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Be a reporter
2. It's a totally different question from what we've had.
Sometimes this new style is good for a change, isn't it?
This is kind of debate. I got it from the English native teacher whom I work with together at my school.
Now, I'll tell you how to do it.
There are four questions.
1. Which is better, movies or books?(movies: 정우 vs. books: 종희)
2. Is the Internet good or bad?(good: 영화 vs. bad:미경)
3. The old must give way to the new.(agree: 미영 vs. disagree: 명순)
4. Women also should serve the military duty.(agree:명숙 vs. disagree:윤정)
* In case a certain member is absent, I'll fill her in as head.
Now you have to prepare for the followings:
1. 1 minute opening argument
(You should insist your opinions are right within one minute, for example 'books' are easy to be carried, etc.)
2. 1 minute rebuttal
(You should refute your partner's argument: Books takes a long time to finish it comparing to movies. etc.)
3. 30 second conclusion( Now, just say again what you are trying to say in brief. You don't need to make new things about your topic. Just conclude your opening argument.)
After each debate, the other members should judge who was better.
Losers shoud buy brunch for winners after class.(Don't forget to bring your purse with yourself)
I hope all of you are fully ready for the debate. Don't take it seriouly. Just jot down things which pops up to your mind. On that morning, speak up! That's simple. I'm sure all of you are smart.
Main Quesions
1. The current government are making lots of ways to curb the skyrocking property prices. To my disappointment, no ways don't work well. On the other hand, they make the property market fall in totally chaos. Even though every law has its loopholes or faults, I'd like to ask you to choose one which you think the best way is. Choose the number and explain why you picked it up.
1) impose heavier taxes on multiple home owners(명숙님, please give us some tips for various property taxes on that morning. You are an experpt.)
2) supply more houses
3) make a new house system like Singapore(Singaporeans don't need to worry about buying houses which can be purchased by loans(downpaid for a long period: more than 30years) from government.
4) just let it go until it is going down
5) other things(explain what they are)
2. If you buy or move to another house, what is your priority to choose it?
1) clean air
2) transportation
3) education
4) price
4) other things(???)
3. Everybody wishes we were rich.
There are 20 ways to be rich at the end of the article.
1)What number seems to be the most effective way to you?
2)What number looks unrealistic to you?
3)What number you think you make it a rule in your daily life?
Heavier property taxes considered
In yet another move to rein in real estate speculation, the government and the ruling Uri Party are considering imposing heavier taxes on multiple home owners and people with homes exceeding a certain value.
The government said yesterday it will push to widen the scope of the "comprehensive property tax," a scheme designed to make owners of expensive homes pay heftier ownership taxes.
The comprehensive property tax is currently imposed on people with homes worth 900 million won or more but the government is considering lowering the ceiling to 600 million won.
Under the comprehensive property tax, the core of the government's antispeculation measures, people under the new ceiling would see their ownership taxes double or triple.
Scores of other government measures have failed to halt speculation completely and the comprehensive tax will likely spark criticism from the public and the more market-friendly opposition Grand National Party.
Critics have increasingly been finding fault with the government's real estate policies, saying excessive regulation is killing not only speculative sales but real housing demand. They argue the government should be more focused on expanding housing supply.
"The current property tax is considerably watered down from our original plan because of opposition from the Grand National Party," said ruling Uri Party policy coordinator Won Hye-young. "We will revise rules in order to help the tax system have a real impact on the market."
According to data released yesterday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bout 76,000 homes are estimated to fall under the comprehensive property tax if the threshold is lowered to 600 million won.
If real estate prices continue to rise throughout this year, the number could top more than 100,000 homes, the Construction Ministry said.
At present, about 22,000 homes are under the comprehensive property tax, accounting for only 0.2 percent of the country's home owners.
Along with the push to expand the tax's coverage, the government is also considering removing the current 50 percent ceiling on the tax's annual increase rate.
If the limit, which aims to prevent steep increases in property taxes, is lifted, taxes could rise more than 200 percent a year, analysts said.
For people who own three or more homes in state-designated speculation zones, the government is pushing to impose up to 82.5 percent in capital gains tax, meaning people would pay more than four-fifths of the profit from a housing sale as tax.
Calling these and other moves merely "stop-gap" policies, Kim Eun-hyung, a real estate consultant at Speed Bank, said, "The government seems to have a good intention of stabilizing property prices but its strict policies are not only containing speculation but freezing transactions among people who have real demand. And this results in a shortage of real estate supply, causing prices to rise further in the long term."
