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계문강목분포지역서식장소/자생지크기
강: 쌍떡잎식물
목: 감나무목
분포지역: 한국(경기 이남)·일본·중국 등지
서식장소/자생지: 민가 근처
크기: 높이 약 10m
[네이버 지식백과] 고욤나무 [date plum] (두산백과)
Diospyros lotus |
식물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 |
감나무목 |
한국(경기 이남)·일본·중국 등지 |
민가 근처 |
높이 약 10m[네이버 지식백과] 고욤나무 [date plum] (두산백과)
|
고욤·고양나무·소시(小枾)라고도 한다. 마을 부근에 많이 자란다.
높이 약 10m이다. 껍질은 회갈색이고 잔가지에 회색 털이 있으나 차차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끝이 급하게 좁아져 뾰족하고, 길이 6∼12cm, 나비 5∼7cm로 톱니는 없다.
잎자루는 길이 8∼12mm이다.
꽃은 암수딴그루이며 항아리 모양이다.
6월에 검은 자줏빛으로 피고 새가지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수꽃은 2∼3개씩 한군데에 달리며 수술이 16개이고, 암꽃에는 꽃밥이 없는 8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둥근 장과(漿果)로 지름 1.5cm 정도이며 10월에 익는다.
열매에는 타닌이 들어 있으며 빛깔은 노란색 또는 어두운 자줏빛이다.
덜익은 것을 따서 저장하였다가 먹기도 한다.
열매의 생김새에 따라 여러 가지 품종으로 나뉜다.
한방에서는 열매를 따서 말린 것을 군천자(君遷子)라 하여 소갈·번열증(煩熱症) 등에 처방한다.
씨를 뿌려서 자란 고욤나무는 흔히 감나무를 접목할 때 대목용으로 쓰며, 목재는 여러 가지 도구의 재료로 쓴다.
한국(경기도 이남)·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고욤나무 [date plum] (두산백과)
정의
감나무 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교목.
고욤·고양나무·소시(小枾)라고도 한다. 마을 부근에 많이 자란다.
높이 약 10m이다. 껍질은 회갈색이고 잔가지에 회색 털이 있으나 차차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끝이 급하게 좁아져 뾰족하고, 길이 6∼12cm, 나비 5∼7cm로 톱니는 없다.
잎자루는 길이 8∼12mm이다.
꽃은 암수딴그루이며 항아리 모양이다.
6월에 검은 자줏빛으로 피고 새가지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수꽃은 2∼3개씩 한군데에 달리며 수술이 16개이고, 암꽃에는 꽃밥이 없는 8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둥근 장과(漿果)로 지름 1.5cm 정도이며 10월에 익는다.
열매에는 타닌이 들어 있으며 빛깔은 노란색 또는 어두운 자줏빛이다. 덜익은 것을 따서 저장하였다가 먹기도 한다.
열매의 생김새에 따라 여러 가지 품종으로 나뉜다.
한방에서는 열매를 따서 말린 것을 군천자(君遷子)라 하여 소갈·번열증(煩熱症) 등에 처방한다.
씨를 뿌려서 자란 고욤나무는 흔히 감나무를 접목할 때 대목용으로 쓰며, 목재는 여러 가지 도구의 재료로 쓴다.
한국(경기도 이남)·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고욤나무 [date plum] (두산백과)
내용
한자어로는 소시(小枾)·군천자(君遷子)·우내시(牛奶枾·牛嬭枾)·정향시(丁香枾)·흑조(黑棗)·이조(imagefont棗)라고도 한다.
조(棗)자가 쓰이는 것은 열매의 모양이 대추를 닮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남부지방에서는 영조(梬棗)라고도 하는데, 북부지방에서는 다래나무를 가리키는 말이다.
학명은 Diospyros lotus L.이다. 높이는 14∼15m에 달하고, 새로 난 가지에는 흰색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타원형이며, 길이 6∼12㎝, 너비 5∼7㎝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면 액상에 굽은 털이 있다.
꽃은 6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며, 암수 꽃이 한그루에 달린다. 열매는 둥글며 지름이 1.5㎝로서, 10월에 황색에서 흑색으로 익는다.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식물로, 높이 500m 이하에서 자란다.
내한성은 감나무보다 강하며, 사질양토로 토심이 깊고 배수가 양호한 땅에서 잘 자란다.
많이 번식시키고자 할 때는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이듬해 봄에 파종하면 된다.
열매는 식용·염료·약재로 쓰이는데, 염료로는 성숙하기 전의 것을 이용한다. 한방에서는 열매를 말렸다가 갈증을 푸는 데, 또는 열을 제거하는 데 이용한다.
민간에서는 딸꾹질을 멈추게 한다든가, 동상을 푸는 데 사용한다.
가을에 서리가 내린 뒤 채취하여 항아리에 저장, 발효시켰다가 먹으면 건강에 좋다고 한다. 고욤나무의 잎도 지혈·진해제로 이용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고욤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욤나무
나무는 목재로 활용하고, 열매를 식용, 약용한다.
쌍떡잎식물 감나무목 감나무과의 낙엽 교목. 고욤·고양나무·소시(小枾)라고도 한다.
마을 부근에 많이 자란다.
높이 약 10m이다. 껍질은 회갈색이고 잔가지에 회색 털이 있으나 차차 없어...
학명Diospyros lotus 계식물 문속씨식물
[ 구분]
감나무과의 잎지는 넓은잎 큰키나무로 키 10~15m 정도로 곧게 자란다.
보통 10m 이상 큰 나무가 많다.
가지가 비스듬히 뻗어 위쪽이 둥그스름해진다.
[특징]
수고 15m, 지경 50cm 정도로 자라며 수피는 짙은 회색이고 불규칙하게 세로로 산재한 피목이 있다.
회색털이 있다가 없어진다.
겨울눈은 비늘조각에 잔털이 있으며 편평하다. 잎은...
학명Diospyros lotus L.
[네이버 지식백과] 고욤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