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례용어(葬禮用語) ☆
◎ 가첨석(加添石) : 비석을 세우고 그 비석 위에 지붕 모양처럼 만든 돌
◎ 개장(改裝) : 매장한 사체. 유골을 다른 분묘 또는 봉안시설에 옮기거나 다시 화장.
자연장으로 하는 것
◎ 개장유골(改葬遺骨) : 시신을 매장한 이후 개장할 때 수습한 뼈
◎ 결관(結棺) : 영구(靈柩)를 운반하기 편하도록 묶는 일
◎ 고복(皐復) : 고인의 소생을 바라는 마음에서 시신을 떠난 혼을 불러 들이는 것
◎ 고인(故人) : 장례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죽은 이에 대하여 높여 부르는 말
◎ 관(棺) : 시신을 담아서 장지까지 운반(운구)하는 상자
◎ 관보(棺保) : 관을 덮는 흰색 천
◎ 구(具) : 입관이 끝난 뒤 관을 부르는 명칭
◎ 구지 :장례 행렬이 묘지에 도착해서 치르는 일
◎ 권시 : 시신이나 뼈를 유실하지 않기 위해 뼈를 싸는 것
◎ 권포 : 이장할 때나 개장할 때 시신이나 뼈를 싸는 포
◎ 궤연(几筵) : 주상이 상복을 입는 기간 동안영좌를 모시는 장소
◎ 굴건(屈巾) : 상주가 머리에 쓰는 베로 만든 건, 두건 위에 쓰는 것
◎ 굴건제복(屈巾祭服) : 전통적인 상복
◎ 근조(謹弔) : 초상을 마음껏 애도한다는 뜻
◎ 금침(衾枕) : 시신의 머리를 편하게 하는 베개
◎ 기일(忌日) : 1년 단위로 고인이 돌아가신 날
◎ 기제사(忌祭祀) :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기일(忌日)이라고 하는데 대상(大祥)을
지낸 일 년 후부터 매년 이날 지내는 제사
◎ 기중(忌中) : 상중(喪中)임을 알리기 위해 상가의 대문이나 상주가경영하는 점포의
문 앞에 붙여 놓는 안내표
◎ 납골(納骨) : 화장유골 또는 개장유골을 납골시설에 안치하는 일
◎ 납골당(納骨堂) : 화장한 유골을 안치하는 장소
◎ 노제(路祭) : 상여로 운구할 때 묘지까지 가는 도중에 길가에서 지내는 제사
◎ 담제(禫祭) : 대상 후 석 달 안에 지내는 제사
◎ 대기(大朞) : 죽은 지 두 돌 되는 제사, 같은 말 대상(大祥)
◎ 대렴(大殮) : 상례에서 소렴이 끝난 후 시신을 묶어서 관에 넣는 의식
◎ 두건(頭巾) : 상복을 입을 때 머리에 쓰는 건
◎ 망건(網巾) : 상주사 상투를 틀 때 머리카락을 싸는 것
◎ 만장(輓章) : 고인을 슬퍼하여 쓰는 글 , 장사 지낼 때 비단이나 천에 적어서 깃발로 만듦
◎ 매장(매장) : 시체(임신 4개월 이후의 죽은 태아 포함)를 땅에 묻어 장사하는 것
◎ 멱목(幎目) : 시신의 얼굴을 덮는 천
◎ 면모악수(面帽握手) : 시신의 얼굴을 싸서 손톱을 깎아 담는 주머니를 손에 쥐어주고 감아주는 장갑
◎ 멸절 : 불교에서 말하는 죽음
◎ 명당(明堂) : 풍수지리적으로 볼 때 무덤으로 쓰면 가장 좋은 땅
◎ 명정(銘旌) : 고인의 관직이나 본관, 관직, 성명등을 쓴 붉은 색 깃발
◎ 목관(木棺) : 나무로 만든 시신을 넣는 상자
◎ 묘제(墓祭) : 무덤에서 드리는 제사
◎ 묘지(墓地) : 분묘를 설치하는 구역
◎ 문상(問喪) :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족을 위로하는 일
◎ 문상객(問喪客) :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족을 위로하러 온 사람
◎ 반함(飯含) : 염슴할 때 고인의 입에 쌀이나 동전 또는 구슬 등을 넣는 의식
◎ 발인(發靷) : 상가 또는 장례식장에서 영구를 운구하여장지로 떠나는 일
◎ 발인제(발인제) : 상여가 집에서 떠나기 바로 전에 상여 앞에 차려 놓고 지내는 제사
◎ 보공(補空) : 시신이 움직이지 않도록 관의 빈 곳을 채우는 일
◎ 복건(幅巾) : 시신의 머리에 씌우는 건
◎ 복상(服喪) : 상복을 입는다는 말
◎ 복인(服人) : 고인과의 친인척 관계에 따라 상복을 입어야 하는 사람들
◎ 봉분(封墳) : 무덤을 둥글고 높게 만든 흙더미
◎ 봉안(奉安) : 유골을 봉안시설에 안치하는 것
◎ 봉안당(奉安堂) : 시신을 화장한 후 유골을 모셔 두는