"The government's role must be confined to letting market principles work smoothly but now it appears to be making a market structure in which sales are almost impossible," Kim said.
Despite the government's determined efforts to stabilize the housing market, prices continue to rise in many parts of the nation, especially in southern Seoul and adjoining cities, calling into ques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administration's real estate policy.
Among others, housing prices in Bundang on the southeastern outskirts of Seoul soared 6.3 percent in May alone, an annualized rate of more than 70 percent.
Experts warn that if land prices continue to appreciate nationwide, it may cause stagflation in the housing market - a situation where prices rise amid sluggish deals caused by strict regulations.
If stagflation sets in, it will hit the already ailing construction business, delay the recovery of the faltering economy and also increase the risks of a sudden drop in real estates prices, experts said.
"Rather than controlling demand by imposing heavier taxes, the government should focus on increasing supply," Kim said.
FSS mulls added measures to curb housing speculation
Korea's financial regulator said yesterday that it is considering added measures to rein in rising real estate prices in select parts of metropolitan Seoul.
"We intend to closely monitor the impact of the overheated property market in some areas to ensure the soundness of financial institutions," said Yoon Jeung-hyun, head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t a news briefing on the direction of financial supervisory policy for the second half of the year.
He suggested that a sudden and sharp drop in real estate prices could threaten the financial health of banks if a significant amount of mortgages or loans go sour.
He also said that the financial regulator is considering providing tax incentives to prompt 400 trillion won in short-term capital to be invested in non-property related stock.
Yoon's remarks came as the government is grappling with two difficult tasks - bolstering the economy and stabilizing the property market. Instead of pursuing extreme measures such as a rate increase, the economic policymakers have chosen policy options that would not disrupt the nascent economic turnaround.
Bank of Korea Governor Park Seung toned down his hawkish view on the property market at a news conference held after the monthly monetary policy meeting last Thursday. The central bank will watch the effectiveness of the measures implemented by the FSS, he added.
On June 30, the FSS unveiled stricter measures for mortgage risk management aimed to curb speculative home buying. The tougher regulations that went into effect on July 4 ban current mortgage holders from taking out additional loans to buy property in government-designated "speculation zones."
The new rules also limit mortgage amounts offered to an individual. If that does not cool the property market, the regulator may consider limiting mortgages for entire households, he added.
One popular way to get around the regulations has been for property to be purchased by single family members living in the same household. At present, they are considered as acting as a family unit.
"You don't need more than two (homes) for one family if it's not for speculative purposes," Yoon said, explaining the rationale behind the policy options the regulators are looking into.
The nation's outstanding mortgages soared in June, the highest gain in nearly three years, as more people rushed to take out mortgages to finance property purchases, according the central bank.
Mortgages outstanding totaled 179.4 trillion won ($170.9 billion) last month, up 3.1 trillion won from a month earlier, compared to a 2.1 trillion won gain in May.
In a seperate move, Finance Ministry is to unveil measures to stabilize the property market in August.
Yoon also said that the FSS plans to conclude the ongoing investigation into British pension fund Hermes Investment Management over the fund's suspicious trading of Samsung Corp. stock last year and the suspected irregular derivatives trading by a foreign bank by the end of this month.
He defied the criticism that regulations discriminate against domestic financial institutions and favor foreign capital. Some insist that foreign financial firms have more leeway to sell various financial products while local firms need to get approval from the regulator.
In responding to criticism that the nation's conglomerates distort ownership structure while attempting to maintain management control with less than a 2 percent shareholding, he said "there's no magic formula in terms of corporate governance." He believes domestic companies are now catching up with their global peers in terms of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A report on the conglomerates' ownership structure released yesterday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showed that the conglomerates have increased their shares in their financial affiliates to defend their managerial rights mainly from foreign capital.
Last month, three units of Samsung Group - Samsung Life Insurance Co., Samsung Fire & Marine Insurance Co. and Samsung Corp. - asked the nation's highest court to nullify a revision to the Fair Trade Act that went into effect in April. It halves the maximum voting rights of financial units have in affiliates to 15 percent within three years.
The current 30 percent limit applies to stock held by a majority shareholder, his or her family and those who have special relations with senior executives.
The legal battle between the government and Samsung has escalated the tension between the sides over the corporate governance issue in recent weeks. The revamped Fair Trade Act is regarded as a pillar of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s economic policy.
