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천주교회와 순교자에 헌정된 구노의 아베마리아
프랑스 작곡가 구노(FrancoisGounod)(1818~1893)의 아베마리아는
Solo, 합창,실내악,기악연주로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곡으로 유명하다.
구노는 바흐 프렐류드 반주 위에 아름다운 아베마리아 선율을 작곡하였다.
화가 아버지와 피아니스트 어머니의 예술적 환경에서 어릴 때부터
음악 신동으로 불렸던 구노는 한때 사제가 되려고 신학공부를 했으며
그 기간동안 오직 성가 만을 작곡했던 독실한 카톨릭신자였다.
어린 구노가 빠리 외방선교회가 운영하는 학교에 다닐 때
같은 반에 구노가 따라 갈수 없을 정도로 뛰어난 ’음악 천재’가 있었다.
두 사람은 아주 친한 친구였고 선의의 경쟁자였다.
어느덧 세월이 흘러 학교를 졸업하고 대학 진학할 나이가 되었다.
당연히 음악가가 되리라 생각했던 그 친구는 사제의 길을..
구노는 1843년 빠리 외방전교회 성당 악장으로 음악가의 길을..
그렇게 두 사람은 헤어졌다..
사제가 된 친구가 빠리 외방선교회에 들어갔다는 소식에 구노는 그 친구가
몹시 보고 싶었는데 중국으로 발령받아 떠났다는 이야기를 전해 듣자
신앙심 깊었던 구노는 그 친구를 위해 늘 기도했다.
오랜 사목 후에 휴가라도 오면 옛 추억을 나누며 차를 함께 마실 수
있을 것이라고..동양 문물도 구경하며 친구가 사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 스스로 위로하면서 기도하였다.
가끔 학교 게시판에는 붉은 글씨로 "순교" 라는 메모가 붙어있었다.
그것을 볼 때마다 평화 속에서 주님을 믿는 순박한 사람들은 전율을 금치 못했다.
순교자들을 생각하면 슬프고 가슴 아프고 그 친구를 생각하면 불안한 마음
없지않았지만 선교의 자유가 주어진 중국이기에 내심 안도했다.
어느날 게시판이 북적되어 가보니 그 친구 이름이 있었다.
다행히 빨간 글씨는 아니어서 안심했지만 내용을 읽어 본 구노는 깜짝 놀라고 말았다.>
그 친구가 "조선 대목구 주교"로 임명되어 죽음의 땅 "조선"으로 발령 받았다는 소식이었다.
구노는 눈 앞이 캄캄했다.한번 들어가면 살아 나오기 힘들다는..
아니 거의 불가능하다는.. 차라리 순교하기 위해 조선으로 간다는 말까지
횡횡했던 바로 "죽음 만이 기다리는" 조선으로 들어간다니..
구노는 날마다 성모님께 그 친구가 제발 무사히 돌아와 단 한번 만이라도
만날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드렸다.
어느 주일 날, 학교 정원에서 산책을 하던 구노는 요란하게 울리는 종소리를
들고 마음이 불안해졌다.삼종 시간도 아닌데 이렇게 요란하게 종이 울린다는
것은 뭔가 불길한 징조였다.
의례 그랬 듯이 순교자가 또 나온 것이 아닐까..
불안한 마음에 달음질쳐서 뛰어간 구노는 그 자리에서 쓰러지고 말았다.
게시판에는 이렇게 쓰여 있었다.
"다블뤼주교 조선에서 순교"..
눈물이 앞을 가려 제대로 서 있을수도 없었다.
구노는 정신없이 뒷 동산으로 뛰어갔다.
친구가 너무나 보고 싶었고 제발 살아와 달라고 매일 기도했었는데..
구노의 아베 마리아는 바흐의 평균율 클라비어곡집에 있는
프렐류드 C장조(BWVV 846)를 반주로해서 작곡된 곡이다.
성 안토니오 안 다블뤼 주교와 구노의 아베마리아
1843년 파리 외방 전교회 신학교 성당의 악장(樂長)이 된
샤를 프랑스와 구노(Gounod, C. F., 1818-1893년)는
그때부터 사제의 길을 걷고자 성 슐피스 신학교에서 신학공부를 시작하지만
결국 선교사의 꿈을 접고 1848년 전교회를 떠나 음악에 전념한다.
그러나, 마음 속엔 늘 선교사에 대한 미련이 남아 있었기에
그토록 아름다운 종교음악을 작곡할 수 있었을 것이다.
구노는 조선교구의 제5대 교구장이며 순교 성인인
다블뤼(Daveluy, 1818-1866년)와 같은 시대에
파리 외방 전교회의 신학교에서 살았으며 서로 잘 아는 사이.
구노는 다블뤼를 비롯한 자신의 신학교 친구들이 죽음의 땅 조선으로
들어간 소식들 듣고 '아베 마리아'를 작곡한다.
또 다블뤼 주교가 1866년 조선에서 순교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비통에 빠진 그는 1869년 조선의 순교자들을 찬양하는 노래를 작곡한다.
오늘날에도 애창되는 구노의 “아베 마리아(Ave Maria)”는
다블뤼 주교를 비롯한 조선의 선교사들을 위한 곡이며,
"무궁무진세에"(카톨릭성가 284장)역시 조선의 순교자들을 위한 구노의 곡이다
언제나 변함없이 자비로운 눈길로 우리를 내려다 보시는 성모상 앞에서
구노는 목놓아 울며 눈물로 성모송을 바칠 수 밖에 없었다.
조선의 첫 주교이자 순교자인 자랑스러운 친구를 위해서
구노는 성모송 '아베 마리아'를 만들어 친구에게 바쳤다.
이 곡이 후일 영광스러운 103위 성인의 관을 쓰신
조선의 순교 성인 '성 다블뤼 안토니오 주교'를 기리며
복음화를 위해 피 흘리신 순교자들에게 헌정된
조선을 위한 구노의 단 한 곡의 성가 아베 마리아이다.
지구 반대편..
인종도 모르고 언어도 통하지 않는 그 당시 서구인들의 시각으로 보자면
미개한 나라 조선 땅에서 불쌍한 백성들을 위해 하느님의 씨앗을 뿌린
성인 다블뤼 주교는 그의 소원대로 3월 30일인'성 금요일'에 충청도 보령군
갈매못 수영(水營)에서 사형되어, 그 시신은 군문효수 되었다가..
교우들의 손에 의하여 흥산 땅에 안장되었다.조선교구 제5대 주교인 그는
모방,샤스탕 두 신부와 함께 병인박해의 와중에서 1866년 순교하였다.
사형을 집행하는 날이 되자 세 선교사들은 팔을 뒤로 결박당한 채 가마를 타고
형장으로 끌려갔다. 형장에 이르자 군사들은 선교사들의 옷을 벗긴 다음
손을 앞가슴으로 결박하고, 겨드랑이에 긴 몽둥이를 꿰고, 화살로 귀를 뚫고,
얼굴에 회를 뿌리며 모욕하고 군중들의 온갖 조롱과 욕설을 듣게 하였다.
그런 다음 장대 위에 기를 올리고 사형 선고문을 읽고 나서 수형자들을
무릎 꿇린 다음, 병정들이 달려들어 칼질을 했다.
이렇게 한국 교회는 천신만고 끝에 얻은 성직자들을 3년 만에 잃었다.
그는 1984년 5월 6일 교황 요한바오로 2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출처- 카톨릭사전, 한국 천주교회사, 하늘로 가는 나그네/ 김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