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1년간 때렸는데...집값, 아직도 불안한 이유" (14:05)
https://youtu.be/sDxTWX2H9ug?list=PLQiukcb0I71ebQ0q3oflT-oWIS0OEP91u
공적임대주택을 5년에 100만호를 건립한다는 무리한 정책이다. 가격안정화 대책도 공약을 지킨다는 이유로 밀어 부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과도한 규제 일변도 정책을 써 시장자율화에 위배되는 경향이 있다. 도시재생사업은 50조를 투입하여 추진하는 정책이지만 뜨거운 감자이다. 정부의 가장 큰 문제는 거래 절벽이다. 투기꾼에 대한 정의도 애매모호하여 혼란이 있다.
이정부의 정책들은 가격안정은 있었으나 바람직한 정책은 아니다.
...............................
34. “강남 집값은 꼭지…땅값은 디스카운트됐죠” (10:16)
https://youtu.be/CCcHwNsVJOQ?list=PLQiukcb0I71ebQ0q3oflT-oWIS0OEP91u
서울의 경우 아파트 재건축보다는 저층 주거지 소규모 재개발이 이슈화 될 것이다. 서울의 경우 아파트는 평당 5천만원이고 재건축은 8천만원이다. 강남의 대기수요가 강북으로 이동할 공산이 크다. 모든 상권이 지하철 주변으로 재편성되고 잇다. 정부정책 때문에 강남의 아파트 상승은 한계에 이르렀다. 강남의 다가구 다주택은 아직도 상승 여력이 있다.
................................
35. “통일되면 집은 서울, 땅은 평양을 사라” (12:00)
https://youtu.be/71JXyC1DSNM?list=PLQiukcb0I71ebQ0q3oflT-oWIS0OEP91u
긴 안목에서 향후 유망지로 파주와 김포, 인천을 꼽을 수 있다. DMZ의 지역이 7만원하던 것이 30만원 호가를 하고 있다. 분위기에 편승하여 묻지마 투자는 성공의 사례가 없다. 경협을 떠나 GTX 노선의 아파트를 투자 추천한다. 남북 경협이 활성화되면 서해안축, 즉, 경의선라인부터 개발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측에서는 신의주~평양~해주~개성 라인이 유망하고, 남쪽에서는 파주~김포라인을 각각 수혜지로 꼽는다.
통일이 되면 집은 서울, 수도권에 사는 게 유리하고 땅은 평양에 사는게 좋지만 법적, 제도적 제약이 있을 것이다. 서울은 단독주택지가 평당 2000만원이지만 평양은 100만원 수준이다.
...............................
35. "일본 봐라, 외곽의 역세권 투자는 결국 망한다." (10:20
https://youtu.be/UhVMEoxqnsk?list=PLQiukcb0I71ebQ0q3oflT-oWIS0OEP91u
침체기의 부동산 시장에서도 신설 역세권 투자는 성공 가능성이 높다. 대표적인 사례가 서울지하철 9호선이다. 9호선은 개통 전후로 주변 집값과 땅값이 급등해 속칭 ‘골드라인’으로 불린다. 9호선의 삼성역과 종합운동장역이 핫할 것이다. 현재 서울과 수도권에 추진 중인 신규 지하철과 전철 노선은 4·5·6·7·8·9호선 연장선과 GTX(수도권광역급행전철), 경전철 등 10여개의 역세권에 주목해라.
하남지역과 풍산지역도 역세권으로 눈여겨 봐라. 용산도 신분당선이 연결되므로 유망할 것이다. 일본의 경우 지난 30년을 살펴보면 결국 도심형 역세권은 계속 잘 나가고 있지만 외곽의 역세권은 성공하지 못했다. 장기투자를 3~4년 정도를 보고 투자하는 것이 현명한 투자이다.
...............................
36. "금리 오르면 갭투자 매물 쏟아져...하우스푸어도 속출" (10:17)
https://youtu.be/WReKbrJJuWs?list=PLQiukcb0I71ebQ0q3oflT-oWIS0OEP91u
금리인상이 되면 경제가 나빠지고 부동산은 하락한다. 년말이나 내년초까지는 하락세가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