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정(金世正,[2] 1996년 8월 28일~)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1996년 8월 28일
대한민국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학력
안양부흥초등학교(졸업)
호계중학교 (졸업)
인덕원고등학교 (졸업)
한양여자대학교 실용음악과 전문학사 (졸업)
김세정556
126, 知道(지도)莫影[막영]却來問誰(각래문수)
길이 그림자가 없는데 무얼 와서 내게 묻는가
125, 旣知如此何必如此(기지여차하필여차)
이미 이러함을 알았는데 하필 이같이 하려 들것인가?
金世正855
210, 誰說有成(수설유성)
누구 말이 이룸이 있을 건가
210
126
121, 於心難忍於心難安(어심난인어심난안) [그 어떤일이 의심나는 일이다 이렇게도 해석이 된다]
마음에참기 어렵고 마음에 편안하기 어렵다
120, 精衛御石柱勞心抗(정위어석주노심항)
정성껏 호위하던 주춧돌이 고달픈 마음에 항거 하고자한다
공
*
공주신분 염제 신농씨의 딸 동해왕자를 사랑한 로미와 줄리엣이라 한다
1996년 8월 28일 년 걸, 월 모, 일십단위 도 홑단위 걸 , 윷가락이 상당히 좋다
년월이 좋게 이어지는 모습 일진과 월사이 약간 살이 성립 되는 모습
時 日 月 年 胎
庚 丁 丙 丙 丁 (坤命 29세, 만28세3개월)
子 酉 申 子 亥 (공망:辰巳,申酉)
월(月)은 인오술(寅午戌) 화국(火局) 역마(驛馬)인데 이에 대한 일지(日支)는 육해(六害)살(殺)이 된다 간(干)비겁(比劫) 그러니깐 또래에 의지하고 있는 모습인데 재관(財官)궁(宮)이 좋은 것을 상징한다
동료(同僚)와 같이 무대에 올라선 록마귀(祿馬貴)를 취한다는 취지 혼자 독단적으로하는 것보단 역할 분담 난눠먹기 하듯 동료와 같이 하는 것이 유리하다
풍수는 남쪽에 물이 있어선 역시계로 돌아가야 한다는 취지다
77 67 57 47 37 27 17 7
戊 己 庚 辛 壬 癸 甲 乙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대정수 : 2099
육효 : 215
부귀지상(富貴之象) 코주부 마부(馬夫)가 켁켁할 정도다 하초(下焦)가 힘이 세다 하는 취지 강화 화문석이든지 왕골 자리가 휑하니 뚫필 판 이라는 것 현륙(莧陸)쾌쾌(夬夬)이다 독식하지 말고 동업자와 나눠 먹기 해라 상 거래에 동료 잇속 차려주는 속에 내 잇권도 보장 된다는 것 혼자 먹으려 듦음 지탄 칼부림 난다는 것 재관(財官)형성이 비겁(比劫)과 나눠 먹게 생겨있는 모습으로 구성된 것
九五. 莧陸. 夬夬中行 无咎. 象曰. 中行无咎 中未光也.
六五. 喪羊于易 无悔. 象曰. 喪羊于易 位不當也.
99경기장에 스타이면 현룡재전 이견대인이고 무대에 스타이면 비룡재천 이견대인이라 하는 취지 이견대인은 관중을 말하는 것
九二 見龍在田 利見大人
九五 飛龍在天 利見大人
준비 없고 자질 부족함 로데오 마 탄 것 같아선 야유등 뒤흔들어 추락 시킨다는 것 피나는 노력 끝에 무대에 올라야지 제대로 그 역량을 발휘하여선 관중이 그 재능 인정 호응을 제대로 얻게 되는 거다
六五. 厥孚交如 威如吉. 象曰. 厥孚交如 信以發志也. 威如之吉 易而无備也.
*
09六五. 豶豕之牙. 吉. 象曰. 六五之吉 有慶也.
