本で参考になる組織は、「5年に1度」ではなく、「年に8回」は開かれている日銀の金融政策決定会合だろう。
日銀と民間の各分野の専門家が膨大な内外情勢の情報と、日銀の政策決定が日本の金融と経済社会に及ぼす影響を多角的に検討し、世界有数のセントラルバンカーである植田和夫総裁を中心として、金融政策を決定している。
しかも、リーマンショックなどの緊急事態が発生した時には、日銀は世界の通貨当局者との協議と情報収集を行い、早い時には世界的な情勢変化の翌日には「緊急金融政策決定会合」を開いて対応を協議する。
GPIFにおける「基本ポートフォリオ」とGPIFの資産運用方針との連動性が高い他の「長期国民資金」に対して、米国株の大暴落からの大恐慌が及ぼす数百兆円規模の影響を考えれば、これからは、GPIFにおける「戦略的アセットアロケーション」については、日銀の金融政策決定に近い「有事即応体制」が必要になるだろう。
「買いは技術、売りは芸術」と言われるほど「売り」は難しい。
特に、米国株市場のように高い「レバレッジ」つまり、借金しての買いが巨額の市場では、下げが一定の閾値(thresholds)を超えると強制的な「アンワインディング」と呼ばれる「手仕舞い売り」により、瞬時に暴落が市場全体を覆う。
15年間積み上げてきたゲインが3日でなくなりうる。普通の波の速さと1日で地球の裏から到達する津波との速度の違いと言ってもいい。
だからこそ、GPIFの「戦略的アセットアロケーション」の責任者には、世界的なレベルでの判断力、決断力と実行力、そして、実績が求められるはずだ。
だが、いまのGPIFは、こうした「戦略的アセットアロケーション」を行うことが、そもそも制度的に不可能である。
まず、「戦略的アセットアロケーション」をGPIFが行うためには、GPIFに「5年に1度」の「基本ポートフォリオ」の作成を義務付け、その「基本ポートフォリオ」に忠実な資産運用の「執行」しか認めない方針での資産運用を「委託」している厚労省の「政策変更」が必要になる。
単なる「受託者」であるGPIFにはそのような重要な「政策変更」を行う権限はないからだ。
そうした重要な「公的年金資産運用の政策変更」は、医療健康や社会福祉や労働を主な業務とする厚労省だけでなく、政府各部門や日銀、さらに、民間などから、本当に物事の本質をよく分かった精鋭を集めた「タスクフォース」を至急組織して、厚労省をサポートすべきだ。
その際には「省益争い」や「党派争い」は厳禁だ。
さらには、GPIFの運用資産、それに連動する他の年金や保険などの国民資産が大暴落した時の日本経済や財政への影響に対して、政府や日銀での「金融経済巨大災害対策」が必要となる。
今からすぐに、GPIFの「戦略的アセットアロケーション」を起点とする「日本国民の国富を守る」ための最短最善の「有事即応体制」の構築とトップ以下の人選を「ワンチーム」で行わなければ、戦後営々と築き上げてきた「経済大国日本」は消えてなくなるだろう。
山﨑 養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