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이종격투기 원문보기 글쓴이: 모노
조훈현
1962년 : 입단(9세, 세계 최연소 입단)
1963년 : 도일, 세고에 겐사코(瀨越憲作) 9단 문하.
1972년 : 귀국, 일본기원 5단 인정.
1974년 : 최고위 우승
1975년 : 최강자, 백남배, 국수, 최고위 우승
1976년 : 최강자, 왕좌전, 국수, 국기, 최고위 우승
1977년 : 최강자, 왕좌, 왕위, 국수, 국기, 최고위 우승
1978년 : 최강자, 왕위, 국수, 국기, 최고위, 패왕 우승
1979년 : 왕위, 국수, 국기, 명인, 패왕, 최고위 우승
1980년 : 왕위, 국수, 기왕, 명인, 패왕, 최고위 우승
1981년 : 국수, 기왕, 국기, 명인, 패왕, KBS바둑왕전 우승
1982년 : 한국 최초 9단(29세). 왕위, 국수 기왕, 국기, 패왕, 최고위, KBS, 제왕 우승
1983년 : 왕위, 국수, 기왕, 국기, 패왕, 최고위, 대왕 우승
1984년 : 왕위, 국수, 국기, 명인, 패왕, 최고위, 대왕, 천원, 바둑왕전, 제왕 우승
1985년 : 왕위, 국수, 기왕, 국기, 패왕, 명인 최고위, 제왕, 대왕 우승
1986년 : 왕위, 기왕, 국기, 명인, 패왕, 최고위, 대왕, 천원, 제왕, 바둑왕전 우승
1987년 : 왕위, 기왕, 국기, 명인, 패왕, 최고위, 대왕, 바둑왕전 우승
1988년 : 왕위, 국수, 기왕, 명인, 패왕, 최고위, 천원, 제왕 우승
1989년 : 은관문화훈장 서훈. 왕위, 국수, 명인, 패왕, 최고위, 대왕, 기성, 천원, 제왕, 바둑왕전, 응창기배 우승
1990년 : 왕위, 기왕, 명인, 패왕, 비씨카드, 천원, KBS 우승
1991년 : 국수, 기왕, 패왕, 기성 우승
1992년 : 국수, 기왕, 패왕 우승
1993년 : 기왕, 패왕, 최고위, 대왕, 제왕 우승
1994년 : 후지쯔배, 동양증권배 우승, 제왕 우승
1995년 : 후지쯔배 준우승, 천원 우승
1996년 : 기왕, 패왕, 비씨카드배 우승
1997년 : 동양증권배 우승, 패왕 우승
1998년 : 국수, 패왕 우승
1999년 : 춘란배 우승, 바둑왕전 우승
2000년 : 후지쯔배, TV아시아바둑선수권 우승, 패왕 우승, 명인 준우승
2001년 : 후지쯔배, 삼성화재배, TV아시아바둑선수권 우승. 국수 우승.
2002년 : 제1회 KT배 우승. TV아시아바둑선수권 준우승. 제7기 박카스배 천원전 준우승. 제7회 삼성화재배 우승(2연패). 제4회 농심辛라면배 한국대표(한국우승). 바둑문화상 '우수기사상' 수상.
2003년 : 제2회 KT배 8강. 제37기 왕위전 준우승. 제16회 후지쯔배 16강. 제14기 기성전 준우승. 제2회 CSK배 바둑아시아대항전 한국대표. 제8기 LG정유배 본선. 제8기 박카스배 천원전 본선. 제8회 LG배 16강. 제47기 국수전 본선. 제15회 기성전 본선. 제8회 삼성화재배 8강. 제34기 명인전 도전권 획득. 제5회 춘란배 16강.
2004년 : 제23기 KBS바둑왕전 4강진출. 제38기 왕위전 본선시드. 제1기 전자랜드배 왕중왕전 봉황부 결승진출. 제9기 박카스배 천원전 4강진출. 2004한국바둑리그 본선(한국얀센 주장). 제9회 LG배 세계기왕전 24강. 제9회 삼성화재배 16강. 제2회 도요타덴소배 32강.
2005년
제10기 박카스배 천원전 8강.
제49기 국수전 본선 진출.
제24기 KBS바둑왕전 승자조 8강 진출.
