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 (千字文) 22 _ 知過必改 得能莫忘
지과필개 득능막망
知過必改 得能莫忘
<知 알 지 / 過 지날 과 / 必 반드시 필 / 改 고칠 개
得 얻을 득 / 能 능할 능 / 莫 없을 막 / 忘 잊을 망>
허물(過)을 알면(知) 반드시(必) 고치며(改),
능함(能)을 얻으면(得) 잊지(忘) 말라(莫).
▶ 한자공부
知 : 입 구口와 화살 시矢가 결합. 알고 있으면 화살처럼 말이 빨리 나간다는 '알다'.
過 : 쉬엄쉬엄갈 착辶과 가를 과咼가 결합. 길을 가르며 간다는 '지나다'에서 '허물'로 확대.
①지나다.초월하다 (과거過去), ②남다.많다(과부족過不足), ③심하다,너무하다(과로過勞) ④ 실수.죄.허물(과실過失),禍(불행 화)
必 : 여덟 팔八(팔→필, 나눔)과 주살 익弋(말뚝)이 결합. 말뚝을 세워 경계를 ‘반드시’ 나눈다.
改 : 칠 복攵(회초리로 치다)와 몸 기己(기→개)가 결합. 회초리로 아이를 훈육하는 '고치다'.
得 : 조금걸을 척彳(동작), 조개 패貝(화폐), 마디 촌寸(손)이 결합. 돈이나 물품을 손에 넣어 챙기는 모습 '얻다'.
能 : 본래 '곰'의 모습에서 '재능.능력' 곰 웅熊.
莫 : 초원에 해가 지는 모양 '저물다'에서 '없다'. 저물 모暮.
忘 : 마음 심心과 망할 망亡(없어지다). 마음이 없어진다는 데서 '잊다'.
▶ 해설
배우는 사람이 반드시 갖춰야 할 덕목으로서 자기의 허물을 알면 반드시 고칠 것이며, 배워 얻은 재량은 이를 잊지 아니하고 나날이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뜻이다.
논어 학이 편에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 (過則勿憚改.과즉물탄개)"라 했다.
논어 자장편에서 “날마다 잃어버린 것(본성)을 알고, 달마다 잘할 수 있는 것을(옳은 일, 장점)을 잊지 않고 실천하면, 배우는 것을 좋아한다고 할 만하다 (日知其所亡 月無忘其所能 可謂好學也已矣.일지기소망 월무망기소능 가위호학야이)”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