九五. 有孚孿如 富以其鄰. 象曰. 有孚孿如 不獨富也.
풍부한 기량을 갖고선 목말라 하는 관중 팬들을 흡족 하게 한다는 취지 ,
20九五. 咸其脢. 无悔. 象曰. 咸其脢 志末也. 재능 실력발휘
六五. 密雲不雨 自我西郊. 公弋取彼在穴. 象曰. 密雲不雨 已上也.
상관(傷官)상진(傷盡)이라고 여한 없는 실력발휘는 비온후 안개걷히는 것 같고 우후죽순(雨後竹筍)이고 단단한 터전을 만드는 것 비온 후에 땅이 다져진다는 것 실력을 발휘하여선 관중 팬들 마음 사로잡아 인정받음 그 삶을 반석(磐石)위에 올려놓는 것 아닌가 그런 인생 연극 주제가 된다는 거다 누구에게나 다 해당하는 말씀 특히 인기를 먹고 사는 업종에 종사 하는 자들은 더 그런거다 안개 걷히는 것 이항야(已亢也) 사항야(巳亢也)=사상야(巳上也)라고 팬들을 현란하게 매료 시켜선 훌린[후려치다의 주린말] 화사(花蛇)대우 인기 스타 대우를 받는 것 이다 그러니 그 효사(爻辭)를 어떻게 적응해 잘 이해를 할 것인가 따라선 나쁜 말 같아도 다 좋게 보이는 거다
密雲不雨 自我西郊. 연기공연을 멋지게 펼쳤었다
公弋取彼在穴. 관중을 매료시켰다
象曰. 密雲不雨 已上也. 관중을 흡족하게한 인기스타다
교련(巧連)
164, 不揣其本而(불췌기본이)齊其末(제기말)雖濟燃眉恐有後慮(수제연미공유후려)
그 근본을 가지런히 아니하고 그 끝만 맞추려 든다면 비록 다스려진 것의 타는듯한 아름다움이 白眉(백미)의 재주를 갖췄더라도 뒷 염려가 있을 가 두렵 고나 맹자 말씀 방촌지목으로도 긴거와 나란히 할 수가 있다 한다 이말씀대로 활용하는 것은 레파토리 궁상각치우 도레미파솔라라시도 칭아진 것을 말하는 것 인디오 들 피리 악기가 그렇게 생겨 먹었지 피리통이 끝은 가즈런하고 그 반대는 비례적으로 내려 오는 것 음률 차등이 생성된다
164
121성명
285
70, 瓊漿潤口玉露滋心(경장윤구옥로자심)
단미음은 입을 윤택하게 하고 옥같은 이슬은 마음을 푸근하게 적시네
이렇게 될려면
끝자가 한획이 줄 것 이므로 그런 이치를 잘 활용한다면
엔터테이먼트 기획 둥지에 또래가 모여들어선 악어와 악어새 벌꿀 오소리와 벌꿀 길잡이 새 공생관계 유지하는 것을 상징 한다
누이 좋고 매부 좋고다
운명 점지하는 말씀을 어떻 게잘 사용 적용하고 운영하는데 따라서 좋고 나쁨등이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거지
69, 維鵲有巢維鳩居之(유작유소유구거지)
까치가 보금자리를 틀음에 비둘기라 하는 넘이 오히려 거주 하려 드는고나
작소구거(鵲巢鳩居)
[요약] (鵲: 까치 작. 巢: 집 소. 鳩: 비둘기 구. 居: 있을 거)
비둘기가 까치의 집을 차지 한다는 뜻으로,
옛날 독립적인 생활 능력을 가지 못한 여자가 결혼하여 남편의 집으로 가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사람의 물건(物件)이나 업적(業績)을 무리하게 빼앗아 버림을 비유 함[동어] 작소구점(鵲巢鳩占). 구점작소(鳩占鵲巢). 구거작소(鳩居鵲巢). 구탈작소(鳩奪鵲巢).