제2기 전자랜드배 왕중왕전 32강 진출.
제10회 GS칼텍스배 16강 진출.
2005한국바둑리그 출전.
제1기 한국물가정보배 본선진출.
제1기 원익배 본선시드.
제17기 기성전 본선 진출.
제10회 삼성화재배 8강.
2006년
KB국민은행 2006한국바둑리그 시드.
제3회 전자랜드배 왕중왕전 4강
2007년
04.24 KB국민은행 2007한국바둑리그 출전(충북 제일화재)
04.30 제12회 LG배 세계기왕전 본선 진출
2008년
00.00 KB국민은행 2008한국바둑리그 출전(광주 Kixx)
서봉수
1970년 : 입단.
1971년 : 명인전 우승
1974년 : 제1기 국기전(MBC-TV) 우승
1975년 : 제10기 왕위전 우승
1976년 : 명인전 우승
1980년 : 국기전, 왕위전, 최고위전 우승
1983년 : 바둑왕전,제왕전,명인전,기왕전 우승
1986년 : 제30기 국수전 우승
1987년 : 명인전,제왕전,국수전 우승
1986년 : 9단 승단
1988년 : 국기전, 기왕전 우승
1991년 : 동양증권배 우승
1992년 : 국기전 우승. 최우수기사상 수상.
1993년 : 제2회 응씨배 우승 93~97년 제1~5회 진로배 한국우승 수훈
1995년 : 제1회 신사배 우승
1997년 : 제5기 진로배 세계바둑최강전 9연승 기록.
1999년 : LG정유배 프로기전 우승, 제33기 왕위전 본선, 제7기 배달왕전 본선, 제30기 명인전 본선, 제1회 프로시니어기전 우승
2000년 : 제34기 왕위전 준우승.
2003년 : 제37기 왕위전 본선. 제3회 돌씨앗배 프로시니어기전 우승. 제15회 기성전 본선.
2004년 : 제5회 맥심배 입신최강전 8강진출. 제1기 전자랜드배 왕중왕전 봉황부 16강. 2004한국바둑리그 본선(범양건설 4장).
2005년
제6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4강.
제5기 잭필드배 프로시니어기전 4강 진출.
2005한국바둑리그 출전.
제1기 원익배 본선.
제7회 맥심커피배 8강 진출.
2006년
제3기 전자랜드배 왕중왕전 현무부 우승(대 오규철 9단).
국수전 50주년기념 역대국수 초청전 우승(비공식 기전, 대 조훈현)
제11회 삼성화재배 4강 진출.
2007년
제1회 지지옥션배 본선 진출
2008년
02.29 제2회 지지옥션배 본선 진출
03.07 2008한국바둑리그 티브로드 감독
03.17 제5기 전자랜드배 현무왕전 우승(대 조훈현 9단)
유창혁
1984년 : 세계아마바둑 선수권 준우승. 입단
1986년 : 제2기 신인왕전 우승
1988년 : 제6기 대왕전 우승
1989년 : 제1기 기성전 준우승
1990년 : 제2기 기성전 우승, 제7기 대왕전 준우승
1991년 : 기성전 , 천원전 준우승
1992년 : 왕위전 우승. 제왕전 준우승
1993년 : 후지쯔배 우승. 왕위전, 명인, 비씨카드, KBS 우승 진로배 우승시 대표. 최우수기사상 수상
1994년 : 왕위전, 천원전 우승/ 제왕전 준우승, 진로배 우승 후지쯔배 준우승
1995년 : 왕위전 우승(4연패). 기왕, 국수, 패왕, SBS연승전 준우승, 진로배 우승시 대표. 수훈상 수상.
1996년 : SBS연승전, 테크론배 우승. 왕위전 준우승. 진로배 우승시 대표. 삼성화재배 준우승. 수훈상 수상.
1997년 : 응창기배 우승, SBS 우승, 진로배 우승/ LG배 준우승
1998년 : 배달왕 우승, LG배 준우승
1999년 : 후지쯔배 우승. 배달왕 우승(2연패). 왕위, LG정유배 프로기전 준우승, 감투상 수상.
2000년 : 삼성화재배 우승. LG배 준우승. 제12기 기성전 준우승.
