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눈섭의 경련증상은 구안와사의 후유증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면신경마비의 경우 그 후유증은 당해보지 않는 사람은 그 고통을 잘 이해할 수 없을 것입니다.
특히 어리거나 여성의 경우는 심각하지요.
그러나 포기하지 말고 꾸준히 재활치료를 한다면 그 후유증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안면신경마비의 후유증은 님의 경우처럼 안면 마비가 한달이내에 완전히 완벽하게 치료되지 않는 경우에 나타납니다. 남들은 님이 구안와사증상이 있는 것은 못 알아차릴지라도 본인은 상당히 고통스러 울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만이라도 얼마나 다행한 일 입니까?
많은 경우에 구안와사의 후유증이 남들 보기에도 확연하게 나타나 있는 환자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구안와사의 흔한 후유증양상
① 환측안면의 경련감과 감각의 이상
-특히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거나 피곤할때
② 환측안면의 근위축과 얼굴살의 빠짐
-마비가되어 이완되었던 안면의 근육이 제대로 작용되지 않아 위축이되면서 당기는 느낌
③ 연합운동
-안면근육이 같이 작용되는현상,특히 음식을 씹을때 눈까지 감기는 현상과 눈을 감을때 입까지 실룩거리는 현상
④잘못된 시술로서의 치료흉터
-발포요법이나 뜸요법 혹은 독풀의 접착법으로인한 영구적인 흉터
⑤ 안면의 비대칭
-정상적인 눈보다 작아진 눈과 정상인 콧구멍보다 작아진 콧구멍
⑥ 안면 눈꺼풀의 처짐
- 상안검과 하안검의 근무력으로 나이가 들어가며 더욱 심해짐
⑦악어의 눈물
-일상생활중 특히 음식을 먹을 때 눈물이 나오는 현상으로서 환측안면의 눈에서 코로 연결되어 있는 누관이 안면마비로 인하여 좁아져 발생한다.
⑧ 발음의 이상
-구순부위의 근육의 기능저하로 나타난다.
⑨ 안면의 비대칭적인 이상한 주름
-안면근의 경직 상태로서 입과 코사이의 주름이 깊어 지고 입 끝이 정상쪽 보다 더 말려 올라간다. 안면마비의 후유증으로서 생기거나 지속적인 안면경련에 의해서 생긴다.
⑩ 대인기피증
-구안와사의 후유증으로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것을 두려워하게 된다.
⑪ 안면연축
-안구 주위 근육, 때로는 다른 안면근을 침범하여 수초에서 수분간의 수축운동을 일으킨다.
주로 한쪽에서만 일어나지만 양쪽에서 일어나는 경우도 간혹 있다. 갑작스럽게 발생하거나 특정한 안면운동에 이어서 일어나기도 한다.
불수의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흉내를 내거나 중지시킬 수 없다.
피로나 스트레스에 의해서 심해지며 주로 성인, 특히 여성에서 더 많다. 뇌혈관이 안면신경의 기시부를 자극하여 박동과 유사한 안면근의 수축을 일으켜서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안면마비의 후유증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⑫ 또다시 재발이나 하지 않을까하는 두려움
-비교적 재발은 드문 질병이지만 면역력의 치료가 완벽히 되지 않는 경우 재발되기도 한다.
등등 이루헤아릴 수 없을 정도 입니다.
그러나 저의 많은 임상례를 보았을 때 안면신경마비의 후유증은 정확한 마비경근과 해당근육의 검진을 통해 지속적으로 그 상황에 맞게 치료를 하게 되면 상당부분의 후유증을 감소시킬수 있습니다.
또한 자가치료로서 집에서는 본 안면신경마비 연구소의 안면마비운동요법과 맛싸지요법을 시행함으로서 근육의 활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포기하지 마시고 시작해 보십시오.
치료는 지속적으로 해야합니다.
침치료는 2회/1주일,
운동요법은 2-3회/일, ---->
링크 구안와사 안면운동법
본인이 하는 맛싸지요법은 2회/일 정도 하시고
전문적으로 얼굴맛싸지해주는 곳이 있다면 아래의 그림처럼 화살표 방향으로 맛싸지를 해주시라고 부탁하십시오. 전문맛싸지는 1주일에 1~2회정도하셔도 됩니다.

맛싸지하는 방법은
① 안면마비 맛사지는 매우 중요한 치료 중의 하나로 환자에게 편안한 감을 줌과 동시에 경직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② 환자는 눕고 치료사는 환자의 뒤에 앉아서 부드럽고 견고하며 자극적으로 맛사지를 실시한다. 이때 치료사는 손이 따뜻하고 깨끗해야 하며 손톱은 짧고 반지는 빼며 손에 상처가 없어야 한다. 환자의 눈이나 머리, 옷 등에 기름이 묻지 않게 타올을 대도록 한다.
③ 경찰법(stroking)은 턱에서부터 상방으로 관자놀이(temple)를 향하게 하고, 앞이마의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귀를 향하여 적용한다.
④ 수지 유날법(finger kneading)은 작은 원을 그리는 것처럼 실시하며 모든 침범된 근육에 적용하는데, 이때 근육이 신장되지 않도록 한다.
⑤ 경타법(tapotment)은 손가락 끝을 이용한 tapping의 형태로 적용하며 주로 앞이마나 가장자리 부분과 같이 뼈가 근육의 얇은 층으로 덮여있는 부위에 신중하게 실시한다.
⑥ 마찰법(friction)은 염증 침착물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귀의 소엽 바로 하방이나 전방, 하악과(condyle)의 neck 위 등에 적용한다.
⑦ 진동법(vibration)이나 타진법(tapping)은 마찰법(friction)을 시행하는 부위들의 nerve trunk에 손가락 하나나 둘을 이용하여 적용한다.
⑧ 양손을 이용한 경찰법(stroking)은 먼저 hairline으로부터 눈썹 바로 위 혹은 앞이마의 중앙으로부터 관자놀이를 향하여 맛사지를 하며 눈의 외측으로부터 관자놀이의 머리선을 향해서 또는 눈썹 내측 위로부터 관자놀이를 향한 외측으로 맛사지를 적용한다.
⑨ 눈과 눈 사이의 맛사지를 실시한다.
그리고상황이 되신다면 저희 병원에 한번 래원하시어 검진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