By Kim Jung-min
no
2005.07.13
전문가들도 ■토지공개념■ 이견
(::■개발이익 환수 당연■ vs ■사유재산 규제 부당■::) 정부와 열린우리당이 투기적 성격의 토지 과다 보유에 대해 보유 세를 강화하고 개발이익을 환수하는 토지공개념을 다시 검토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이같은 정부 여당의 방침에 부동산 전문가들도 상반된 의견을 내 놓았다. 일부에서는 토지가 공공적 성격이 강한 만큼 토지공개념 도입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인 반면 다른 전문가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유화된 토지에 대한 각종 규제가 과연 합당하냐■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한국토지공사 토지연구원 이덕복 토지연구소장은 ■지난 89년 도 입된 토지공개념 중 토지초과 이득세 부분이 대표적인 위헌 사례 로 판결난 것은 실현되지 않은 이익에 대해 과세를 했기 때문이 다■며 ■하지만 정부와 여당이 제시한 양도세, 보유세 등은 위 헌과는 상관없다■고 밝혔다. 그는 또 ■개발이익 환수 부분에 대한 논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독일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다 ■며 ■땅을 개발해 들어오는 이익이 있는 만큼 수익자가 개발이 익을 내놓는 것이 당연하다■고 덧붙였다.
삼성경제연구소 박재룡 수석 연구원은 ■개발이익에 대한 환수가 필요하지만 이익을 어떻게 측정하느냐가 쉽지 않다■며 ■토지 가 사적 재화가 아닌 만큼 시장과 잘 조화된 제도가 만들어져 토 지의 공공성이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114 김희선 전무는 ■위헌 판결 등 우여곡절이 많았던 제 도라서 딱 잘라 말하기 어렵다■며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유화 돼 있는 토지에 대해 공개념을 도입한다면 쉽게 받아들일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토지관련 주무부서인 건설교통부는 강력한 이익환수제도 도 입을 기초로 한 토지공개념 안을 검토하고 있다. 건교부 이재영 토지국장은 ■토지 공개념 강화란 토지의 이용, 소유, 처분 등을 강화하는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라며 ■과거 도입했던 토지초 과이득세와 택지초과 소유부담금 등은 위헌 결정이 나 다시 도입 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국장은 ■현재 개발부담금 제를 시행중인데 이 제도만으로는 부동산 값이 안정되지 않아 강 력한 이익환수제도 도입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부동산 업자 : 지금 큰 평수는 물건 아예 없어요. 안 팔고 놔두면 어때요. 놔두고 보유세 내고 있다가 나중에 정권 바뀌고 뭐하면 하면 그때 팔지 뭐.] 급매물로 나온 것들도 10억이 넘는 집값에 호가를 고작 1,2천만원 낮춘 것들이어서 사실상 급매물로 보기 어렵습니다.
다주택자들이 집을 내놓지 않는 이유는 우선 양도세와 세무조사를 피할 방법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부동산 업자 : 이미 작년에 3주택 얘기가 나왔을 때 그때 많이들 돌려놨어요. 그때 친척명의로 돌려 놓든 뭐했든 증여를 했든 다 해놨어요. 심지어 종부세 때문에도 공동명의로 돌려놓고 다 했는데요. 뭐.] 또 3주택자는 양도세가 양도차익의 60%를 넘는만큼 증여가액의 30%가량을 내면 되는 증여세를 내는게 더 나을 때도 있다는 것입니다.
[김경아/세무사 : 대출을 안고 있으면 아파트를 자녀에게 증여하는 경우에는 증여세가 상당히 줄어 양도세보다 덜 부담.] 증여절차는 하루 이틀만에 쉽게 이뤄지기 때문에, 일단 8월말 부동산종합대책이 나올때까지 시간을 벌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또 국세청이 세무조사를 하더라도 조사인력이 부족해 전수조사를 벌이지 못할 것이란 판단도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
오히려 민감한 시기에 매매를 할 경우 국세청의 세무조사 대상으로 오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안명숙/우리은행 부동산 팀장 : 자꾸 단기간에 사고팔고 하는것들이 세원 노출 등 자료로 확보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가만히 있는게 더 낫다고 판단할 수 있다.
] 또 당장 팔려고 해도 살 사람이 나타나지 않아, 일단 두고 보자는 심리도 큰 것으로 보입니다.