2001년 : 춘란배 우승. 맥심배 입신연승최강전 우승.
2002년 : LG배 우승. 맥심배 입신연승최강전 우승(2연패). 제1회 KTF배 준우승. 제15회 후지쯔배 준우승.
2003년 : 제2회 CSK배 바둑아시아대항전 한국대표. 제2기 KT배 우승. 제34기 명인전 본선. 제8기 박카스배 천원전 본선. 제16회 후지쯔배 8강. 제37기 패왕전 우승.(대 이창호 3:0 완봉승). 제8회 LG배 16강. 제8회 삼성화재배 16강. 제5회 춘란배 16강.
2004년 : 제23기 KBS바둑왕전 본선. 제38기 왕위전 본선진출. 제5회 맥심배 입신최강전 준우승(대 루이). 제9기 LG정유배 본선 16강. 2004한국바둑리그 본선(범양건설 주장). 제9기 LG배 8강. 제48기 국수전 본선진출. 제17회 후지쯔배 4강. 제9회 삼성화재배 32강. 제2회 도요타덴소배 16강.
2005년
제49기 국수전 본선 시드.
2005한국바둑리그 출전.
제24기 KBS바둑왕전 승자조 결승 진출.
제18기 후지쯔배 3위.
제10기 박카스배 천원전 16강.
제1기 원익배 본선시드.
제10회 삼성화재배 8강.
제7회 맥심커피배 8강 진출.
2006년
KB국민은행 2006한국바둑리그 시드.
2007년
04.04 제41회 왕위전 본선 16강
04.00 KB국민은행 2007한국바둑리그 출전(경북 월드메르디앙)
09.06 제12회 삼성화재배 본선 16강 진출
10.12 제9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 본선 16강
12.05 제13회 GS칼텍스배 프로기전 본선 진출
2008년
04.00 KB국민은행 2008 한국바둑리그 진출(월드메르디앙)
05.23 제13기 박카스배 천원전 본선진출
07.02 제4회 한국물가정보배 프로 본선 8강
이창호
1986년 : 입단(11세 1개월, 조훈현 9단에 이어 최연소 입단기록 2위)
1988년 : 제8기 KBS바둑왕전 우승(첫 타이틀 획득, 세계최연소)
1990년 : 국수, 최고위, 신왕전 우승. TV바둑아시아선수권 준우승. 41연승. 78승 12패로 승률 86.7%
1991년 : 명인,최고위,대왕, 왕위, 박카스, 제왕 우승
1992년 : 동양증권배 우승(최연소 세계챔피언). 명인, 최고위, 대왕, 비씨카드,박카스, 제왕, KBS우승.
1993년 : 국수, 명인, 대왕, 기왕, 패왕, 국기, BC카드, 기성, 배달왕, 박카스, 제왕, SBS 우승. 90승으로 통산최다승 기록보유.
1994년 : 국수, 명인, 최고위, 기왕, 패왕, 국기, BC카드, 기성, 배달왕, SBS, KBS 우승. 국내 16개기전 사이클링히트 달성. 13관왕으로 통산 최다관왕.
1995년 : 국수, 명인, 최고위, 기왕, 패왕, 국기, BC카드, 기성, 배달왕, SBS, KBS 우승. TV바둑아시아선수권 우승.
1996년 : 9단 특별승단(세계대회 우승자 자격으로). 국수, 명인, 최고위, 대왕, 왕위, 국기, 기성, 천원 우승. 동양증권배, 후지쯔배, 세계바둑최강 결정전 우승.
1997년 : 국수, 최고위, 대왕, 왕위, BC카드, 배달왕, 기성, 천원, 테크론 우승
1998년 : 명인, 최고위, 대왕, 왕위, 기성, 천원, 테크론 우승
1999년 : 기성, KBS, 최고위, 명인, 왕위, 천원 우승
2000년 : 기성, 왕위, 명인 우승
2001년 : 통산 1백회 우승. 응씨배, LG배 우승. 기성, 패왕, 명인 우승
2002년 : 통산 1천승 달성. 농심신라면배 우승. TV바둑아시아컵 우승. 기성 방어. 패왕 우승, 왕위 우승. 도요타덴소배 결승진출, 명인 우승. KBS바둑왕전 우승. 제4회 농심辛라면배 한국대표(한국우승)
2003년 : 제1회 도요타덴소배 우승, 제46기 국수전 우승. 제4회 춘란배 우승. 제2회 KT배 4강. 제7회 LG배 준우승(대 이세돌). 제14기 기성전 우승(11연패). 제2회 CSK배 바둑아시아대항전 한국대표.
