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옛날부터 해왔던 우리의 놀이 윷놀이. 그런 윷놀이를 보면 도 , 개 , 걸, 윷, 모 가 있다.
윷을 굴려서 하나만 뒤집히면 도. 윷을 굴려서 두개가 뒤집히면 개. 윷을 굴려서 세개가 뒤집히면 걸 윷을 굴려서 모두 뒤집히면 윷. 윷을 굴려서 모두 앞면이 나오면 모 라고 한다.
윷놀이의 유래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전해오는 한국 고유의 민속놀이로 대개 정월 초하루부터 보름날까지 즐긴다. 부여족 시대에 5가지 가축을 5부락에 나누어주어 그 가축들을 경쟁적으로 번식시킬 목적에서 비롯된 놀이라고 하며, 그에 연유하여 '도'는 돼지, '개'는 개, '걸'은 양, '윷'은 소, '모'는 말에 비유한다.
부녀자들의 경우 주로 안방에서 요나 담요 등을 깔고 놀며, 남자들은 사랑방이나 마당 또는 큰길가에서 가마니나 멍석을 깔고 높이 1m 정도로 던지면서 즐긴다. 던진 윷쪽의 하나(지방에 따라 2개)가 멍석 밖으로 나가면 그 회는 무효로 한다.
[놀이방법]
윷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장작윷 외에 밤윷, 콩윷, 팥윷 등이 있다. 밤윷은 남부지방에서 많이 하는 것으로 작은 밤알크기의 나무 조각을 넷 갖추어 이것들을 밥공기 등의 그릇에 담고 내젓다가 바닥에 던져 논다. 북부지방에서 많이 노는 콩윷, 팥윷은 큰 콩알이나 팥알을 반으로 쪼개 윷을 삼아 밤윷 처럼 논다.
◈윷놀이(기본형)
두 사람이상, 여러사람이 편을 갈라 순서를 정한다. 윷을 던져 나온 결과대로 도, 개, 걸, 윷, 모 중의 하나에 말 한개씩 또는 동무하여 말판에 놓아간다. 어느 한편에서 먼저 말 네개가 말판을 돌아 출발지점이자 최종점인 '날밭'을 빠져나오면 이긴다. 앞서가는 상대편 말의 자리 수가 나오면 잡는다. 잡으면 한 번 더 할 수 있다. 윷이나 모가 나와도 한번 더 할 수 있다. 말은 두 동, 석 동, 넉 동으로 동무하여 함께 갈 수 있다.. 뒷도는 윷가락 하나에 표시를 하여 도일 때 이것이 나오면 말을 한칸 뒤로 둔다.
앞에 가던 상대편 말을 잡거나, '윷', '모'가 나오면 한 번 더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4개의 말이 상대편보다 먼저 말판을 돌아오는 편이 승리한다. 또 한꺼번에 2개 이상의 말을 함께 쓸 수도 있는데, .이것을 '업'이라 하여 보다 능률적이기는 하지만 상대편 말에 잡힐 경우에는 더욱 불리하게 된다.. 윷놀이는 인원수의 제약을 받지 않으나 보통 4명이 서로 편을 갈라서 하는 것이 상례인데, 이 때는 각 편 사람들이 서로 섞바뀌어 윷을 던진다.
◈산윷(보습윷)
평안도, 함경도에 분포되어 있는 놀이로 윷판과 말이 없이 노는 것이 특징이다. 산가지나 콩, 팥 등을 늘어놓고 윷을 던져 나온 수대로 산가지나 콩, 팥을 거두어 많이 차지하는 편이 이기는 놀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