◎ 봉안묘(奉安墓) : 분묘의 형태로 된 봉안시설
◎ 봉안시설(奉安施設) : 봉안묘, 봉안당, 봉안탑 등 유골을 안치(매장은 제외)하는 시설
◎ 봉안탑(奉安塔) : 탑의 형태로 된 봉안시설
◎ 부고(訃告) : 고인의 죽음을 알리는 것
◎ 부의(賻儀) : 초상집에 부조를 보내는 위로금
◎ 부의록(賻儀錄) : 문상객들의 이름과 부의금을 기록한 명부
◎ 분골(粉骨) : 화장한 유골을 분골기로갈아 분말 형태로 만드는 행위
◎ 분골장(粉骨葬) : 분골한 미세한 가루를 자연에 돌려주는 형태의 장례방법
◎ 분묘(墳墓) : 시체나 유골을 매장하는 시설
◎ 비신(碑身) : 비석
◎ 빈소(殯所) : 문상객의 문상을 받기 위하여 고인의 영정을 모셔 놓은 장소
◎ 사망진단서(死亡診斷書) : 의사가 사람의 사망을 의학적으로 증명할 때의 작성하는 문서
◎ 사체검안서(死體檢案書) : 의사의 치료를 받지 아니하고 사망한 사체를 살펴서 의사가 사인(死因)을
의학적으로 검증하여 사망을 확인하는 증명서
◎ 삭망(朔望) :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상식보다 낫게 상을 차려 올리는 것
◎ 산골(散骨) : 화장한 유골을 분골하여 산골시설에 뿌리는 장례법
◎ 삼우제(三虞祭) : 장례를 치른 후 3일째가 되는 날 지내는 제사로 첫번째의 성묘
◎ 삼일장(三日葬) : 운명한 지 3일 만에 장례를 치르는 예식
◎ 상가(喪家) : 장례를 치르는 장소로 상을 당한 자택이나 장례식장
◎ 상복(喪服) : 상주가 입는 옷
◎ 상석(床石) : 무덤 앞에 있는 제물에 놓는 돌
◎ 상식(上食) : 고인이 생시에 식사하듯 빈소에 올리는 음식
◎ 상장(喪杖) : 상주 또는 복인이 짚는 지팡이
◎ 상장(上章) : 양복 형태의 상복을 입을 때 가슴에 부착하는 리본
◎ 상주(喪主) : 장례를 주관하는 사람으로 고인의 자손
◎ 석관(石棺) : 돌로 만든 관
◎ 성묘(省墓) : 무덤을 찾아 가는 것
◎ 성복(成服) : 초상이 나서 처음으로 상복을 입음
◎ 성복제(成服祭) : 초상이 나서 처음으로 상복을 입을 때에 차리는 제사
◎ 성분(成墳) : 시신을 하관하여 봉분을 만드는 것
◎ 소기(小朞) : 죽은 지 한 돌이 되는 제사
◎ 소렴(小殮) : 상례 절차에서 반함이 끝난 후 시신에 수의를 입히는 일
◎ 소상(小祥) : 초상을 치른 후 만 1년이 되는 날에 드리는 제사
◎ 소천(召天) :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돌아가셨다는 뜻
◎ 소향(燒香) : 향을 태우며 추모하는 것
◎ 속광(属纊) : 마지막 숨을 거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솜을 코앞에 놓고 지켜보는 것
◎ 속포 : 시신을 묶는 것
◎ 속절(俗節) : 명절 때를 비롯한 제살날 외에 차례를 지내는 날
◎ 수목장(樹木葬) : 산림자원의 조성 및관리 법률에 따른 산림에 조성하는 자연장지
◎ 수시(收屍) : 시신이 굳어지기 전에 팔과 다리 등을 가지런히 하는 행위
◎ 수의(壽衣) : 시신에게 입히는 옷
◎ 습골(拾骨) : 화장 후 유골을 유골 용기 또는 분골 용기에 담아 수습하는 행위
◎ 습신 : 시신에게 신기는 신발
◎ 승화원 : 화장장, 연화장
◎ 시신(屍身) : 죽은 사람의 몸체를 높여 부르는 말
◎ 신주(神主) : 죽은 사람의 이름을 적어 놓은 나무판(위패)
◎ 악수(幄手) : 시신의 손을 싸는 손 싸게
◎ 안치(安置) : 시신의 부패와 세균번식 등을 막기 위하여 냉장시설에 시신을 모시는 것
◎ 안치실(安置室) : 시신의 부패와 세군번식등을 막기 위해 시신보관용 냉장시설을 갖춘 장소
◎ 염습(殮襲) : 시신을 목욕 시켜 수의를 입히고 입관하는 일
◎ 염습실(殮襲室) : 시신을 목욕 시키고 수의를 입히고 입관하는 장소
◎ 영구(靈柩) : 시신이 들어있는 관
◎ 영구차(靈柩車) : 영구를 운반하는 자동차
◎ 영정(影幀) : 고인을 상징하는 초상화 또는 사진
◎ 예단(禮緞) : 청실(남자) 과 홍실(여)로 만들어 이승을 결별하고 저승과의 결연을 의미하는 비단제품
◎ 완장(腕章) : 두루마기 대용으로 왼쪽 팔에 차며 상주와 복인의 표시로 검은 줄을 넣음
