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internet of things) : 여러가지 사물에 인터넷을 적용하여 컴퓨터화 하는 것을 말한다.
관련기사 :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 양천구(구청장 김수영)는 지역내 공영주차장, 대형마트, 아파트단지 등에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스마트 주차단속 시스템 ‘장애인주차구역 지킴이’를 설치를 마치고 무인단속을 한다.
‘장애인주차구역 지킴이’는 양천구 내 16개 주차장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80면에 설치돼 9월7일부터 시행 중이다.
스마트 주차단속 시스템은 사물인터넷 기술과 CCTV에 기반한 무인 단속이다.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가능 표지를 발급받지 않은 차량이 해당 주차구역에 진입하면, CCTV를 이용해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경고방송과 붉은색 경광등이 작동하며 운전자에게 불법주차 행위임을 경고하게 된다.
최초 입차 시 1차, 1분경과 시 2차, 4분경과 시 3차 경고가 작동한다. 3차 경고에도 불구하고 차량을 이동하지 않고 5분이 지나면 과태료를 부과한다.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으로 실제 주차구역을 이용해야 하는 장애인 이동에 제한이 초래되고, 불법 주차 과태료 부과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스마트단속 시스템은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빈번하게 벌어지는 비장애인의 불법 주차 행태를 막고, 장애인의 편익을 보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스템은 위반 차량의 사진과 주차시간 기록 등을 확인할 수 있어 과태료 부과를 통한 장애인 주차구역 인식 개선에도 효과적이다.
구는 향후 시스템의 운영 데이터를 수집·분석, 사업 효과를 검증 후 상습적으로 불법행위가 이루어지는 구역에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
김수영 구청장은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지키기는 장애인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첫걸음이다. 스마트 단속 시스템을 통해 운전자의 인식을 제고하고 올바른 주차문화를 정착하여 장애인의 이동 편의를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출처 :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4758705

나의생각 : 우리나라는 선진국으로 분류되지만, 급격한 경제발전으로 시민의식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로인해 많은 문제들이 있지만 그중에서 나는 장애인들에 대한 의식이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예를들어, 지하철에 설치되어있는 엘리베이터도 장애인들에 대한 배려이지만, 실상은 나이를 불문하고 계단을 오르내리기 싫어하는 사람들이 이용하여 장애인들이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아직까지 많다. 또한, 화장실도 장애인들을 위해 장애인 화장실이 설치되어있지만, 많은사람들이 장애인들에 대한 배려를 생각하지 않고 그냥 이용하기도 한다. 오늘은 이런 많은 예들 중에서 장애인주차구역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한다. 장애인 주차구역은 마트나 공공시설 공용주차장 등 많은 곳에 설치 되어있다. 장애인주차구역은 입구가 가까운곳에 설치되어있고 주차구역의 공간또한 넓다. 이러한 이점 때문에 실제로는 장애인들이 이용하지 못하고 보통 주차구역으로 내몰리고있다. 그런데 IOT를 활용하여 장애인주차구역에 주차하는 번호판을 확인하여 등록되어있지 않은 차량이면 여러번의 경고 이후에 과태료를 부과하는 곳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러한 곳이 점차 확대되게 되면 처음에는 타의로 주차를 하지 않았으나 나중에는 자의로 장애인주차구역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주차를 다른 곳에 하기 시작할 것이다. 이런식으로 점차 장애인에 대한 의식이 생겨날 것이다. 그래서 나는 이러한 기술이 더 많이 확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기술을 통해 약자들에 대한 시민의식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을 위해 발전하는 것이고, 많은 사람들이 편리해지기 위해서 발전하지만, 그중에서도 몸이 불편하고 사회적으로 약자인 사람들을 위해 발전되어야 하는 것이 더 좋은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앞으로 장애인주차구역에 IOT가 활용된 cctv 처럼 장애인들, 노약자, 임산부 같은 사회약자들을 위하여 IOT를 비롯하여 많은 기술들이 활용되길 바란다.
첫댓글 좀더 성숙한 시민의식의 아쉬움.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