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환경상, 고이즈미 전 총리 차남
이시바 등과 총리 유력 후보 꼽혀
야스쿠니 신사도 계속 참배 시사
일본의 차기 총리 유력 후보로 꼽히는 고이즈미 신지로(43) 전 환경상이 6일 자민당 총재 선거 출마 선언을 하면서
자위대 설립 근거 명기 등을 위한 헌법 개정을 위한 국민 투표라는 승부수를 던졌다.
일본은 패전 후 '평화 헌법'으로 불리는 현재의 헌법을 개정하기 위한 국민투표를 실시한 적이 없다.
이날 회견장에 푸른색 넥타이와 납치 문제를 상징하는 블루 리본 배지를 달고 나타난 그는 1시간이 넘도록
회견을 진행하며 헌법 개정의 필요성과 경제개혁 등을 통한 '강한 일본'으로의 회귀를 강조했다.
자민당은 오는 27일 총재 선거를 앞두고 있다.
의원내각제인 일본은 다수당의 총재가 총리가 되는 구조로, 이번 자민당 선거엔 그와 함께
여론조사 1위를 다투는 이시바 시게루(67) 전 자민당 간사장 등 6명이 출마를 선언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82) 전 총리의 차남인 그는 부친의 뒤를 이어받은 세습 정치인으로 꼽힌다.
28살에 정계에 입문해 환경상을 지내면서도 정치색을 뚜렷하게 드러내지 않았던 그는 이날 출마의 변을 통해 보수색을 드러냈다.
그는 모두 발언에서 '전후 처음으로 국민투표를 실시하고 싶다'며 개헌 의지를 밝혔다.
자위대의 근거를 헌법에 명기하는 것이다.
그는 '일본의 영해, 영공, 영토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자위대, 자위관이 있다'고 운을 똈다.
이어 '전국에 재해가 발생해 현장에 가는 자위대, 자위관은 우리 헌법에 적혀있지도 않다,
이상하지 않은가'라고 반문했다.
군대 보유를 금지한 평화 헌법에는 자위대 설립 근거 자체가 명시돼 있지 않은 현실을 지적한 것이다.
세계 2차 대전 A급 전범을 합사한 아스쿠니 신사 참배를 총재가 된 이후에도 계속할 것이나는 질문에 부인하지 않은 것 역시
주목할 부문이다.
지난해 정상이 오가는 '셔틀 외교'를 재개하는 등 개선 흐름을 타고 있는 한.일 관계는 물론 대만 해협을 놓고 충돌 중인
중국과도 외교 갈등을 이어질 가능성이 큰 사안이다.
그는 '지금껏 매년 8월 15일 에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이어왔다'고 설명한 뒤 '앞으로에 대해선 적절히 판단하겠다'고 답했다.
그는 자신의 '참배 이유'를 길게 설명하기도 했다.
'어느 나라건 국가를 위한해 목숨을 바친 분들에게 감사의 존승, 그리고 두 번 다시 같은 길을 일으키지 않겠다는 평화에 대한 생각, 이런 것을 마주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고이즈미 전 총리에 이어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추진해오던 북,일 정상회담에 대해서도 적극성을 드러냈다.
그는 '더납치 문제 해결은 더는 미룰 수 없다.
여태 해온 접근법(어프로치)으로는 아무것도 밴하지 않는다.
연배가 같은 또래 톱끼리 마음을 열고 직접 마주할 적절한 기회를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도쿄=김현예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