제22기 KBS바둑왕전 본선. 제8기 LG정유배 우승. 제37기 패왕전 준우승. 제16회 후지쯔배 3위. 제37기 왕위전 우승(8연패). 제8회 삼성화재배 8강. 제5회 농심신라면배 한국대표. TV바둑아시아 본선. 제5회 농심신라면배 한국대표. 제34기 SK엔크린배 명인전 우승.
2004년
제5회 농심신라면배 한국우승(5연패).
제47기 국수전 준우승(대 최철한, 2승3패).
제8회 LG배 우승(대 목진석, LG배 통산4회 우승,세계대회 통산19회 우승 달성).
제15기 기성전 준우승(대 최철한).
2004한국바둑리그 본선(피더하우스 주장).
제38기 왕위전 우승(대 이세돌 3-2, 9연패 달성).
제9기 LG정유배 우승(대 박영훈 3-0, LG정유배 통산 5회 우승).
제23기 KBS바둑왕전 우승(대 조한승 2-0, KBS바둑왕전 통산 7회 우승).
2005년
제48기 국수전 준우승(대 최철한).
제6회 농심신라면배 우승 리드(5연승, 한국 6연패).
제5회 춘란배 세계바둑선수권대회 우승(2연패 달성).
제2기 전자랜드배 왕중왕전 우승.
제39기 왕위전 우승(대 옥득진, 왕위10연패 달성).
제1기 한국물가정보배 준우승(대 박영훈 9단 0:2)
제10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 준우승(대 최철한 9단 2:3)
제10회 삼성화재배 준우승(대 뤄시허 9단 1:2)
2006년
01.22 제1기 원익배 우승(대 박영훈).
02.24 제7회 농심신라면배 한국대표(준우승, 대 요다9단).
03.02 제49기 국수전 우승(대 최철한, 탈환성공).
06.27 제3기 전자랜드배 왕중왕전 우승(2연패, 대 박정상).
07.19 제40기 왕위전 우승(11연패,대 이영구).
08.11 제18회 TV바둑아시아 준우승(대 왕시 5단).
2007년
01.24 제11회 삼성화재배 준우승(대 창하오 9단 1:2)
02.09 농심신라면배 한국대표 주장 2연승(한국팀 우승)
03.16 제50기 국수전 준우승(대 윤준상 4단 1:3)
04.25 KB국민은행 2007한국바둑리그 주장(광주 kixx)
07.09 제20회 후지쯔배 준우승(대 박영훈 9단 0:1)
07.16 제4기 전자랜드배 왕중왕전 준우승(대 강동윤 5단 1:2)
07.18 제41기 KT배 왕위전 우승(12연패, 대 윤준상 3:2)
08.17 제3회 중환배 우승(대 박정상 9단 1:0)-세계대회 통산21번째 우승!
12.03 제26회 KBS바둑왕전 우승(대 조한승 9단 2:1)
2008년
02.02 제3기 십단전 우승(대 목진석 9단 2:0)-135번째 우승
02.20 제9회 농심배 한국대표 출전
00.00 KB국민은행 2008한국바둑리그 출전(광주 Kixx)
07.08 제21회 후지쯔배 준우승(대 구리 9단 0:1)
08.05 제5기 전자랜드배 왕중왕전 우승(대 목진석 2:0)
10.21 제10회 농심신라면배 한국대표 출전
12.11 제7회 춘란배 결승진출
2009년
01.08 2008바둑대상 우수기사상, 남자인기기사상, 연승상 수상
03.16 제27기 KBS바둑왕전 우승(대 이세돌 2:1)- 개인 통산 137번째 우승
이세돌
1995년 : 입단
1996년 : 테크론배, 배달왕기전 본선
1998년 : 2단 승단. LG배 세계기왕전 본선. 기성전, 패왕전, 신인왕전 본선.
