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폴란드 안경·콘택트렌즈시장 전망 밝다 - 스마트폰 사용 증가, 고령화로 안경·콘택트렌즈 수요 및 눈 건강 관심 증가 - - 콘택트렌즈 수요, 젊은 층 위주 급증 - □ 폴란드 안경·콘택트렌즈시장 현황 ○ 건강에 대한 폴란드 소비자의 인식이 높아지면서 눈 건강과 관련된 안경·콘택트렌즈시장 성장세 - 2007년 대비 2012년 폴란드의 안경류 판매액은 26.6% 늘어났고, 특히 콘택트렌즈의 판매 증가율은 128.8%에 달함. 일반적으로 선글라스 구매율은 학력과 비례해 증가하는데, 이와 달리 안경은 학력에 관계없이 고른 구매율을 보이며, 눈 건강상의 이유로 안과 의사들은 렌즈 처방을 꺼려하지만 폴란드에서 콘택트렌즈의 판매량 또한 지속적으로 늘고 있음. ○ 안경보다 간편한 콘택트렌즈의 판매도 높은 증가세 보임. - 폴란드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이 점점 서유럽화됨에 따라 콘택트렌즈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음. 폴란드 국민 1%대였던 렌즈 이용률은 2012년 들어 2%대로 성장했고, 현재 5~7%인 서유럽 수준까지 계속 이용률이 늘어날 전망 - 콘택트렌즈 중에서도 특히 데일리렌즈(1회용)의 이용률이 증가하는 추세임. 2007~2012년 카테고리별 안경류 판매액 (단위: 백만 즈워티) 구분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콘택트렌즈 | 105.5 | 125.1 | 154.1 | 184.3 | 210.2 | 241.4 | 안경 | 1,326.3 | 1,356.9 | 1,377.0 | 1,453.0 | 1,516.2 | 1,570.7 | 안경류 종합 | 1,431.7 | 1,431.7 | 1,531.1 | 1,637.3 | 1,726.4 | 1,812.0 |
2007~2012년 카테고리별 안경류 판매액 증가율 (단위: %) 구분 | 2011/2012 | 2007~2012년 | 2007/2012 | 콘택트렌즈 | 14.8 | 18.0 | 128.8 | 안경 | 3.6 | 3.4 | 18.4 | 안경류 종합 | 5.0 | 4.8 | 26.6 |
자료원: Euromoniter □ 주요 안경 유통 채널 ○ 인터넷 소매시장에서 콘택트렌즈 판매율이 빠르게 성장 중 - 2012년도에는 전체 31%의 콘택트렌즈가 온라인에서 판매됨. 콘택트렌즈의 온라인 판매 경쟁이 심화되면서 오프라인 안경점의 콘택트렌즈 가격도 덩달아 낮아지는 추세. 주요 온라인 판매 사이트는 Szkla.com, TwojeSoczewki.com, BezOkularow.pl이 있음. - 온라인 업계의 안경·콘택트렌즈 판매 1위는 2004년에 오픈해 2009년에 300%의 판매 성장을 기록한 Szkla.com Szkla.com의 메인페이지 
자료: Szkla.com ○ 아직까지 가장 큰 유통채널은 여전히 오프라인 안경점 - 콘택트렌즈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양쪽을 통해 활발하게 유통 중이지만, 안경은 여전히 오프라인에서 가장 많이 팔림. 많은 폴란드인이 전문적인 상담을 해주는 안경 전문점을 찾아서 인기 상품이던 독서용 기성 안경(readymade reading glasses)시장이 상대적으로 위축됨. 한 렌즈 제조사의 프로모션 캠페인도 독서용 기성 안경에 대한 폴란드인의 부정적인 인식을 부추기기도 함. 학계에 따르면 독서용 안경이 시력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조사 결과도 있음. ○ 현재 대략 3000개의 안경점이 영업 중이며,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보임. - 관련 업계에 따르면 매년 약 100개의 안경점이 증가함(통계적으로 매년 약 300개의 안경점이 새로 오픈되며, 약 200개의 안경점이 문을 닫음.). - 대부분 외국자본의 체인점으로 운영되는 안경점이 시장을 장악하며 개인이 운영하는 안경점의 경우에도 지속되는 안경 수요 증가로 그 수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 - 안경 업계의 시장점유율 1위는 ‘Vision Express’로, 온라인에서도 활발하게 유통 중임. 