[김희선/부동산 114 상무 : 매도자들은 팔면 세금을 더 많이 내야 되는데 딱히 살 사람도 없는데 지금 내놔서 가격을 떨어뜨릴 수도 있는 염려가 있는것 같고..] 양도세를 지나치게 올리다 보니 오히려 매물이 나오는 것을 막고 있다는 지적도 많습니다.
[곽창석/부동산 퍼스트 이사 : 양도세가 탄력세율까지 적용될 경우 82.5%까지 적용되기 때문에 사실 세금이 무서워서 팔고 싶어도 못 파는 상황.] 결국 강남의 부동산 시장은 다음달 나올 부동산 종합대책의 강도와 세무조사가 어느 정도 범위로 확대되느냐에 따라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판교 공영개발하여 집값안정 전기로
[한겨레 2005-07-18 15:21]
[한겨레] 집값 이렇게 잡자 ⑤ 새도시 개발방식 왜곡된 주택공급률 다시 짜 공공기능 회복해야
토지■건물 분리공급 북유럽식모델도 검토가능 얼마전까지만 해도 경기 성남 판교새도시의 아파트 분양권은 수도권 주민들에게 ■부동산판 로또■가 되기에 충분했다. 누구에게나 당첨되면 엄청난 시세차익을 안겨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에 따른 부작용이 분당과 용인지역을 중심으로 이른바 ■판교발 집값 폭등■으로 나타났고,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은 정부는 지난달 판교새도시 택지매각 절차를 전격 중단하기에 이르렀다.
이런 가운데 판교새도시 ■공영개발론■이 떠올랐다. 공영개발이란 공공기관이 택지 조성 및 공급 뿐 아니라 주택 건설 및 분양사업까지 주도하는 방식이다. 공영개발도 방법이 여럿 있다. 어떤 방법을 택하든 판교새도시 개발이 수도권 집값폭등의 도화선에서 집값 안정의 전기로 바뀔 수 있게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공영개발 대 공공개발=공영개발은 일반적인 공영개발과 공공개발로 나눠볼 수 있다. 공영개발은 공공기관이 주택을 직접 지어 분양하거나 임대하는 것을 말한다. 판교에 적용을 해보자면,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공사 , 대한주택공사 , 성남시가 택지를 민간업체한테 매각하지 않고 주택공사, 경기지방공사 등에게 조성원가 이하로 매각해 분양주택과 임대주택을 짓도록 하는 방안이다. 물론 여기서 분양주택 소유권은 개인에게 넘어간다.
공공개발 방식에서는 모든 주택의 소유권을 정부나 공공기관이 갖는다는 게 공영개발과의 차이이다. 즉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주택을 장기임대로만 공급하는 것으로, 싱가포르식 공공주택(99년짜리 임대) 개념을 도입하는 방안이다.
이런 공영개발이나 공공개발 모두 새도시 주택을 소유 개념에서 거주 개념 중심으로 획기적으로 바꿔야 추진이 가능하다. 기존 새도시 택지개발사업의 목적은, 민간 건설업체의 창의성을 살린 다양한 크기의 분양주택 건설을 뼈대로 하고 공공부문에서 곁가지로 임대주택을 공급해 저소득층의 주택수요를 만족시키자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이 경우 분양주택은 투기 대상으로 전락하고 임대주택은 고립, 슬럼화돼 임대주택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재생산되는 등의 악순환이 빚어진 게 현실이다.
