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bs1.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48/read?bbsId=G002&articleId=290685&itemId=21
안녕하세요.
요즘들어 대형 TV를 PC에 연결하여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아짐에 따라 아시는 분들도 많으시겠지만.
혹시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TV로 연결시 해야할 설정들을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제가 LGTV를 사용하기 때문에 LGTV를 기준을 적긴 하였지만
삼성이나 다른 TV들도 PC모드로 바꿀수 있다면 온전한 PC화면을 보실수 있을겁니다.
보통 TV를 연결할때에는 HDMI로 연결 하게 되는데요.
HDMI는 AV쪽 규격이라 색상형식이 다소 제한된 형식이거나
PC랑 다른 색영역을 사용해서 밝기 레벨등이 제한된수준으로 표시되기 떄문에 설정을 바꿔야 하는 것입니다.
HDMI는 기본 색상 형식이 YCbCr로 되어있으며 따라서 HDMI로 연결하게 되면 지포스던 라데온이던 YCbCr 로 출력하게 됩니다.
YCbCr이 16-235의 리미티드레인지로 사용하고 <== TV레인지
RGB가 맞추시면 0-255의 풀레인지로 사용합니다. <== PC레인지
PC와 TV 모두 16~235로 설정해도 레벨이 맞긴 하지만
PC내부의 모든 색영역이 0~255로 되어있어서 이걸 16~235로 압축하면 계조표현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모니터 테스트용 256단계 그라데이션을 띄우면 화면 중간중간 색이 뭉치는걸 보게 됩니다.
(그라데이션 벤딩현상)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밑의 글은 퍼온 글 입니다.)
---------------------------
RGB는 빨초파 3개로 만드는 모든 색상정보 시그널,
YCbCr는 휘도신호(밝기정보 시그널, 흑백이라 생각하심 됩니다)*색차신호(압축 색상정보 시그널) 입니다.
사람 눈이 모든 색상을 다 보지 못하면서 오히려 빛의 밝기에는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나온 훼이크 수법입니다.
RGB는 모두 개별 색상으로 표시하지만, YCbCr는 보편적 색상*밝기 차이를 줘서 색감을 구분시킨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두개를 각각 스트리밍 시키면 RGB쪽이 용량이 큰 대신 손실값이 적습니다.
반대로 YCbCr는 손실값은 늘어나는대신 용량이 적어집니다.
그래서 YCbCr가 손실압축 방식으로 많이 적용되고 일반적인 DVD급 영상이면 생각만큼 차이 없습니다.
다만 대화면 HD 이상에선 조금이라도 민감한 사람에겐 차이가 보입니다.
디스플레이 설정만 봐도 RGB는 16/24/32비트(주로 32비트)지만 YCbCr는 최대 16비트 입니다.
JPG 같은 손실압축 이미지 프로세싱은대부분 YCbCr를 사용합니다. 그정도로 압축용량은 뛰어나서요.
현재의 우리나라 HD방송은 이론적인 100% Full-HD 1080p 60fps라 하기엔 무리가 있지요?
기존 대역폭을 써야하기 때문에 60fps 1080i(인터레이스)라던가..
여러 면에서 완벽하지 않은 대역폭 조건입니다.
티비로 스트리밍을 전송하는데 이 대역폭때문에 RGB는 무리가 있어 TV 기기의 처리 방식도 YCbCr를 사용하고,
그런면에서 제한이 없는 PC 모니터는 RGB를 사용합니다.
----------------------------------------------------
그렇기 때문에 PC를 TV에 연결할때에는 RGB로 설정을 바꿔야 하는 것 입니다.
요즘TV들은 PC모드를 지원하기 때문에 TV가 설정이 안되서 문제가 되는 경우는 없을것입니다.
(제가 메인PC에 지포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RGB출력 설정을 하지 않고
게임을 실행해봤더니 TV출력 방식 1080P 24P로 바뀌고 난리도 아니었습니다.
게임 전체 화면에 버그가 있는 것 같더군요)
1.TV에서 PC모드 설정

먼저 리모컨으로 외부입력 메뉴를 띄운뒤 파랑 버튼을 누릅니다.

연결 기기명편집에서 PC로 바꿔 주시면 기존의 색상및 밝기가 초기화 되기 때문에 다시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PC모드로 바꾸시면 위의 화면처럼 라이브스캔 및 화질 보정 기능들이 비활성화 됩니다.
위의 설정을 하게 되면 TV는 PC모드로 바뀌어 RGB신호를 받아들일 준비가 다 되었습니다.
2. AMD RADEON의 설정 방법
RADEON은 설정이 쉽습니다.


CCC에서 위의 항목처럼 오버스캔을 0% 으로 바꿔주시고 픽셀형식은 RGB 4:4:4로 바꿔 주시면 모든 설정이 끝납니다.
3. NVIDIA GEFORCE의 설정 방법
GEFORCE는 좀 까다롭습니다.
한때 옛버전 드라이버에서 레지스트리에 OverrideEdidFlags0 를 집어넣는 방식으로 되는 법이 있었는데 막힌지 좀 된 것으로 보입니다.
저 방법으로 시도해서 몇 시간 까먹었습니다.
그래서 분노의 검색질로 마침내 발견했습니다.
단 GEFORCE의 설정 방법을 알려드리기전에 말씀 드릴 건 이 방법을 사용시 HDMI 음성출력이 막힙니다.
HDMI 음성출력을 사용하고 계셨다면 뒤로가기 버튼을 눌러주십시오

저렇게 표시된다면 YCbCr 로 출력 되고 있는 것입니다.
3-1 CRU 설정
http://www.monitortests.com/forum/Thread-Custom-Resolution-Utility-CRU
위의 사이트에서 Custom-Resolution-Utility 최신버전을 다운 받습니다.

처음 다운받아서 실행하시면 상단의 디스플레이 목록에서 GSM0001 - LG TV(active) 로 바꿔주신뒤
빨간 박스안에 있는 Include extension block을 체크 해제 합니다.
3-2 nvlddmkm-patcher
http://www.monitortests.com/forum/archive/index.php?thread-3.html
위사이트에서 nvlddmkm-patcher 최신 버전을 다운 받습니다.
다운 받은 압축을 푸시고 nvlddmkm-patcher-full.exe 파일을 실행 합니다.

실행 하시면 위의 창처럼 패치되었다는 창이 뜨고 재부팅 하시면 됩니다.
( 위의 화면은 제가 이미 패치를 해놓은 상태라 되돌릴까요라는 메세지가 뜨는군요 )
모든 작업을 마친후 재부팅하면 아래와 같이 tv쪽의 hdmi였었던 커넥터가 dvi로 변경 되어 표시됩니다.

저기 까지 변경 되셨으면 완료 되신 겁니다.
그대로 이용하시면 됩니다.
저 같은경우 이렇게 바꾸고 나서 게임 구동시 1080 24p로 변경 되지 않는 것만으로도 만족 하게 되더군요.
아마 tv의 인풋렉에 고생하시는 분들도 이 방법으로 약간이나마 개선 되실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