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kg 박스)
박 근 수 대표님이 전에 올리신 글중에 이런 대목이 있었습니다.
[수확량이 신통치 않은 배나무는 굶겨야 한다]
즉....[일을 안한 나무는, 굶기면 수체가 좋아진다] 라는
의미심장한 문구였습니다.
다른 의미로 해석해 보면 배나무중에서도 수체특성이 강한나무는
결실을 목적으로 하지않고 , 이기주의적인 특성을 갖고 있어
일정기간 영양생장을 거치 후, 생식생장으로 넘어가서
비대,착색, 당도, 꽃눈준비등에 관여하여 수확을 유도해야 하는데
그렇치 못하고 자기 몸 부풀리기에만 전념하는 영양생장만을
고집하여 결과적으로 좋은 과실을 주인에게 가져다 주지 못한다는
의미도 새겨져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결실확보를 위해서는 단호한 결단도 필요하다는 것이겠죠.
사실..배나무는 영양생장이 계속되면, 자기 만족에 너무 치우쳐
수세가 강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반대로 영양이 부족해지면 살기 위하여
잽싸게 생식생장으로 전환되는 것을 관찰 할수 있습니다..
가끔 언론을 통해서 보면 욕심이 생각의 앞잡이가 되어 한치 앞을 모르고
허둥대다가 비참한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도 흔히 볼수 있는데...
자고로, 넘치는것 보다는 좀 모자란듯한 아쉬움이 있는것도
배 농사에서 필요 할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배나무도 스스로 살아갈수 있도록 자생적인 동기 부여를 주는 재배법도
어떤 의미에서는 나무를 건강하게 키우는 방법이 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람이든 배나무든 결핍에서 나오는 생장 에너지가
기대이상의 결과를 가져다 주는 경우가 비일비재 하거든요.....
첫댓글 배나무의 영양상태는 항상 약간은 부족하게 양분괸리를 하는 것이 좋은것 아닌가요??? 이춘택님이 언급한 바와같이 세력이 강하면 수정불량,숫배증가등등 득보다 실이 더 많은것 같네요.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치악산배 너무 아름답고 입맛이 뗑기네요.
-고맙습니다.
인연은 소중 합니다.
서정리에 금 줄을 띄웠으니 출입 금지.
회장님 좋은글 감사합니다.
유익하게 잘읽어습니다 감사함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넘치는 것보다는 약간 부족한것이 좋은듯 하네요...
감사 감사 함니다,
금년에 처음으로 굶겨 볼까 했는 데 용기가 생기네요..
역시고수님은 뭐가달라도 다르다니까요 휼륭한정보에 감사드립니다.올해 저도 한번 굶겨볼까합니다. 항상 영양과다로 나오는데도 과감히 줄이기 어렵드라고요 ......
나주반오정자입니다 저도작년에나나무을굼기고 올해는일칙 퇴비을했는데좋은결실이될것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