[출전]《시경(詩經) 소남(召南) 작소(鵲巢)》
[내용] 시집가는 여자를 노래한 시이다. 까치집으로 묘사된 남편의 집과 비둘기로 묘사된 여인의 만남이 풍요롭게 그려져 있다. 다음은 시의 전체이다.
鵲巢(작소)
維鵲有巢 維鳩居之 까치가 둥지 지으면 비둘기 들어와 함께 살게 되듯
유작유소 유구거지
之子于歸 百兩御之 저 아가씨 시집가는 날 수 많은 수레 마중하네.
지자우귀 백량어지
維鵲有巢 維鳩方之 까치가 둥지 지으면 비둘기 들어와 차지하듯
유작유소 유구방지
之子于歸 百兩將之 저 아가씨 시집가는 날 수 많은 수레 배웅하네.
지자우귀 백량장지
維鵲有巢 維鳩盈之 까치가 둥지 지으면 비둘기 들어와 둥지가 꽉 차듯
유작유소 유구영지
之子于歸 百兩成之 저 아가씨 시집가는 날 수 많은 수레로 일을 이루었네.
지자우귀 백량성지
** 陝西省 渭水의 북쪽에는 召라는 땅이 있고, 이 곳은 주무왕(주나라를 세운 왕)의 친척이요
공신인 姬奭에게 주어져, 그는 소공(召公)이라고 불리었다. 이 소공의 가르침이 위수 남방(召南)에 미쳐 이런 노래들이 불려진 것이라고 전해 온다.
** 시집갈 때 수레 백 채가 따랐다는 것은 귀족계급의 혼인을 뜻하는 것 같고, 같은 말이 반복되는 것을 보면 민중에게 널리 애창되었음을 말하는 것 같다.
鵲巢鳩居(작소구거)
[字解]
鵲(까치 작)
巢(집 소)
鳩(비둘기 구)
居(있을 거)
[意義]
까치집에 비둘기가 산다는 뜻으로, ① 남의 집에 들어가서 주인 행세를 한다는 말. ② 남의 지위(地位)를 차지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出典]
詩經(시경) 召南(소남) 鵲巢(작소)
[解義]
詩經(시경) 國風(국풍) 召南(소남)의 鵲巢(작소)는 시집가는 여자를 노래한 시이다.
까치집으로 묘사된 남편의 집과 비둘기로 묘사된 여인의 만남이 풍요롭게 그려져 있다. 다음은 시의 전체이다.
維鵲有巢 維鳩居之 之子于歸 百兩御之(유작유소 유구거지 지자우귀 백량어지)
維鵲有巢 維鳩方之 之子于歸 百兩將之(유작유소 유구방지 지자우귀 백량장지)
維鵲有巢 維鳩盈之 之子于歸 百兩成之(유작유소 유구영지 지자우귀 백량성지)
維鵲(유작) : 維는 발어사(發語辭). 작은 까치
百兩(백량) : 많은 수레.
御(어) : 마중하다. 영접하다.
方(방) : 有(유)와 같으며 차지하여 가지는 것.
將(장) : 배웅하다.
成(성) : (결혼이)완전히 이루어지는 것.
까치가 둥지 지으면 비둘기 들어와 함께 살게 되듯
저 아가씨 시집가는 날 수 많은 수레 마중하네.
까치가 둥지 지으면 비둘기 들어와 차지하듯
저 아가씨 시집가는 날 수 많은 수레 배웅하네.
까치가 둥지 지으면 비둘기 들어와 둥지가 꽉 차듯
저 아가씨 시집가는 날 수 많은 수레가 따라가네.
維鵲有巢 維鳩居之(유작유소 유구방지)는 비둘기의 습성(에 대한 옛사람들의 인식)을 알아야 이해할 수 있다.