1999년 : 3단 승단. 제4회 LG정유배 프로기전, 제33기 왕위전, 제34기 패왕전, 제18기 KBS바둑왕전, 제9기 신인왕전 본선.
2000년
제5기 박카스배 우승.
제8기 배달왕전 우승,
32연승의 대기록 작성(역대 3위).
바둑문화상 최우수기사상 수상.
2001년
제5회 LG배 세계기왕전 준우승.
제6회 삼성화재배 8강.
제1회 오스람배 신예연승전 우승
2002년
제6회 LG배 세계기왕전 4강.
제12기 비씨카드배 신인왕전 우승.
TV바둑아시아컵 한국대표.
제1회 KTF배 우승.
제36기 왕위전 준우승.
제15회 후지쯔배 우승(생애 첫 세계대회 우승)
제6기 SK가스배 신예프로10걸전 우승.
제7회 LG정유배 우승.
바둑문화상 '최우수 기사상' 수상
2003년
제7회 LG배 세계기왕전 우승(대 이창호).
제2기 KT배 준우승.
제2회 CSK배 바둑아시아대항전 한국대표.
제16회 후지쯔배 우승(2연패).
2004년
제38기 왕위전 준우승.
2004한국바둑리그 본선(한게임바둑 주장).
제9회 삼성화재배 우승(대 왕시 5단).
2005년
01.00 제2회 도요타덴소배 우승(대 창하오).
02.00 제6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우승.
07.00 제18기 후지쯔배 우승(3회 우승).
08.20 제2회 중환배 준우승(대 최철한).
2006년
04.04 제7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우승(대 최철한, 2연패 달성).
07.01 제19회 후지쯔배 4위.
08.04 제2기 한국물가정보배 우승(對 최원용 2:0)
11.20 제25기 KBS 바둑왕전 우승(대 최철한 9단 2:0)
11.27 제11기 GS칼텍스배 우승(대 최철한 9단 3:0)
2007년
01.10 제3회 도요타배 우승(대 장쉬 2:1승-7번째 세계대회 우승)
01.11 2006 바둑대상 최우수기사상 수상
02.00 맥심커피배 우승 (대 박정상 2;1, 대회 3연패 달성)
04.24 KB국민은행 2007한국바둑리그 주장(충북 제일화재)
06.14 제19회 TV바둑아시아선수권대회 우승(대 천야오예 5단)
08.21 제3회 한국물가정보배 우승(대 이영구 6단 2;1)
10.30 제35회 강원랜드배 명인전 우승(대 조한승 9단 3:0)-7관왕
12.10 제51기 국수전 우승(대 윤준상 6단 3:0)
12.17 제12기 GS칼텍스배 준우승(대 박영훈 9단 2:3)-2연승후 3연패
2008년
01.04 2007바둑대상 최우수기사상 수상
01.18 제19기 기성전 4강
01.24 제12회 삼성화재배 우승(대 박영훈 9단 2:1)
02.28 제12회 LG배 우승(대 한상훈 2단 2:1)-9번째 세계대회 우
승
3.17 제7회 춘란배 16강
06.03 제20회 TV바둑아시아선수권대회 우승(대 조한승 9단)
07.18 개인통산 1000국 달성
07.27 한국물가정보배 준우승(대 홍성지 6단 1:2)
10.17 제1회 세계마인드스포츠게임 남자단체전 금메달 획득
10.21 제10회 농심신라면배 한국대표 출전
11.01 최다연속 국내랭킹 1위 기록 수립(13개월 연속)
11.05 제13회 LG배 결승전 진출
12.17 제13회 삼성화재배 결승진출(대 콩지에 7단 결승전)
12.22 제36기 하이원배 명인전 우승(대 강동윤 8단 3:1)
2009년
01.05 최다연속 국내랭킹 1위 기록 수립(15개월 연속)
01.08 2008 바둑대상 최우수기사상 수상
01.21 제13회 삼성화재배 우승, 대회 2연패 달성!(대 콩지에 7단 2:0)-생애 통산 10번째 세계대회 우승
01.29 제52기 국수전 우승(대 목진석 9단 3:1)
02.06 제13기 박카스배 천원전 준우승(대 강동윤 9단 2:3)
02.25 제13회 LG배 준우승(대 구리 0:2)
03.16 제27기 KBS바둑왕전 준우승(대 이창호 1:2)
현재 구리가 좀 잘나간다고 하지만 잠깐입니다.
