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 AFib.)은 지속되는 부정맥의 가장 흔한 타입이다. 심방세동은 노인, 고혈압증인 사람, 여러가지 심장병으로 나타난다. 이 질환은 졸중, 피로 그리고 심부전 등 중독한 병을 일으킨다. 2010/01/27. JAMA.
심방세동이란(WHAT IS ATRIAL FIBRILLATION)?
심방세동은 심장박동을 규칙적으로 뛰게하는 전기적인 자극이 불규칙적으로, 힘없이, 가끔은 너무 빠르게 뛰게 해서 일어난다. 불규칙적인 박동은 느끼거나 심전도로서 알 수 있으며,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EKG)를 이용하여 심장의 정상 혹은 비정상 박동, 전도 장애, 심장의 비후상태, 허혈, 전해질의 변화 등을 알 수 있다. 심방세동이 있는 사람은 심전도상 비규칙적인 들쓱 날쓱한 모양을 보이며 대단히 빠른 심장박동의 모양을 나타낸다. 심방세동은 심장의 중요항 일인 펌핑의 저하를 가져오며, 이것으로 심장 내에 혈괴가 증가하고,
이 혈괴는 신체의 모든 곳으로 이동하며 터질 수 있다. 이것이 뇌로 가서 터지면 뇌졸중의 원인이 된다.
증상(SYMPTOMS)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심장이 뛰는 것을 느끼고 가슴이 답답하고 어지러움증을 호소하는 사람도 있으며, 간혹 어떤 사람은 갑짝이 심하게 숨이 까쁜 것을 느끼기도한다.
할 수 있는 치료(POSSIBLE TREATMENTS)
2 가지 중요한 치료로, 첫 째는 심장 펌핑을 개선하는 것이고, 둘 째는 피를 묽게 해서 졸중을 예방하는 것이다.
- 베타-차단제(Beta-blockers) 와 칼슘길항제(calcium channel blockers): 심장박동을 느리게한다.
- 와파린과 아스피린(Warfarin and aspirin): 피를 묽게하는 약물로, 와파린은 졸중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약물이나 출혈의 위험이 있어 주의를 요한다.
- 전기적 심장율동전환(Electrical cardioversion): 증상이 심한 환자를 정상박동으로 회복시켜주는 장치이다. 환자를 안정시키고 가슴을 통해서 전기충격을 준다. 부정맥치료제(Antiarrhythmic drugs)를 투여할 수 있다.
- 그 외에 수술요법, 혈관을 통해 도관(Catheter) 삽입으로 사람에 따라 심방세동을 개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