옛사람들은 비둘기는 집을 짓지 않고 다른 새가 지어 놓은 둥지를 가로채서 서식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실은, 비둘기도 스스로 둥지를 트는데, 둥지를 짓는 장소는 수컷이 정하고 재료를 나르면 암컷이 집을 짓는다.]
독립적인 생활 능력을 가지지 못한 여자가 결혼하여 남편의 집으로 가는 것이 마치 비둘기가 까치의 집을 차지해버리는 것과 같다는 의미에서 '다른 사람의 물건(物件)이나 업적(業績)을 무리하게 빼앗아 버림'을 비유하게 되었다.
[同意語]
鵲巢鳩占(작소구점). 鳩占鵲巢(구점작소). 鳩居鵲巢(구거작소). 鳩奪鵲巢(구탈작소).
*
일지 유자(酉子)파(破)형성(形成)이지만 자유(子酉) 귀문관살(鬼門關殺) 상량(上梁)대(臺) 귀한 신분 공주이지 그러니 염제(拈提) 신농씨 딸 정위가 확실하다는 거지
120, 精衛御石柱勞心抗(정위어석주노심항)
정성껏 호위하던 주춧돌이 고달픈 마음에 항거 하고자한다
*
精卫,古代神话中所记载的一种鸟,相传是炎帝的少女,由于在东海中溺水而死,所以死后化身为鸟,名叫精卫,常常到西山衔木石以填东海。
고대 신화에 기록된 새인 정위는 염제의 소녀로 전해지며 동해에서 익사했기 때문에 죽은 후 새가 되어 정위라는 이름으로 서산에 가서 목석을 물어 동해를 채우곤 했습니다
*
精卫衔石填海
精卫,古代神话中所记载的一种鸟,相传是炎帝的少女,由于在东海中溺水而死,所以死后化身为鸟,名叫精卫,常衔木石,投到海里,一心想把东海填平的故事。表现古代劳动人民探索自然、征服自然、改造自然的强烈愿望...
정위함석매립
정위(精衛)는 고대 신화에 나오는 새의 일종으로 염제의 소녀로 전해지는데, 동해에서 물에 빠져 죽었기 때문에 죽은 후 새가 되어 정위(精衛)라는 이름으로 자주 목석을 달고 바다에 던져 동해를 메우려고 하는 이야기입니다. 자연을 탐험하고 정복하며 자연을 개조하려는 고대 노동자들의 열망을 표현한 것 ..
염제 여식이 동해 왕자를 사랑했다는 취지다 동해왕자가 염제의 부마도위(駙馬都尉)가 되는 것 포석정(鮑石亭) 주상절리 모두 석주(石柱) 기둥이다
옹녀가 되어선 변강쇠 만들어줬다 이런뜻도 되고
勞心抗=자연을 탐험하고 정복하며 자연을 개조하려는 고대 노동자들의 열망을 표현한 것 .. 이런 번역을 이해들을 잘해야 한다
남물 연장이 석주처럼 단단해지면 자연적 ‘ㄴ’ 니은자 처럼 발기 되고선 알사탕 처럼 생겨먹은 제주도 하루방 모자를 쓰게 되는 거다 양양출신 강서 구청장한 김태우가 그 송이 풍수 아닌가
그래선 함기매(咸其脢) 말야(末也)라고 하잖아
만경평야가 농자지 천하지 대본 신농씨(神農氏) 근본(根本)이다
이것뭐 이강사의 주장 뇌피설이라 할른지 모르지만 그렇게 치부할 것만 아니다 역을 광범위 하게 적용한다면 무슨 말은 인용한다해도 다뜻이 통하게 되는 거다
*
신록재유(辛祿在酉) 병신(丙辛)합수(合水) 작용이 일어난 것 같다 북에 강물이 역시계로 흘러간다 남쪽에도 저수지가 있고 ...
양양군 김태우 풍수
송이 남물이 사정(射精)하는 모습 함기매 말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