딴건 잘 몰라도 바둑은 한.중.일
우리나라 >>>>>>>중국>>>>>>>>>>>>>>>>>>>>>>>>>>>>>>>넘사벽>>>>>>>>>>>>>일본>>>>>>>>>>넘사벽 다른 나라
이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일본만화책에서 딴건 지들이 잘났다고 쳐 그려도 바둑<고스트 바둑왕>만화에서 만큼은 좀 비하한데 해도 그정도록 차이 납니다.
첫댓글 구리는 바투보고 알았다란..
이창호 제38기 왕위전 우승 정말 명승부였죠
겸손한 구리,,
중국은 한국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 아닌가싶네요, 물론 한국이 더 강한건 사실
저는 바둑을 잘 모르지만 저희 형님께서 유창혁씨를 좋아하더군요.... 스타로 따지면 박성준스타일이라고 그러시더군요...
옛날에 '세계최고의 공격수'라는 별명이 있어서 그렇게 생각하신 듯... 근데 본래 공격 일변도는 아니었고 요즘들어 더욱 유연한 바둑이 되었지요.
한때 유창혁 기사는 아시아 최고의 공격형 기사로 유명했습니다
최강은 이창호였지만 유창혁 좋아하는 사람들 많았죠~ 전엔 세계최고의 공격수.. 하지만 지금은 완전 낙관파.. 저는 조한승 9단을 좋아합니다. 그 창조적이고 부드러운 수가 참 매력적이죠.
유창혁 기사 부인이 MBC아나운서였는데 젊은 나이에 돌아셨죠. 그 이후에 성적이 좋질 않네요
한국 = 중국 >>>>>>>>>>>>>> 넘사벽 >>>>>>>>>>>>일본 >>> 대만임........ 한국과 중국은 이래저래 삐까삐까함.. 질과 양의 차이정도로 보면 될듯
바둑은 모르지만 위에 기록은 이거 뭐야 몰라 무서워...
이세돌 노브레인 서바이벌 나올 때만해도 이정도는 아니었는데...정말 대단합니다..
이세돌 목소리가 깨서 놀랫음.. ㅋㅋㅋ
지금 사실상 중국보다 낫다고 할 수 없죠...
바둑은둘줄모르지만 조훈현국수가 일본에서 유학하던중 어쩔수없이 군입대하게되자 애제자를 몇년간이나 볼수없게된 스승이 시름시름 앓다가 결국 자살했다고 하는데.. 얼마나 천재였으면 그럴수가 있을까 싶더군요
조훈현=조던, 서봉수=드렉슬러, 이창호=코비, 유창혁=티맥, 이세돌=르브론... ?!
그렇게 말히기도 뭐한게, 이창호는 조훈현을 넘어섰습니다. 오히려 바둑에서는 이창호가 조던이죠. 조훈현이 매직, 서봉수가 버드 이 정도가 어떨지.
이창호는 조던으로 비교할 수 있는 선수가 아니죠. 현재 각 스포츠에서 활약한 선수들 중에 최고는 단연 타이거 우즈인데, 그 타이거 우즈도 이창호 만큼은 아니라고 생각;;; 이창호는 정말 신입니다.
이창호는 현존하는 신선입니다. 천재 조훈현과 천재 이세돌이 있지만.. 천재도 인간인데 인간의 영역을 넘어선듯... 한때 이창호가 다른 서적들을 읽느라 바둑공부를 소홀히 해서 몇년간이나 슬럼프에 빠진적이 있었는데.. 다른 사람들이 이유를 묻자 얻는것이 있으면 잃는것도 있다.. 라고 답했다는군요
요센 골프도 좀 하시는 신산 이국수가 몇년 전까지는 테니스(이운동만 하시던)만 했었저...이유가 골프는 너무 재밌있을거 같아서...라고 말했저...걍 여담입니다...^^;;
바둑 삼국지라는 만화가 나와있던데.... 한번 보시기를 추천합니다... 조훈현의 성장기부터 그렸더군요... 천재 조훈현의 어린시절부터 쿤켄으로 불리운 일본유학시절까지.. 정말 감동도 있고 재미도 있습니다!!