이 외 다른 오프라인 체인은 ‘Paris Optique’(2012년 기준 21개 매장 보유), ‘Fielmann’(2012년 기준 19개 매장 보유), ‘Lynz Optique’(2012년 기준 12개 매장 보유) 등이 있음. Vision Express의 소비자 인지도는 96%로 2위 브랜드의 인지도가 20% 정도인 것에 비해 확연한 격차로 1위 자리를 굳건히 함. Vision Express 매장 
2007-2012년 유통 채널별 안경류 판매 비율 
2007~2011년 안경 회사 점유율 (단위: %) 
자료원: Euromoniter □ 전망 및 시사점 ○ 폴란드의 경제 성장세에 따라 국민의 라이프스타일은 계속해서 서유럽화될 것으로 전망 - 건강에 대한 관심이 눈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도 이어지면서, 안경류 수요의 증가로 이어질 것임. 또한 아직까지는 모조품 선글라스의 인기가 높으나, 점차 모조품 구입을 기피하는 경향도 생겨 고급 선글라스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 콘택트렌즈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할 전망 - 콘택트렌즈의 평균 가격이 점점 낮아짐에 따라 렌즈 판매량은 점점 더 늘고 있음. 폴란드의 많은 검안사들이 눈 건강상의 이유로 렌즈 처방을 꺼리지만 청소년들과 젊은 세대 사이에서의 콘택트렌즈 이용은 이미 일반적인 추세임. - 콘택트렌즈가 안경보다 비싸다는 점을 감안하면, 폴란드 소비자의 가처분소득 또한 렌즈의 향후 판매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2012~2017년 카테고리별 예상 판매 증가율 (단위: %) 구분 | 2016년/2017년 | 2012~2017년 | 2012년/2017년 | 콘택트렌즈 | 9.7 | 12.0 | 76.6 | 안경 | 1.0 | 2.1 | 10.8 | 안경류 종합 | 8.2 | 10.0 | 61.2 |
자료원: Euromoniter ○ 스마트폰, 컴퓨터 이용률 증가에 따른 시력 저하 및 노인인구의 안경 수요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 전망 - 폴란드 국민의 근시율은 지난 5년간 연간 0.5%씩 꾸준히 상승함. 앞으로 컴퓨터, 스마트폰 및 전자기기 사용시간은 계속해서 길어질 것이고, 인구 고령화도 심화될 것이기 때문에 근시율도 따라서 높아질 전망. 안경을 처음 쓰게 되는 연령도 점점 더 낮아지고 안경류의 수요는 계속해서 늘어날 전망. - 동시에 검안사의 인기도 높아지고 매장을 신설하는 데 전문자격증이 필요없는 개인 안경점의 숫자도 늘어남. 아직까지 폴란드 내에서는 안경점 운영 관련 법률이 마련되지는 않음. 2008~2012년 폴란드 근시 인구 (단위: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4.0 | 24.5 | 25.0 | 25.5 | 26.0 |
자료원: Euromoniter ○ 관련 기기와 액세서리 수요도 덩달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콘택트렌즈의 수요 증가로 렌즈액, 인공눈물, 렌즈케이스 등 렌즈 구입에 수반되는 각종 제품의 수요가 뒤따를 것 - 안경 세팅을 위한 각종 장비, 시력검사를 위한 제반 장비 등 안경점에서 취급하는 각종 의료기기의 수요도 커질 전망임. 폴란드는 대부분의 의료기기를 수입하고 있어 한국의 의료기기 관련 업계에도 수출의 기회는 열려 있음. 자료원: Euromoniter, 코트라 바르샤바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