◎ 운구(運柩) : 영구를 화장장이나 장지로 운반하는 절차
◎ 운명(殞命) : 숨을 거두는 것
◎ 위패(位牌) : 죽은 사람의 이름을 적은 나무패
◎ 유골(遺骨) : 죽은 사람의 뼈
◎ 유족(遺族) : 고인과 친인척 관계에 있는 사람
◎ 유족참관실(遺族參觀室) : 염습할 때 유족이 참관하는 장소
◎ 이장(移葬) : 이미 매장한 시신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장례로 개장(改葬)이라고도 한다
◎ 임종(臨終) : 운명하는 순간을 지켜보는 것
◎ 입관(入棺) : 시신을 관에 모시는 일
◎ 자연장(自然葬) :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수목, 화초, 잔디등의 밑이나 주변에 묻는 것
◎ 자연장지(自然葬地) : 자연장으로장사할 수 있는 구역
◎ 장례(葬禮) : 죽음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행해지는 일련의 의례
◎ 장례식장(葬禮式場) : 장례의식을 행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장소
◎ 장례용품전시실 (葬禮用品展示室) : 유족이 직접 장례용품을 확인하고 구입할 수 있도록
전시, 판매하는 장소
◎ 장사(葬事) : 시신을 매장하거나 화장하는 등의 시신을 처리하는 일련의 행위
◎ 장사시설(葬事施設) : 묘지, 화장시설, 봉안시설, 자연장지, 장례식장
◎ 장지(葬地) : 시신을 매장 또는 화장하여 납골하는 장소
◎ 접객실(接客室) : 문상객을 대접하기 위한 장소
◎ 조등(弔燈) : 상가(喪家)임을 표시하기 위하여 거는 등(燈)
◎ 조발낭(爪髮囊) : 시신을 목욕 시킬 때 빠진 머리카락, 손톱, 발톱 등을 넣는 작은 주머니
◎ 지금(地衾) : 시신 밑에 까는 겹 이불
◎ 천금(天衾) : 시신을 덮는 이불
◎ 초상(初喪) : 사람이 죽어서 장사 지낼 때까지를 말함
◎ 초석(草席) : 충해(蟲害)가 없다는 야생초를 건조해 여러 묶음으로 만든 것
◎ 추도(追悼) : 고인을 생각하며 슬퍼한다는 뜻
◎ 충이(充耳) : 시신의 귀를 막는 솜뭉치로 된 귀마개
◎ 칠성판(七星板) : 시신을 받치기 위해 관 바닥에 놓는 널판지
◎ 평토(平土) : 관을 매장하고 유족과 조객들이 흙을 뿌려 땅을 매우는 일
◎ 평토제(平土祭) : 장례 의식에서 평토를 끝내고 나서 드리는 제사
◎ 한지(漢紙) : 일명 염습지라고도 하며 시신의 결박이나 입관 전후 사용
◎ 합장(合葬) : 부부의 시신을 같이 매장하는 장례
◎ 호상(好喪) : 장수하다 돌아 가신 것
◎ 호상(護喪) : 장례에 관한 모든 일을 맡아서 진행하는 사람, 친족이나 친지중에서
상례에 밝고 경험이 많은 사람으로 정한다. 호상은 부고와 장례에 관한
안내. 연락, 조객록, 사망신고. 매장(화장)허가 신청 등을 맡아서 처리한다.
◎ 혼백(魂帛) : 고인 영혼을 상징하기 위해 빈소에 모시는 삼베나 명주로 접어서 만든 패
◎ 효건(孝巾) : 복인이 머리에 쓰는 건
◎ 화장(火葬) : 사체나 유골을 불에 태워 장사하는 것
◎ 화장시설(火葬施設) : 시체나 유골을 화장하기 위한 시설
◎ 화장유골(火葬遺骨) : 영구를 화장한 후 남는 뼈
◎ 횡대(橫帶) : 매장할 때 영구 위에 흙이 직접 닿지 않도록 덮는 나무토막 혹은 널판지
♣ 알려 드립니다 ♣
나에 인생길 든든한 버티목이 되었던 사랑했던 가족을
멀리 보낼 수 밖에 없는 슬픔에 젖어 있다 장례를 당하다 보면 당황들을 하셔서
무엇부터 해야 할지를 모르는 분들을 위해 무료상담을 해 드립니다.
① 가족들에 맞는 장례식장을 선택. 최대할인과 최대 서비스로 진행을 해 드립니다.
② 가족장례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치르도록 도와 드리겠습니다
③ 무빈소 발인은 최소금액으로 리무진 발인으로 마지막을 지켜 드리겠습니다.
※ 무료상담 ( 광주광역시 장례식장 50%할인. 무빈소장례 최대할인가격 .자연장. 추모관. 묘이장 )
☎ 정 해영 ( 010 7540 8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