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100만~300만원 추가 지급
귀농청년 정착금 1000명 늘려
내년부터 자녀가 2명 이상인 다자녀 가구는 전기차를 구입할 때 최대 300만원의 보조금을 더 받을 수 있다.
귀농 청년 5000명에게는 한 달에 100만원의 정착 자금을 주고, 청년농이 최대 10년까지 임대할 수 있는
임대형 스마트팜 단지도 4곳이 새로 만들어진다.
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가 2일 국회의 제출한 내년 예산안에는 이 같은 징너 내용이 담겨 있다.
우선 정부는 다자녀 가구에 대한 혜탹을 크게 늘렸다.
현재 다자녀가구가 전기차를 사면 300만원의 구매보조금을 받는데, 내년부터는 보조금이 최대 2배로 늘어난다.
자녀가 두명이면 100만원, 자녀가 세명이면 200만원이 추가된다.
자녀가 4명 이상이면 300만원을 더 얹어 준다.
대중교통비 일부를 환급해주는 'K패스' 교통카드 할인율도 다자녀 가구는 50%까지 늘어난다.
자녀가 두 명일 떄는 30%, 세 명 이상이면 50%가 적용된다.
귀농청년에 대한 지원도 확대된다.
지난해 4000명 이었던 영농정착지원금 대상자는 내년에 5000명으로 1000명 늘어난다.
연농정착지원금은 귀농 청년에게 한 달에 100만 원씩 3년 동안 주는 지원금이다.
또 보육, 문화 시설을 갖춘 임대주택단지도 10개소 를 추가로 조성히기로 했다.
또 407억원의 예산을 들여 40-80명의 청년농이 최대 10년까지 임대할 수 있는 장기 임대형 스마트팜 단지도
4곳을 조성한다.
자립을 원하는 자소득층 청년에 대한 지원도 늘어난다.
기초생활급여를 받는 청년은 내년부터 최대 1200만원이 청년자립자금을 연 2.0%의 고정금리로 대출받을 수 있다.
취업에 성공하면 자활 성공지원금도 받을 수 있다.
취업으로 기초생활급여를 받지 않게 된 이후부터 6개월 동안 근속하면 50만 원을 받고, 1년 근속하면 1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희망저축계좌를 통해 목돈도 모을 수 있다.
지금까지는 월 10만원씩 3년간 총 36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360만원을 추가로 얹어 줘 만기에 720만원을 받을 수 있었는데,
내년부터는 정부가 720만원을 지원해 총 1080만원을 수령할 수 있다. 세종=이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