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EC라는건 스위치 회로를 매우 빠르게 껏다 켰다 하면서 전압을 낮춰 공급하는것으로 매우 빠르게 스위치를 껏다 켰다 함으로 일종의 고주파 노이즈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로인해 72MHz나 40MHz 수신기 에서는 노콘의 우려가 있으며 통상적으로 높은 전압에서 유용합니다(컴퓨터의 파워서플라이가 대부분 D-BEC와 같은 Switching 방식입니다.)
이에 비해 U-BEC는 일종의 저항을 걸어 여유부분만큼을 열로 소모시켜버리는방식의 BEC로 발열이 많으며 이로인해 개개의 부품이 D-BEC에 비해 큽니다. 따라서 입력되는전압과 출력되는전압이 차이가 적을때 최대의 효율이 나오며 노이즈가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소형 전동기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같은 크기의 D-BEC에 비해 출력되는 전류가 한참 작습니다.
첫댓글 통상 U-BEC와 D-BEC로 나뉩니다. S-BEC라는건 D-BEC(디지탈BEC)혹은 Switching BEC(같은겁니다)를 말하는듯 합니다.
D-BEC라는건 스위치 회로를 매우 빠르게 껏다 켰다 하면서 전압을 낮춰 공급하는것으로 매우 빠르게 스위치를 껏다 켰다 함으로 일종의 고주파 노이즈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로인해 72MHz나 40MHz 수신기 에서는 노콘의 우려가 있으며 통상적으로 높은 전압에서 유용합니다(컴퓨터의 파워서플라이가 대부분 D-BEC와 같은 Switching 방식입니다.)
이에 비해 U-BEC는 일종의 저항을 걸어 여유부분만큼을 열로 소모시켜버리는방식의 BEC로 발열이 많으며 이로인해 개개의 부품이 D-BEC에 비해 큽니다.
따라서 입력되는전압과 출력되는전압이 차이가 적을때 최대의 효율이 나오며 노이즈가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소형 전동기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같은 크기의 D-BEC에 비해 출력되는 전류가 한참 작습니다.
상록님 답변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네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