그런만큼 정부는 판교새도시 개발을 공영방식으로 전환해 그동안 왜곡된 주택공급정책의 큰틀을 다시 짜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게 시민단체들의 한결같은 요구이다. 경실련 아파트값거품빼기운동본부 김헌동 본부장은 ■우리나라의 택지개발은 형식적으로는 공공기관이 주도하지만 내용적으로는 장사 원리가 지배해 공공기능을 상실한 상태■라며 ■이번 기회에 토지공사와 주택공사가 명확하게 역할을 분담하면서 토지와 주택 건설을 통합한 공영개발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990002%%
북유럽 모델도 검토해볼 만=그렇지만 판교새도시 공영개발을 추진하려면 여러가지 걸림돌도 있다. 특히 이미 토지 보상비로만 2조5500억원을 들인 사업시행자의 재정적 부담이 커지는 게 가장 큰 문제이다. 그렇지만 정부의 의지만 확고하면 방법은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는 게 많은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김광수경제연구소는 최근 발간한 연구보고서에서 국민연금이 판교새도시 공영개발 사업에 투자할 경우 연 5%의 안정적인 장기수익을 내면서 다양한 크기의 영구임대주택을 공급하는 게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국민연금이 판교새도시 영구임대주택 소유자로서, 가령 32평형 임대주택을 월임대료 38만3천원의 가격으로 시장에 공급했을 때 나올 수 있는 수익이 연 5%이다. 이렇게 하더라도 인근 분당지역 32평형 전세금(1억7500만원)보다 저렴해 임대아파트 입주 수요는 충분할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다만 택지 공급가격은 평당 800만원선 이하라야 하며, 택지가격이 평당 900만원이라면 임대료가 높아져 국민연금의 임대아파트 투자사업은 성립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됐다. 김광수 소장은 ■그동안 정부는 수익성 확보가 어렵고 슬럼화의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중대형을 포함한 임대아파트 공영개발에 비관적이었다■며 ■이번 보고서는 판교 사례를 분석해 연기금이 수익성을 확보하면서도 임대아파트 투자가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전면적인 임대아파트 건설보다는 토지와 건물을 분리해 공급하는 북유럽식 공영개발모델이 낫다는 주장도 있다. 토지정의시민연대가 제안한 이 방안은, 토지는 지방정부나 공공기관이 소유하고 주택은 민간업체가 지어 분양하되, 일반주택과 마찬가지로 소유권과 처분권이 자유로운 방식이다. 이렇게 하면 땅값을 제외한 건축비만 주택의 원가가 되므로, 주택 분양값을 시세의 반값 정도로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입주자는 토지 소유자에게 지대(임대료)를 지불해야 한다.
북유럽식 모델 역시 사업자의 재정 부담이 적지 않다. 그렇지만 수십년 뒤에는 땅을 매각하기로 하고 토지채권을 발행하면 사업비 조달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다. 대한주택공사 박헌주 주택도시연구원장은 ■연기금 등이 참여하면 재원조달은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라면서, ■북유럽식 모델은 현실적으로 토지에 대한 소유권 자체가 큰 의미가 없는 아파트 공급에 적합하며, 집값 안정에도 기여도가 큰 방안■이라고 말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
공영개발해도 실수요자 피해미미 청약자력 일부변경■25.7평 이하 보완 필요 판교새도시를 공영개발하면 그동안 판교 분양을 기다려왔던 청약 대기자들의 기회비용 손실과 허탈감은 누가 보상해줄 것이냐는 지적이 있다. 지난 2월 판교새도시 11월 일괄 분양계획이 발표된 이후 다른 곳의 아파트 청약을 미뤄가면서 오로지 판교만 기다려온 실수요자들이 많은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판교새도시에 공영개발 방식이 도입된다고 해도 실수요자들의 판교 내집 마련 기회가 사라지거나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되레 공영개발에 맞춰 판교의 주택 건설 물량을 늘린다면 실수요자들의 입주 기회는 더 확대된다.
공영개발이 이뤄질 경우 판교의 공동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공사, 대한주택공사, 성남시는 공공기관에 아파트용 택지를 매각해야 한다. 이럴 경우 주공은 스스로 주택을 지을 수 있고, 토지공사는 자회사인 한국토지신탁을 주택건설 및 분양사업자로 정하면 된다. 성남시는 주공이나 경기지방공사 등에 택지를 매각해 주택을 짓도록 하면 된다.
이들 공공기관이 주택을 짓게되면 청약자격이 민간업체가 공급할 때와는 조금 달라지지만 큰 혼란이 초래될 정도는 아니다. 전용면적 25.7평 초과 분양주택은 민영아파트와 마찬가지로 그대로 청약예금 가입자가 규모별 예치금액에 따라 신청하면 된다. 즉 판교 주공아파트 40평대는 서울지역 기준 청약예금 1천만원 가입자가 신청할 수 있다.
다만, 전용면적 25.7평 이하는 민간업체가 지을 때는 청약예금이나 청약부금 가입자가 신청할 수 있는데 반해 주공이나 경기지방공사가 짓게 되면 청약저축 가입자로 입주 대상자가 바뀌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25.7평 이하 주택은 일정부분 청약예금 ■청약부금 가입자에게도 공급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임대아파트 청약자격도 기본적으로 분양주택과 마찬가지다. 전용면적 25.7평 초과 중대형 임대주택은 현행 규정으로도 청약예금 가입자에게 청약 우선순위가 있다. 전용면적 25.7평 이하 중소형 임대주택은 분양주택과 마찬가지로 청약예금, 청약부금, 청약저축 가입자 모두에게 기회를 주는 방식으로 보완하는 게 필요하다.
