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IO KA-7100D (오버홀 완료)
*** 사진과 같은 TRIO KA-7100D (오버홀 완료) 입니다.
- 사진대로 깨끗할뿐만(미품) 아니라 완벽 정상작동합니다.
- 당연히 오리지널 캔TR... (사진참조)
- 70~80년대 일본 tr앰프는 너무나도 매력적입니다. 이 앰프도 77년도에 발매된 앰프로
오버홀을 하지 않고는 정상작동하기 어렵고 설혹 작동한다 하더라도 언제 고장날지 모릅니다.
※ 오버홀 해주신 사장님께서는 "이렇게 깨끗한게 아직 있네요" 하심
*** 오버홀은 지역전문가에게 아래와 같이 실시 하였습니다. 앞으로 상당기간 고장없이 사용하지 싶습니다.
- 오버홀 내역
AUX 입력 단자에 순수한 정현파 신호를 넣어, 스피커 출력 단자를 오실로스코프로 측정 - 이상없음
・내부 청소
・각 스위치, 볼륨 등의 청소
・열화 납땜의 재납땜 처리
・스피커 단자의 DC 누설의 확인 조정
・후면 단자의 세정
・포노단 점검 및 조정 (이상 없음)
*** 오디오데이커베이스 설명글
트리오 KA-7100D
해설
오른쪽과 왼쪽에 2개의 전원 공급 구성이 있는 통합 앰프.
파워 앰프는 신호 시스템이나 NF 루프에 커패시터가 없는 DC 앰프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위상 회전이 없으므로 모든 주파수의 신호가 그대로 통과할 수 있습니다.
회로 구성은 첫 번째 단계에 FET를 사용하고 모든 단계에 직접 결합된 ICL-OCL DC 앰프를 사용하는 3개의 차동 단계로 구성됩니다. 첫 번째 단계의 FET는 높은 입력 임피던스의 듀얼 FET로 입력 커패시터를 제거하고 음질을 향상시킵니다.
또한 클래스 A 앰프 단계는 큰 베어 게인을 가진 3단계 앰프이므로 충분한 양의 NF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CMRR(공통 모드 신호 제거비)이 크게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프리 드라이버 단계의 부하 회로는 정전류로 만들어지고 파워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는 안정화 전원으로 사용되어 넓은 대역에서 낮은 왜곡률이 유지됩니다. 또한 갑작스러운 큰 입력으로 인한 전원 공급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 특성이 실현됩니다.
보호 회로는 TRIO만의 리미터 보호 및 릴레이를 사용한 이중 보호 회로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퀄라이저 회로는 1단계 차동 및 정전류 부하의 클래스 A 증폭을 갖춘 2단계 직결 ICL 유형 이퀄라이저를 사용합니다.
1단계는 FET 차동 증폭 ICL 시스템으로, 입력에서 커패시터를 제거하여 우수한 위상 특성과 과도 특성을 실현하고, 정전류 부하 회로를 갖춘 클래스 A 증폭을 채택하여 넓은 대역에서 낮은 왜곡률을 실현합니다.
이퀄라이저는 RIAA 편차가 ± 0.2dB인 1% 저항과 2% 커패시터를 사용하며, 신중하게 선택된 저잡음 소자를 사용하여 최적의 상수를 선택하여 높은 신호 대 잡음비를 달성합니다.
톤 제어를 위해 1단계 FET ± 2 전원 공급 장치 3단계 직접 연결 구성을 채택합니다.
이 톤 제어는 톤 점프를 포함하여 항상 동상 성분이 출력에 나타나도록 낮은 왜곡률로 설계되었습니다.
톤 점프 스위치를 사용하면 플랫 앰프와 파워 앰프를 직접 연결할 수 있습니다.
전원 공급 섹션은 2차 측에서 좌우로 분리된 권선이 있는 대형 190 va 전원 변압기를 사용하고, 4개의 6800 μ F 필터 μ F 필터 커패시터로 구성되며 좌우 독립 구성을 갖습니다.
프리앰프의 전원 공급은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전원 섹션에서 프리앰프 섹션으로의 간섭을 줄이는 풀 스케일 레귤레이터입니다.
내부 레이아웃은 케이스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중앙에 방열판을 두고, 전원에서 클래스 A 앰프의 소신호를 차폐하고, 스피커 시스템으로 흐르는 대전류를 차폐합니다.
이퀄라이저는 입력 단자에 직접 연결된 직접 연결을 사용하여 부유 용량이 플레이어의 저레벨 신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합니다. 이퀄라이저
에서 톤 인 부분에는 접지에 L/R이 있는 7핀 밸런스 코드를 사용합니다.
또한 전체 회로에서 불안정한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단일 실드 와이어도 사용하지 않는 구성을 채택하여 음질을 개선하고 안정성을 달성했습니다.
스루 회로를 사용한 테이프 더빙 회로를 채택했습니다.
-20dB 감쇠기와 32접점 감쇠기 볼륨을 사용합니다.
2단계 스위칭 유형의 라우드니스 컨트롤을 사용합니다.
사진의 운반 손잡이는 별도 판매되는 옵션 품목으로 판매되었습니다.
모델 평가
유형 | 통합 앰프 |
전반적인 특성 |
전체 고조파 왜곡률(튜너/테이프 → SP단자) | 0.02% (250 mW ~ 60W, 20 Hz ~ 20 kHz, 8 Ω) 0.004% (60W 출력, 1 kHz, 8 Ω에서) |
혼변조왜곡률(Tuner/Tpae → SP단자) | 0.01% (250mW ~ 60W) |
주파수 특성 (튜너/테이프 → SP단자) | 10Hz ~ 100kHz + 0 -1.8dB |
SN 비율(IHF-A 곡선) | Phono → SP 단자 : 80dB(2.5mV 입력) 튜너/테이프 ~ SP 단자 : 110dB |
출력 대역폭 | 5Hz ~ 45kHz(튜너/테이프 대 SP 커넥터, IHF) |
파워 앰프 유닛 |
유효 전력 | 60W + 60W(20Hz ~ 20kHz, 양채널 동작, 8Ω) |
주파수 특성 | 직류 ~ 100kHz + 0 -1.5dB |
SN 비율(IHF-A 곡선) | 120데시벨 |
감쇠 계수(8Ω) | 50 |
최적의 부하 임피던스 | 4Ω ~ 16Ω |
프리앰프 섹션 |
입력 감도 / 임피던스 | 포노 : 2.5mV/50k Ω 튜너, Aux, 테이프 재생 : 150mV/50k Ω |
출력 레벨 / 임피던스 | 테이프 rec 핀 : 150mV/450 Ω |
최대 허용 입력(1kHz, 왜곡 0.02%) | 포노:200mVrms |
포노 RIAA 편차 | + / - 0.2dB |
톤 컨트롤 | 저음 : ± 7.5dB(100Hz) 고음 : ± 7.5dB(10kHz) |
필터 | 아음속: 20Hz, 6dB/옥타브. 고음속: 8kHz, 6dB/옥타브. |
음량 제어(-30dB 출력) | 100Hz : +3dB, +6dB |
<일반> |
전원 콘센트 | 스위치됨 : 2개 라인 스위치되지 않음 : 1개 라인 |
전원 공급 전압 | 100VAC, 50Hz/60Hz |
정격전력소모량(전기용품 및 물품관리법) | 150와트 |
외부 치수 | 폭 430x 높이 149x 깊이 379mm |
무게 | 11.5kg |
-가격 : 45만원 (송료별도)
-연락처 cwang21@한멜, 또는 010-7542-9030 (광주광역시)
카톡아이디: 300b
*사진(실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