최종훈 기자 << 온라인미디어의 새로운 시작. 인터넷한겨레가 바꿔갑니다. >> ■ 한겨레(http://www.hani.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시민단체 "판교 공영개발" 한목소리>
[연합뉴스 2005-07-15 11:33]
(서울=연합뉴스) 노효동 이승우기자 = 열린우리당은 15일 오전 국회에서 당내 부동산대책기획단(단장 안병엽) 주관으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참여연대, 주거연합, 도시연구소 등 시민단체 관계자들을 초청, 부동산대책 간담회를 가졌다.
시민단체들은 이 자리에서 현 정부의 부동산 실정(失政)을 한목소리로 질타하면서 집값 급등의 진원지로 지목된 판교신도시의 공영개발을 비롯, ■후분양제 ■분양원가 공개 ■보유세 강화 등 강도높은 투기근절 대책을 주문했다.
참여연대 소속 김남근 변호사는 "정부의 투기수요억제 정책과 공급확대 정책이 입체적으로 연계돼있지 못해 부동산정책이 총체적으로 실패했다"며 "8월말 윤곽이 나올 부동산 종합대책이 또 다시 나열식으로 제시된다면 오히려 가격폭등을 부채질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변호사는 투기수요 정책에 대해 "정부의 엄포와 달리 아직 실천되지도 않은데다 내용마저 크게 후퇴하고 변질돼 시장에서는 정권이 바뀌면 흐지부지될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공급확대 정책과 관련, 김 변호사는 "토지보상과 택지정리도 안된 판교를 올 상반기부터 분양하겠다고 서두르는 등 너무 급하게 추진되고 신도시 개발이나 재개발 사업도 곧바로 추진될 것이라는 기대 때문에 투기과열 현상을 일으켰다"고 말했다.
김 변호사는 "판교나 뉴타운 개발은 종합부동산세제 정착과 양도세 실거래가 과세가 정착되는 시점까지 늦추고 분양도 뒤로 미루는 `후분양제'를 도입해야 한다"며 "개발방식도 공공이 택지개발에서 아파트의 분양 내지 임대까지 책임지는 공영개발 방식이 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경실련 아파트값거품빼기운동본부 김헌동 본부장은 "지금껏 정부는 30여년간 소비자중심이 아닌 건설업자인 공급자 위주의 주택정책을 추진해온 탓에 전국 집값이 폭등했다"며 "투기조장형 주택정책을 주거안정형 주택정책으로 전환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이에따라 판교 신도시 등 공공택지는 공영개발을 통해 공공주택으로 확충하고 민간 건설업체의 분양원가를 전면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본부장은 또 ■후분양제 이행 ■선분양시 분양권 전매폐지 ■규제완화형 뉴타운 추진 재검토 ■보유세 강화 ■개발부담금제 재도입 ■주택담보대출 규제의 전국 확대 등을 정책대안으로 제시했다.
[부자가 되기 위해 고쳐야할 작은 생활습관들-CNBC]
[연합인포맥스 2005-07-15 17:03]
(서울=연합인포맥스) 박승영기자= `쉽게 지나칠 수 있는 생활습관들을 조금만고쳐나가면 부자가 될 수 있다' 소비가 미덕인 미국인들에게 저축이란 단어는 어렵게 느껴지지만 작은 생활습관의 변화가 곧 저축이라면 이는 어려운 일이 아니다.
미국의 금융전문매체인 CNBC는 14일자 기획기사를 통해 부자가 되는 작은 변화20가지를 소개했다.
CNBC는 저축이 마음가짐의 문제라고 강조하며 돈을 아끼기 전에 소비를 되돌아볼 것을 주문했다.
매체는 생필품이 없으면 살 수 없다는 고정관념을 버려야만 하며 꼭 사야만 하는 물건을 사기 위해 꺼낸 돈들을 저금해도 생활에는 아무런 불편이 없다고 주장했다.
CNBC는 돈을 '물건을 사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돈을 사는 것'이라고 생각하라며 부자가 되기 위한 작은 변화 20가지를 소개했다.
1. 소비로부터 구원해줄 구세주를 찾아라= 구두쇠 친구를 찾아가 그의 생활을관찰하고 살기 힘든 시절을 보낸 친척어른들에게 당사의 얘기를 들으면 주위의 모든물건들이 사치품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2. 돈을 절약할 아이디어를 얻어라= 인터넷에 '저렴하게 생활하기', '근검절약의 행복' 등을 검색해 고수들의 조언을 참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3. 몸의 편안함을 돈으로 바꿔라= 값싼 음식을 먹고 자동차 대신 자전거를 타라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부끄러움은 마음가짐의 문제이다.
4. 쓸 생각은 물론 볼 생각도 하지마라= 돈은 쓰라고 세상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저축하라고 만들어진 것이므로 월급을 받자마자 보지도 말고 적금통장으로 이체시켜라
5. 채식주의자가 되라= 미국인들이 일주일에 고기를 먹는 횟수를 줄이면 일주일에 25달러를 아낄 수 있고 한 달이면 100달러 1년이면 1천200달러를 아낄 수 있다.
6. 게임을 하라= 주머니에 5달러가 모이면 따로 보관하는 게임을 하라 주머니에잔돈은 쓰기는 쉽고 모으기는 어려운 돈이다.
7. 부수입은 무조건 저금하라= 여름 휴가비 같은 예상에 없던 돈이 생기면 공돈이라는 생각에 쓰기가 쉬우므로 생기는 즉시 저금해야 한다.
8. 팁을 주지 마라= 비행기를 비롯한 호텔, 식당 등에서 의례 그런 것처럼 팁을주지만 이 역시 불필요한 지출이다.
9. 모든 것을 돈으로 환산해라= 한번 식당에서 저녁을 먹을 돈으로 일주일 내내식료품점에서 음식을 살 수 있다. 한번의 식사, 한번의 지출이라고 생각하지 말고정확하게 금액으로 얼마인지 환산해야 한다.
10. 소득공제는 철저히 해라= 세상에 세금을 적정하게 내는 사람은 없다. 항상연초의 소득공제를 통해 '적정한 세금'을 내야한다. 소득공제는 국가에서 주는 것이아니라 내가 더 낸 것을 가져오는 것이다.
11. 보험공제= 보험은 더욱 지나치기 쉬우므로 명심하고 있다가 공제를 받아야한다.
12. 대출금리를 갈아타라= 어느 금융기관이 더 낮은 모기지금리를 제공하는지 꾸준히 모니터링하면서 더 낮은 금리로 재 금융을 해야한다.
13. 쇼핑 카탈로그는 보지도 말고 버려라= 매일 집으로 배달되는 쇼핑 카탈로그는 특히 여성들의 불필요한 소비를 자극하므로 카탈로그는 집안에 들여놓아서는 안된다.
14. 불필요한 수수료를 지불하지 말아라= 자동현금인출기(ATM)에서 돈을 찾을 때마다 지불하는 1.50달러는 은행 영업시에 인출하면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돈이다.
비디오 연체료도 대표적인 예로, 기간 안에 못볼 것 같으면 빌려선 안된다.
15. 옷을 깨끗이 입어라= 실수로 흘린 커피방울 때문에 옷을 빨아야 하는 경우가종종 생긴다. 옷을 빨면 수도요금과 전기요금만 생각하기 쉽지만 세재와 각종 첨가제도 돈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16. 주면 받아라= 옆집 여자의 자동차를 고쳐주었다면 집 욕실 청소를 시켜 돈을절약할 수 있다.
17. 저축원금을 늘려 이율을 높여라= 특정액수에 따라 이자율이 달라지는 상품이많으므로 원금을 계속 늘린다면 이자를 늘릴 수 있다.
18. 전화요금을 꼼꼼히 비교해라= 각 전화회사마다 거리에 따라 책정하는 요금이다르므로 거리별로 꼼꼼히 비교, 가장 저렴한 회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19. 애완동물은 돈 잡아먹는 기계= 개를 키운다고 가정해보면 밥을 줘야하고 씻겨줘야 하고 데리고 산책하는 데에 필요한 기구를 사야한다 개는 의료보험도 되지않는다.
20. 무조건 깎아라= 세상에 적정한 가격은 없다. 온라인 상의 가격비교 사이트를통해 가장 낮은 가격에 파는 곳에서 물건을 사는 것은 물론이고 어떤 상황에서도 가격을 깎을 준비를 해야 한다. 세상에 정가제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